대성가 장손 '사인 미스터리'

한국뉴스


 

대성가 장손 '사인 미스터리'

일요시사 0 1356 0 0

‘어떻게 왜 죽었나’

[일요시사 경제팀] 김성수 기자 = 재벌가엔 유독 단명한 사람들이 많다. 스트레스가 심해서일까. 젊은 나이에 비명횡사한 로열패밀리들이 한두 명이 아니다. 얼마 전 4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난 대성그룹 장손도 그런 줄로만 알았다.

“사무실에서 업무를 보던 중 심장마비로 숨졌습니다.” 대성 측이 밝힌 고 김정한 전 라파바이오 사장의 사인이다. 에너지 전문그룹 대성에 따르면 김영대 회장의 장남 김 전 사장은 지난 5월1일 오전 사무실에서 사망했다. 향년 44세.

일요일 사무실서…

대성은 “(김 전 사장이) 심장마비로 갑자기 세상을 떠났다”고 전했다. 언론은 이를 그대로 알렸고, 세간의 시선은 한창 일할 젊은 나이에 비명횡사한 안타까운 죽음으로 바라봤다. 한 직원은 “(김 전 사장이) 일요일 휴일날 업무 중 돌연사했다는 소식을 전해 듣고 남일 같지 않아 마음이 아팠다”며 “사내엔 충격과 애도 분위기가 한동안 이어졌다”고 말했다.

그로부터 두달 가까이 지난 최근에 한 언론을 통해 깜짝 놀랄만한 증언이 나왔다. 김 전 사장이 자살을 했다는 것이다. 그가 사망한 현장에 출동했던 119 관계자들은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일요일 낮 1시가 안 된 시간으로 기억하는데 119 신고가 들어왔다. 한 남성이 인근 대형빌딩 14층에서 목을 맨 채 숨져있다는 응급 신고 전화였다. (현장에 도착하니) 남성은 이미 숨져있었다. 가족도 현장에 있었던 것 같다.”

기사는 이니셜로 작성됐지만, 알 만한 사람이면 다 알 수 있을 정도로 김 전 사장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묘사했다. 회사 측도 김 전 사장의 얘기가 맞다고 인정했다. 확인 취재가 있었다고 털어놨다. 다만 사인에 대해선 기존의 입장을 번복하지 않았다.

대성 관계자는 “(자살했다는 보도가) 사실인지 아닌지 모른다. 그냥 심장마비로만 알고 있다”며 “정확한 사인 확인을 못하고 있다. (사망과 관련해) 더 이상 할 말이 없다”고 일축했다.

그렇다면 경찰은 알고 있지 않을까. 경찰은 공식 답변을 거부했다. 관할경찰서 관계자는 “(김 전 사장의 사망) 관련 사건이 있는지 확인해 줄 수 없다”며 “사건화됐다고 해도 개인 정보보호 차원에서 외부에 알려줄 수 없다”고 예민한 반응을 보였다.

김 전 사장을 죽음으로 몰고 간 정확한 사인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만약 김 전 사장이 자살을 했다면 생기는 의문점 하나. 왜 극단적인 선택을 했느냐다. 먼저 그의 처지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 (사진 왼쪽부터) 김영대 대성산업 회장, 김영민 서울도시가스 회장, 김영훈 대성홀딩스 회장

김 전 사장은 대성가 장손이다. 대성그룹 창업주인 고 김수근 명예회장의 맏손자다. 미국 루이스앤클락 대학(물리학 전공)과 런던대학(경영학)을 졸업하고 2002년 대성산업 연구개발실 이사로 경영수업을 시작했다. 기계사업부 상무, 부사장 등을 거쳐 사장에 올랐지만 지난해 4월 물러났다. 대신 그의 동생(김 회장의 3남) 신한씨가 사장 자리를 물려받았다.

김영대 회장의 장남 사망…돌연사? 자살?
“심장마비” 밝혔는데 놀랄만한 증언 나와

같은 해 5월엔 김 전 사장이 맡고 있는 라파바이오, 대성엘앤에이, 제이헨, 포디알에스 등 4개 회사가 그룹에서 계열분리됐다. 이 때문에 김 전 사장이 후계구도에서 밀려났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 회장의 차남 인한씨는 미국 콜로라도대학교 정치학과 교수로, 경영엔 참여하지 않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김 전 사장은) 잘나가다 갑자기 동생에게 밀려 스트레스가 많았을 것”이라고 귀띔했다.

김 전 사장이 그룹에서 떼간 라파바이오도 신통치 않았다. 경영난이 심각했다. 무리하게 사세를 확장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겼다.

치과 임플란트 판매·유통 등을 했던 라파바이오는 매출이 2004년 64억원에서 지난해 42억원으로 줄었다. 같은 기간 그나마 흑자였던 영업이익은 77억원의 적자를 냈다. 순이익의 경우 -49억원에서 -128억원으로 마이너스 폭이 커졌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대구 소재 생산공장 건물과 토지에 가압류 딱지가 붙었다. 지자체, 세무당국 등 사실상 채권자들의 손에 넘어간 것. 급기야 김 전 사장은 직원들이 제기한 임금체불 송사에까지 휘말리게 됐다.

라파바이오 퇴직자들은 지난해 “급여와 퇴직금을 받지 못했다”며 김 전 사장을 고소하고 민사소송을 냈다. 기소된 뒤 법정에서 검찰의 구형을 받은 상태였던 김 전 사장은 상당히 힘들어했다는 후문이다.

 


여기서 또 다른 의문이 생긴다. 김 전 사장이 경제적 압박에 시달렸는데도 왜 돈 많은 집안의 도움이 없었냐는 것이다.

김 전 사장의 부친 김 회장은 재계에서 의리 있기로 소문나 있다. 30∼40년 넘게 비서와 운전기사를 잘 챙긴 오너로도 유명하다. 서로를 스스럼없이 ‘친구’라 소개할 정도.

반면 형제들과는 남남처럼 지내고 있다. 집안 장남인 그를 비롯해 차남 김영민 회장, 3남 김영훈 회장 등 대성가 삼형제는 김 명예회장이 작고한 2001년 지분 다툼을 벌인 뒤 등을 돌려 아직까지 발길을 끊고 있다. 이들은 2006년 모친 고 여귀옥씨가 타계하자 유산상속을 놓고 다시 갈등을 빚는 촌극을 벌이기도 했다.

삼형제는 유산정리에 합의했지만, ‘대성’ 사명을 두고 또 법적 분쟁을 벌이는 등 이후 전혀 왕래가 없다. 세 회장은 각각 대성산업, 서울도시가스, 대성그룹을 독자경영하고 있지만, 법적으론 계열분리가 되지 않은 상태다.

“스트레스 많아”

김 전 사장의 고모는 엠씨엠(MCM) 브랜드로 잘 알려진 성주그룹의 김성주 회장이다. 김 회장은 지난 대선 당시 박근혜 캠프에 합류, 새누리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을 역임했다. 박 대통령의 측근으로 분류돼 현재 대한적십자사 총재도 맡고 있다.

<kimss@ilyosisa.co.kr>

[대성은?]

에너지 전문그룹 대성은 1947년 설립된 대성산업공사가 모태다. 1970년대 연탄 등 기초연료 산업을 시작으로 1980년대 전자 및 기계사업과 도시가스 산업, 1990년대 해외유전 및 가스전 개발사업, 2000년대 열병합발전사업에 뛰어들었다. 환경사업, 건설업, 유통업으로 사업영역을 넓혔다. 2011년엔 호텔·문화사업을 아우르는 복합건물인 디큐브시티를 건설했다.

계열사는 그룹의 중추 역할을 하는 대성합동지주를 비롯해 대성산업, 대성쎌틱, 대성계전, 대성히트펌프, 에스필, 대성아트센터, 한국캠브리지필터, 대성나찌유압공업, 대성하이드로릭스 등이 있다. 대성산업, 대성산업가스, 대성계전, 한국캠브리지필터, 대성씨엔에스 등을 지배하는 대성합동지주의 최대주주는 김영대 회장(46.81%). 김 회장의 차남 인한씨와 3남 신한씨는 각각 0.51%, 0.48%를 갖고 있다. 얼마 전 세상을 떠난 장남 정한씨는 지분이 없다. <수>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