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점심값은 얼마?

한국뉴스


 

<별별통계> 직장인 점심값은 얼마?

일요시사 0 1049 0 0

뼈 빠지게 일했는데 ‘끼니 걱정’

[일요시사=사회팀] 하루 업무시간 중 가장 기다려지는 점심시간. 직장인들은 바쁜 업무 중에도 점심시간이 오기만을 기다리며 ‘오늘은 뭐 먹을까’라는 고민에 빠지곤 한다. 물가가 하늘 무서운 줄 모르고 치솟는 요즘, 점심값 부담에 도시락을 싸오거나 편의점에서 간단히 해결하는 사람들도 더러 있지만 대부분은 저렴한 사내식당이나 회사 근처 식당을 이용한다. 직장인들의 또 다른 고민으로 떠오른 점심값의 평균치를 살펴봤다.      

장기불황에 빠져 매년 물가는 상승하고 소득은 줄고 있다. 특히 자영업자를 비롯한 서민들의 경우 장기불황이 지속될수록 생계에 부담이 커지고 있는 게 사실이다. 부담은 비단 자영업자들에 국한돼있는 것은 아니다. 직장인들도 물가상승에 대한 부담은 만만치 않다. 이중에서도 올해 들어 가파르게 상승한 점심값이 만만치 않은 부담을 안겨준다. 실제로 올 들어 우리나라 직장인들이 부담하는 점심비용은 평균 6219원으로 5년 전인 2009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시간 남짓 되는 점심시간에 지출하는 비용치곤 상당한 액수다.    

5000원짜리 없다

취업포털 잡코리아는 남녀 직장인 768명을 대상으로 ‘2013년 점심 메뉴 및 비용’을 주제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점심값 평균은 약 7000원 미만으로 나타났고, 그 이상의 액수도 예상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에 따르면 직장인 100명 중 94명이 “올 들어 점심값이 올랐다”고 답했고, 이중 59.9%는 ‘점심 값이 많이 올랐다’고 대답했다. 34.2%는 ‘조금 올랐다’고 의견을 내세우며 하루 평균 7000원 미만 꼴로 점심비용을 지출하고 있다고 했다.

잡코리아 조사결과 우리나라 직장인의 점심비용 평균은 지난 2009년 평균 5193원에서 지속적으로 올라 올해 6219원까지 치솟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6000원을 돌파한 이후 큰 폭으로 상승한 것. 2010년에는 5372원, 2011년은 5551원, 지난해에는 6007원을 기록하며 6000원대를 넘어섰다. 매년 조금씩 직장인 평균 점심값이 오르며 5년 사이에 무려 1026원이 상승했다는 계산이다.

특히 점심값은 직장이 소재한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는데 서울지역에 근무하는 직장인의 점심비용이 가장 높았다. 서울시내에 근무하는 직장인들의 경우 평균 6442원 정도를 점심값으로 지출했고, 경기도가 6212원, 그 외 지역은 5832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도권의 물가상승률이 다른 지역보다 월등하게 높다는 의미와 같다고 보여진다.

서울 종로구에서 근무하는 하모(33)씨는 “근 몇 년 새 점심값이 천정부지로 올랐다. 다른 것도 아니고 점심비용으로 7000원씩 쓰는 것은 정말 큰 부담이다. 어쩌다 한 번씩 맛있는 음식 먹으려는 것도 아닌 매일 같은 메뉴를 이 가격이나 주고 사먹어야 되나 싶은 생각도 든다. 예상치 못한 지출이 있었을 경우 가끔 편의점에서 간단히 때우기도 한다”고 말했다.

삼성역 인근에서 근무하는 여성 이모(30)씨는 “요즘은 런치메뉴도 6000원대다. 5000원대는 어디에도 찾아볼 수 없다. 거를 수도 없고 부담은 되고, 어떨 때는 도시락을 싸와서 사내 휴게실에서 먹거나 저렴한 도시락 전문점에서 사먹는다”고 비용부담에 대한 진솔한 의견을 냈다.

식당의 ‘음식량’에 대한 질문에 설문에 참가한 직장인들은 ‘음식량은 변함없다’는 응답이 57.6% 비율로 가장 많았다. ‘음식량이 줄었다’는 응답은 41.0% 차지했으며  ‘늘었다’는 응답자는 고작 1.4%에 불과했다. 
점심비용의 급상승은 메뉴선택에도 영향을 줬다. 직장인들은 메뉴를 선택할 때 직장인들이 우선으로 고려하는 사항은 ‘맛’보다 ‘가격’인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비용 6200원 “5년새 1000원 상승”
선호 메뉴 김치찌개…편의점 이용 늘어

‘가격’을 선택한 응답자는 전체 82.0%로 거의 대다수가 이 같은 답을 말했다. 뒤이어 ‘맛’이라는 응답자가 74.2% 응답률로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그날의 기분(30.7%)’ ‘스피드(16.9%)’ ‘양(15.4%)’ ‘서비스(10.2%)’ ‘어제 먹은 메뉴(8.5%)’ ‘날씨(3.8%)’ ‘추천메뉴(2.7%)’ ‘기타(1.8%)’순이었다.



직장인 유모(28)씨는 “아무래도 가격고민을 안할 수가 없다. 사내식당이 없어 저렴한 가격에 먹을 수 있는 형편도 안 되고, 덜 맛있다고 해도 4000∼5000원대 가격이라면 머뭇거릴 필요도 없이 당장 가서 사먹겠다. 설사 그런 곳이 있다면 아마 그 식당은 수많은 직장인들로 북새통을 이룰 것이다”고 속내를 내비쳤다. 

‘가장 많이 먹는 점심메뉴’는 5년 연속 ‘김치찌개’가 응답률 39.3%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백반(34.5%)’ ‘된장찌개(26.6%)’ ‘비빔밥(24.2%)’ ‘돈가스(22.4%)’ ‘김밥(18.2%)’ ‘부대찌개(16.4%)’ ‘불고기 뚝배기(15.8%)’ ‘순두부(13.9%)’ ‘제육볶음·짜장면(13.3%)’이 상위 10위에 올랐다.

디자인 업계에서 근무하는 구모(31)씨는 “한국 사람은 역시 한식을 찾기 마련이다. 일부 동료들은 햄버거나 파스타 등을 먹곤 하지만 대부분 결국 한식을 찾는다. 그중 김치찌개가 가장 무난하고 저녁 전까지도 쉽게 허기지지 않는 든든함이 있어 자주 먹게 된다. 뭘하든 밥심이 최고인 것 같다”고 한식을 자랑했다. 

행정안전부와 통계청의 주요 서민생활물가에 따르면 외식비의 급등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의견이다. 칼국수 한 그릇의 가격은 전국 16개 광역시도 평균 5500원을 넘어섰고, 삼계탕은 전국 평균 1만1213원, 냉면은 6505원, 비빔밥은 5871원, 김치찌개 백반은 5463원에 달했다. 그나마 5000원 미만으로 끼니를 때울 수 있는 음식은 4105원의 자장면 1그릇과 2818원의 김밥 1줄에 불과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외식비의 상승이 맞벌이 부부의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설명한다. 여기에 최근 외식비 자체의 상승도 무시 못 할 요인이다.

직장인 평균 점심값과 외식비 등의 가계부담은 지난달 밀가루값 등 식료품 인상 도미노가 시장가격에 반영될 경우 그 폭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식재료 인상 탓

점심값을 포함한 여러 가지 소비재들의 가격이 여기저기서 올라가자 박근혜 대통령은 집권 후 첫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가격인상요인을 최소화하고 부당편승 인상에 대해서는 엄정하게 법을 집행하는 등 관계당국이 물가안정에 나서달라”고 강력하게 지시했다. 그러나 대통령의 발언이후 일부 업체들은 가격인상을 철회했고 올랐던 설탕가격도 내리며 정부에 보조를 맞추는 모습을 보였지만 곳곳에서 볼멘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점심시간도 엄연히 업무시간에 포함되는 시간이다. 하루빨리 경기가 안정돼 직장인들이 점심이라도 가격에 구애받지 않고 즐길수 있는 날이 오길 기다린다. 


김지선 기자 <jisun86@ilyosisa.co.kr>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