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이 슬픈 탈북자 망향가

한국뉴스


 

<설 특집> 명절이 슬픈 탈북자 망향가

일요시사 0 1336 0 0

“어머니 산소요? 수용소 안에 있슴메다”

[일요시사 취재1팀] 신상미 기자 = 지난 2004년 입국한 탈북동포 서종국씨는 수용소 출신이다. 북한에서는 ‘관리소’라고 부른다. 서씨는 평남도 북창군에 있다가 해체된 북창관리소(18호 관리소)에서 약 20년을 보내고 지난 1988년 사면 받았다. 

서종국(50·가명)씨 가족이 수용소에 수감된 것은 그가 기억할 수도 없는 어린 아이였을 때였다. 그의 아버지는 6·25 전쟁의 국군포로였다. 17세 때 포로가 돼서 3년간 인민군 군복을 입고 싸웠다. 용서를 받았다고 생각했지만 서씨 가족은 60년대 말 북창관리소에 수감됐다. 부모님과 형 셋, 서씨, 그리고 여동생까지 모두 일곱이었다.

정치범수용소

기자는 가끔 그에게 자신의 경험을 공개적으로 사람들에게 전달할 것을 권했다. 몇몇 탈북자가 국제무대서 증언활동을 벌이거나 탈북 경험을 수기로 쓰면서 국제적인 명사가 됐다. 그는 “철없는 짓”이라며 “여동생이 아직 북창군 수용소 자리에 그대로 산다. 북한이 인권운동을 한다고 해서 변하는 나라도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TV에 나와 정치범수용소에서의 처절한 경험을 말하던 이가 알고 보니 교화소(교도소) 출신이라거나 4번 강제북송 당한 끝에 5번째 탈출에 성공했다던 이가 알고 보니 조선족으로 밝혀졌다거나 하는 일을 많이 보고 겪으면서 회의가 든 것이다.

그는 동료들처럼 증언활동을 하는 대신 경기도의 한 소도시에서 가족과 살면서 학교급식 배달 일을 여러 해째 해오고 있다. 가족이 모두 탈출한 경우가 아니라면, 고향을 등지고 북한을 나온 탈북자들에게 명절은 몹시 힘든 때다. 그는 “나만 힘들겠나? 탈북자들이 다 그렇지”라면서도 “명절이 싫다. 정신적 고통이다. 이북에 부모님 산소가 있다. 형님 셋이 모두 관리소에서 굶어죽었다”고 털어놨다.

북한정권은 관리소 내 물자와 음식을 항상 부족한 상태로 통제·관리한다. 그래서 힘든 노역을 하면서도 늘 영양실조에 시달린다. 그의 형들은 배가 고픈 나머지 풀을 뜯어먹다가 풀독이 올라 사망했다. 

아버지가 이남 출신 국군포로
온가족 수용시절 자살한 모친 

서씨의 등은 약간 굽었다. 7살 때부터 등짐을 지며 노역에 동원됐기 때문이다. 서씨는 “관리소 사람치고 허리가 꼿꼿한 사람이 없다. 등짐을 많이 졌고 고개를 못 들고 다니게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국정원에서 강철환(전 조선일보 기자, 요덕수용소 출신으로 1992년 서방세계에 북한 정치범 수용소의 존재와 실태를 최초로 폭로했다)씨 다음으로 관리소에서 제일 오래 있었던 사람이 나라고 하더라”고 했다.

 


관리소 안에서는 부모와 자녀 사이도 서로 갈라놓는다. 학교에선 “네가 여기 있는 것은 아버지의 죄 때문”이라며 “아버지의 죄를 너희가 대신 씻어내야 한다”고 가르친다. 그래서 나머지 가족이 아버지를 구타하거나 음식을 주지 않고 굶기는 일도 일어난다. 아버지가 죽으면 가족이 사면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인민학교(초등학교)에 다닐 때엔 몸이 아파 하루 결석을 했다. 그날 보위원(국가안전보위부 소속의 수용소 관리자)이 집으로 찾아와 서씨가 보는 앞에서 아버지를 매질했다. 학교에 보내지 않았다는 것이 이유였다. 관리소 안에서 살면서 가장 가슴 아팠던 일 중 하나였다.

서씨 가족이 수감돼 있던 북창관리소는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일부 형사범과 월남자 가족을 ‘당의 배려’라고 선전하면서 대규모로 사면시켰다. 서씨 가족에게도 ‘공민증’이 발급됐다. 아버지는 “우리도 이제야 사람이 됐다”며 울었다.

1990년대 중반 ‘고난의 행군’ 시기에 관리소가 완전히 해체되면서 ‘득장탄광연합기업소’로 명칭이 바뀌었다. 이제 수감자들은 죄수 신분에서 배급과 노임을 받는 광부가 됐다. 서씨도 22세 때인 1988년 사면 받았다. 보위원은 “여기서 있었던 일을 밖에 나가서 말하면 다시 관리소로 들어오게 된다”며 함구시켰다. 서씨는 서약서를 쓰고 손과 발 도장까지 찍은 후 겨우 관리소를 벗어났다.

서씨는 “관리소를 나와서 처음으로 사람이 타는 기차와 버스를 봤다”고 말했다. 그전엔 화물열차만 봤다. 서씨 가족은 이남 출신이므로 딱히 돌아갈 만한 고향이 없었다. 아버지가 이남 출신의 국군포로였다는 것도 사면 받고 사회에 나와 결혼한 후 알았을 정도였다. 


 


아버지는 자식에게조차 자신이 국군포로였다는 것을 말하지 못했다. 그만큼 북한사회에서는 국군포로라는 것이 금기였고 약점이었다. 그는 관리소를 나와 바로 옆 득장지구에서 터를 잡고 살았다. 다른 사면자들도 마찬가지였다.

북창관리소서 20년 보내고 사면
2003년 탈출 후 아내·딸 데려와

득장지구에선 대동강을 사이에 두고 맞은 편 14호 관리소가 잘 보였다. 14호는 한 번 들어가면 죽어서도 나올 수 없는 수용소였다. 14호 안엔 김일성 주석의 처남(김성애의 동생)이 수감돼 있다는 소문이 떠돌았다. 평양에서의 권력투쟁에서 밀려난 거물들이 숙청돼 들어오는 수용소였다. 

관리소를 나와서도 즐거운 일은 좀처럼 없었다. 관리소 안에서 죽은 것은 형들만이 아니었다. 어머니가 혹독한 관리소 생활을 견디지 못하고 자살했기 때문이었다. 그는 아버지의 고향인 남쪽으로 가고 싶었다. 2003년 먼저 탈출해 다음해 남한에 입국했다. 3년 후 아내와 딸을 데려왔다.

남한엔 그와 동향인 북창관리소 출신이 4명 거주하고 있다. 이들은 정기적으로 모여 서로 안부를 묻고 술잔을 기울인다. 아직 북창군에 남아있는 여동생과도 1년에 한 번씩 통화한다. 동생은 “오빠가 남한에 사는 것이 자랑스럽다”고 자주 말한다.

“가보고 싶지만…”

서씨는 “여동생만 생각하면 데려오고 싶은 맘이 간절하지만 오다가 사고날까 봐 그러지 못한다”고 안타까워했다. 명절 때마다 어머니와 형들 생각이 자주 떠오른다. 서씨는 “18호 관리소 자리에 어머니 산소가 그대로 있다. 가보고 싶지만…”이라며 말끝을 흐렸다.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