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우리 편? 글쎄요"

한국뉴스

"중국이 우리 편? 글쎄요"

일요시사 0 846 0 0

‘중국통’ 윤석헌 아태경제문화연구회 회장

[일요시사=온라인팀] 개인적으로 중국에 가장 많은 인맥을 가지고 있는 한국사람, 한국인 최초로 중국 국제상회(國際商會·한국의 전경련격) 고문에 임명된 사람, 중국 국영회사이자 중국 최대의 건축회사인 중국건축(中國建築)의 고문으로 있으며 중국 최고위층 지도부와 개인적인 친분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한국사람, ‘한국 내 가장 정통한 중국통’, ‘살아있는 중국 전문가’로 불리는 이가 있다. 그는 바로 윤석헌(54·현 북경대학교 객좌교수) 아태경제문화연구회 회장이다. 윤 회장은 지난 30여 년간 중국을 거의 매주 한차례씩 왕래하며 인맥을 관리하고 있는 몇 안 되는 중국 전문가다. 윤 회장의 중국과의 인연은 후진타오 주석은 물론, 등소평 시절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윤석헌 아태경제문화연구회 회장이 중국 최고위층 인사들을 한국에 초청한 것만 보더라도 그의 위상을 가늠할 수 있다. 93년, 한국의 국회부의장에 해당하는 중국 전인대 부위원장인 왕광영(王光英)을 윤 회장 개인자격으로 초청했는데, 그는 당시 한국을 방문한 중국의 최고위급 인사였다. 그의 인맥은 중국의 최고지도자 등소평(鄧小平)의 장남인 중국 장애인협회 회장 등박방(鄧朴方), 등소평의 장녀인 중국 화가협회 회장 등림(鄧林), 중국 교육부 장관 주카이쉰, 교육담당 부총리 이남청, 중국 공산당 중앙당교 교장, 중국 국가체제개혁위원회 부주임(장관급) 고상전(高相全)등 셀 수 없을 정도로 많다. 
고위 지도부와 친분
이처럼 대한민국 내에서 가장 손꼽히는 중국통인 윤 회장은 최근 한중 관계와 관련한 한국 언론들의 잘못된 보도행태에 일침을 가했다. 그는 또 한동안 중단됐다 다시 물꼬가 트인 개성공단 문제와 시진핑 체제의 세계경영관에 대해서도 남다른 견해를 내비쳤다. 
그는 특히 지난 6월26일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방문 이후 쏟아지고 있는 국내 언론들의 잘못된 보도에 대해 “어리석다”는 표현까지 서슴지 않았다.   
“얼마 전 박근혜 대통령이 사상 유례 없는 대규모 경제사절단을 이끌고 중국을 찾았었지요. 방중 후 국내 유수의 언론들은 대체적으로 ‘성공적인 정상회담’이라고 일제히 보도했습니다. 그러면서 중국이 북한보다 남한에 더 우호적으로 돌아섰다는 추측성 기사까지 쏟아냈지요. 그런데 과연 그게 맞을까요?”
이들 언론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당시 시진핑 국가주석으로부터 3박4일 간의 일정 동안 극진한 대접을 받았으며 국빈만찬은 물론 특별오찬까지 마련하는 등 파격적인 예우를 했다.
언론들은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의 설정과 ‘미래비전 공동성명’ 및 부속서에 정부 간 협정 1건과 기관 간 약정 7건 등 총 8건과 관련된 경제·통상 협력, 활발한 인적·문화 교류, 영사 분야 협력, 국제무대에서의 협력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성과를 올렸다는 내용으로 대서특필하기도 했다. 특히 몇몇 언론들은 시진핑 체제 이후로 ‘중국이 한국의 편에 서기 시작했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우호성 기사들을 생산해 냈다.
하지만 중국통인 윤 회장은 국내 언론의 초점이 성공적인 회담에 그치지 않고, 중국이 향후 남북관계에서 북보다 남쪽 편에 설 것이라는 논조로 보도한 데 대해 심히 유감을 표명했다.    
“중국은 더 이상 예전의 중국이 아닙니다. G2(Group of 2) 국가로서 국제사회에서 그에 걸 맞는 역할을 시작하고 있습니다. 그런 중국이 과연 오랜 맹방인 북한을 외면하고 하루아침에 남한에 우호적으로 돌아설까요? 글쎄요. 저는 아니라고 보는데….”
중국-북한도 형·아우 아닌 전략적 동맹국가
개성공단 해결 "중국의 막후 역할이 결정적"
그는 “언론이 이번 박 대통령의 방중 성과 포함해 개성공단 문제까지 자신들의 구미에 맞도록 자의적인 해석으로 기사를 쏟아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후진타오 체제에서도 그랬지만, 시진핑 체제로 넘어오면서 중국의 신체제를 실질적으로 이해하는 한국 내 전문가들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그런 가운데 언론이 접촉하는 인사들이 문제지요.” 
중국정세와 관련해 이론적이나 학술적으로는 뛰어나지만 현실감각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중국 관련 학자들이나 중국을 자주 왕래하는 사람들로부터 입수한 정보를 바탕으로 기사가 작성되고 있다는 것이 윤 회장의 지적이다. 
그는 국내 유수의 언론들이 “여론을 형성하고 독자들의 알권리를 충족시키는 것은 좋지만, 정확한 정보를 알려야 하며, 국익을 먼저 생각하는 차원에서 항상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윤 회장은 최근 타협점을 찾은 개성공단 문제와 관련해 두 가지의 힘이 배경이 됐다고 진단했다. 
“첫째는 박 대통령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라는 원칙 중심의 대북정책 즉,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 문서상의 합의는 큰 의미가 없었다는 과거 남북관계의 교훈에 따른 대화방법이 하나의 구심점이 되어 타협점을 찾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둘째는 중국의 역할이 컸습니다. 겉으로 드러난 것은 남북 간의 합작품으로 비춰지지만 속사정은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윤 회장은 “중국 내부에서도 개성공단의 정상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적잖이 나왔었다”고 했다. 실제 정부 측에서도 공식·비공식 채널을 통해 수차례 중국 측과 이러한 논의와 요청을 계속 했던 게 사실이라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중국은 김정은 위원장에게 개성공단의 활성화를 주문하고 압박했다고 한다. 

중국 원로이자 최고 실력자인 만리 전 국회의장(국제상회 회장 계비의 父)과 중국의 국빈관에서 대담하고 있는 윤석헌 회장(가운데)
▲중국 원로이자 최고 실력자인 만리 전 국회의장(국제상회 회장 계비의 父)과 중국의 국빈관에서 대담하고 있는 윤석헌 회장(가운데)

이젠 더 이상 중국과 북한의 관계가 형-아우가 아닌 전략에 따른 동맹국가가 됐다는 게 윤 회장의 진단이다. 윤 회장은 “실제로 중국은 북한을 전략적인 차원에서 대하고 있다. 이는 세계경영의 책임있는 G2국가로서의 위상과 입지를 다지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개성공단 활성화 자체가 중국의 국익에도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남북관계에서 중국이 주도적인 역할을 해 결과적으로는 남북관계에 있어서 실질적 역할은 중국이 해야 결과물이 도출된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계기가 된 셈입니다.”
중국은 공단의 국제화를 통해 공장이 외부적인 힘에 의해 멈추는 것을 대비하기도 했다. 중국의 크고 작은 기업들을 개성공단에 투입시킴으로써 북한이 공단을 마음대로 중단시키거나 하는 상황을 사전에 아예 미리 차단시켰다. 
천안함 사태서 교훈
윤 회장은 “정부가 천안함 사태를 통해 아주 값진 교훈을 얻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천안함 폭침 사건의 배후로 판명난 북한을 제재하기 위해 유엔 안보리 회의를 열고, 당시 이명박 대통령이 중국의 최고위층을 직접 만나 설득하는가 하면 한국정부의 국방부 책임자가 근거자료까지 내놓으면서 설명하는 등 적극적으로 중국을 설득했지만 당시 중국은 한국 정부의 입장에 ‘오케이 사인’을 내지 않았다. 중국이 대북제재에 협력하지 않자 결국 벽에 부딪혀 우리 정부의 뜻을 관철시키지 못한 바 있다. 
“한국 정부는 천안함 사태를 통해 북한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국가는 중국 밖에 없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확인하게 됐습니다. 남북문제에 있어서 중국의 역할을 주목했던 것입니다. 덕분에 개성공단 정상화라는 값진 열매와 더불어 제발 방지 차원의 공단 국제화도 이뤄내 재발 방지장치까지 마련된 겁니다.”

강주모 기자 <kangjoomo@ilyosisa.co.kr>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