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도 홀리는’ 풀살롱 여왕 실체전직 경찰들 스카우트 ‘단속 피했나’

한국뉴스


 

‘경찰도 홀리는’ 풀살롱 여왕 실체전직 경찰들 스카우트 ‘단속 피했나’

일요시사 0 839 0 0

[일요시사 취재1팀] 박창민 기자 = 최근 서울 강남에 있는 한 관광호텔이 일명 풀살롱을 영업하고, 서초경찰서 경찰과 유착 관계로 단속을 피해 왔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 와중에 서초경찰서와 ‘풀살롱의 여왕’ 신모 회장 사이에 수상한 소문도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일요시사> 취재결과 서울지방경찰청 광역단속수사팀이 신모 회장이 운영하는 풀살롱 S업소에 대해 대대적인 수사를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이 서울 강남의 한 대형 유흥업소로부터 돈을 상납받고 성매매 단속을 소홀히 해왔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YTN은 지난 10일, 서울 서초구의 한 유흥업소가 서초경찰서에 돈을 건네줬다는 기록이 담긴 2014년도 장부를 입수했다고 보도했다. 장부 지출내역에는 ‘지급 수수료/순찰/500,000’, 같은 해 9월5일 지출내역에는 ‘복리후생비/1,000,000/회식비’라고 적혀있다. 

 

서초서 유착 의혹

뒷말 끊이지 않아 

 

해당 업소는 한 건물서 룸살롱과 호텔이 연결된 이른바 ‘풀살롱’ 형태로 운영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김정훈 서울지방경찰청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서 “제보자 등 관련된 사람을 만나서 사실관계를 확인해보고 수사가 필요하다면 수사를, 감찰이 필요하다면 감찰을 하겠다”고 밝혔다. 

 

서초경찰서와 강남 화류계는 발칵 뒤집어졌다. 현재 서초경찰서 풍속계 관계자들이 대대적인 감찰을 받고 있으며 강남 일대 유흥업소도 몸을 사리고 있는 형국이다.

 

그동안 서초경찰서와 유흥업소 간의 유착관계는 끊이질 않았다. 이와 관련해 2016년은 서초경찰서 ‘최악의 해’라는 말이 나돌았다. 그해 소속 경찰관 세 명이 관내 유흥업소들로부터 뒷돈을 챙기고 단속 정보를 알려준 혐의로 검찰에 기소됐으며 서초경찰서는 두 차례 압수수색을 당하는 치욕을 겪었다.

 

<일요시사> 취재결과 서초경찰서와 풀살롱 S업소 간의 커넥션도 수면 위로 드러날 조짐이다. 풀살롱 S업소를 실질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신모 회장은 ‘풀살롱 여왕’으로 불린다. 

 

술집 마담 출신으로 강남 일대 화류계를 주름잡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신 회장은 S업소 말고도 역삼동에 있는 F업소도 운영하고 있다. 실제로 신 회장은 2012년 풀살롱 ‘ㅅ’을 운영하다 불법성매매 혐의로 기소돼 법원은 징역 8월에 11억6400만원의 추징금을 선고했다. 

 

서울 강남 일대 화류계 쥐락펴락 

베일에 싸인 신 회장의 정체는?

 

신 회장은 석방 이후 풀살롱 ㅅ을 S로 상호만 바꿔 불법성매매를 계속해왔던 것으로 파악된다. 강남 화류계 관계자는 “신 회장은 강남서도 경찰 단속 정보가 가장 빠르다. 신 회장 가게가 성매매를 하지 않은 날이면 강남 일대가 다 성매매를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신 회장과 서초경찰서 간의 수상한 소문은 지난해 9월부터 흘러나왔다. 

 

“신 회장이 불법성매매로 징역을 간 이후에 전직 서초경찰서 직원을 영입해 현직 경찰들을 상대로 광범위한 로비를 했다. 이 덕분에 5년 동안 경찰 단속을 피했다.”

 

이 같은 소문은 곧 서초경찰서와 서울청 풍속단속계에도 들어갔다. 서초경찰서는 이미 앞서 언급한 것처럼 관내 경찰과 유흥업소 간 유착 의혹으로 홍역을 치르던 시기. 서초경찰서장은 이 소문을 듣고 S업소에 대한 단속을 지시한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해 9월21일 약 20여명의 경찰을 투입해 S업소를 식품위생법으로 입건했다. 

 

S업소는 이후 지난해 12월 달까지 가게 문을 닫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경찰과 유착관계로 구설에 올랐기에 서초경찰서장이 S업소를 예의주시했기 때문이라는 후문이다. 이를 두고 서초동 안팎에서는 검찰이 신 회장을 빌미로 또 다시 경찰을 상대로 수사가 들어올 것을 염려해 ‘예방 주사’를 놓은 것이라고 해석했다.

 

경찰관 3명 기소

2차례 압수수색

 

화류계에선 S업소를 식품위생법으로만 입건한 것을 두고 ‘말도 안 된다’는 분위기다. 복수의 화류계 관계자는 “경찰은 S업소가 풀살롱이라는 것을 안다. 그러고도 식품위생법으로만 입건한 것은, 사실상 봐준 것”이라고 말했다. 

 

S업소는 올해 1월 영업을 재개했다. 지난해 3월 서초경찰서에 식품위생법으로 또 다시 입건됐지만, 불법성매매가 여전히 이루어졌던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다 지난 5월 서울청 광역단속수사팀과 서초경찰서는 신 회장의 풀살롱 S업소와 F업소를 대상으로 대대적인 단속을 벌였다.

 

화류계와 사정기관 관계자에 따르면 이 때 신 회장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에 나선 배경을 두고 ‘검찰의 신 회장 내사’를 지목했다. 검찰이 신 회장을 상대로 경찰과의 유착관계를 내밀하게 조사하고 있다는 내용이다. 

 

당시는 검찰 개혁의 일환으로 검경 수사권 조정 논의가 급물살을 타던 시기. 검찰은 수사권 조정을 두고 경찰과 샅바싸움이 한창이었다. 

 

 

 

복수의 사정기관 관계자에 따르면 “당시 검찰은 경찰들의 비위 첩보는 물론 경찰에 관한 모든 정보를 수집했다”고 말했다. 다시 말해 신 회장 내사는 수사권 조정의 주도권을 뺏기지 않으려는 검찰의 ‘군기 잡기’ 일환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언제 터질지 모르는 뇌관 

광역단속수사팀 내사 중

 

서초동 일대에선 검찰서 신 회장을 내사하고 있다는 소문이 또 다시 흘러나왔다. 이런 소문은 곧장 경찰 측에도 들어갔다. 경찰 수뇌부 입장에선 신 회장은 ‘혹시나 터질지 모르는 폭탄’ 같은 존재였다. 

 

이 때문에 내부에선 검찰보다 먼저 신 회장을 수사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고 한다. 이것이 신 회장에 대한 불법성매매 단속이 급물살을 탄 계기였다고 전해진다. 

 

이때 광역단속수사팀은 S업소 관계자 26명을 불법성매매로 입건했다. 이 중 1명은 구속영장이 청구됐다. 하지만 아직 신 회장에 대한 조사는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이를 두고 화류계는 경찰이 신 회장을 함부로 건들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강남 화류계에선 이미 신 회장이 단속 정보가 가장 빠르기로 유명했으며 어떻게든 경찰과 연관이 안 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신 회장이 수사서 이 같은 사실을 실토할 경우 경찰은 그 후폭풍을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신 회장의 풀살롱 S업소와 F업소는 여전히 영업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일요시사>는 지난 11일 S업소를 찾았다. 현재 수사가 한창 진행 중인 탓인지, 호객꾼들은 ‘지정 고객’(유흥업소 직원을 통해 예약하는 방식)만 받고 있었다. 

 

 

 

하지만 검은 소나타와 카니발 등 ‘아가씨’를 실어나르는 광경은 자주 목격됐다. S업소에 있던 아가씨들은 대부분이 F업소로 옮겨갔다. F업소는 여전히 성업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성매매로 징역

이후 행적 묘연

 

경찰 측은 이 같은 의혹에 대해 ‘사실 무근’이라고 밝혔다. 서울청 풍속계 관계자는 “S업소를 대대적으로 단속한 것은 맞다. 현재 수사가 진행 중이다. 아직 실질 사장은 누군지 파악하지 못했다”며 “지난해부터 (신 회장과 서초경찰서 간의 유착 관계에 관한)그런 소문이 있어 해당 업체를 더 단속했다”고 말했다. 이어 “S업소와 경찰 사이의 유착 관계는 일절 없던 것으로 파악됐다”고 덧붙였다. 

 

신 회장과 연락하기 위해 백방을 수소문했지만, 연락이 닿지 않았다. 또 S업소의 지분 사장 이모씨에게 전화와 문자를 남겼지만 끝내 답변은 없었다.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