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전당대회 승부처 집중해부

한국뉴스


 

새누리당 전당대회 승부처 집중해부

일요시사 0 1683 0 0
▲ '당권레이스'에 뛰어든 새누리당 김무성·서청원·홍문종·김태호 의원 <사진=일요시사 DB>













'TK-민심-두 번째 표심'을 잡아라

[일요시사=정치팀] 허주렬 기자 = 새누리당의 새 지도부 선출을 위한 7·14전당대회 레이스의 막이 올랐다. 차기 당권 도전에 나선 9명의 후보자들이 지난 3일 후보자 등록을 마치고 본격적인 선거 운동에 돌입한 것이다. 향후 2년 간 새누리당을 이끌어갈 새 지도부의 주인공은 누가 될까? 정치권에서는 전대 구도를 2강, 3중, 4약으로 분석하고 있지만 다양한 변수들로 인해 실제 결과가 그대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일요시사>에서 전대의 당락을 가를 승부처를 살펴봤다.

 icon_p.gif 

새누리당 7·14전당대회에 나서는 후보군 9명이 지난 3일 확정됐다. 김태호·김무성·이인제·박창달·김을동·홍문종·김영우·서청원·김상민 후보(좌측부터 기호 순)가 이날 후보자 신청을 마치고 본격적인 선거운동에 돌입했다.

김을동, 최고위원 확정

이번 전대에서는 대표최고위원(당대표) 1명과 최고위원 4명이 각각 선출된다. 최고위원 4명 중 1명은 당헌·당규상 여성 배려 규정에 따라 유일한 여성 출마자인 김을동 의원이 사실상 확정됐다. 이제 관건은 당대표와 남은 3명의 최고위원에 누가 당선이 되느냐다.

당대표를 놓고는 김무성·서청원 후보 간 양강구도가 뚜렷하다. 두 후보 중 한 명이 당대표가 되고, 나머지 한 명은 2위로 최고위원에 당선될 것이 확실시된다. 남는 최고위원 자리 2개를 놓고 이인제·김태호·홍문종 후보가 치열한 경합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현재 판세에 대한 후보자들 간 주장이 엇갈리고 있는 상황에서 최대 승부처로 꼽히는 지역은 TK(대구·경북) 지역이다. 새누리당의 본거지인 TK는 전대 투표권을 가진 책임당원의 수만 3만여명으로 전체 책임당원(14만4114명)의 20% 가까이가 거주하고 있다.

게다가 투표 참여율도 매우 높아 결집된 TK표심의 영향력은 전체 판세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지난 2012년 전대 선거인단 투표율은 전국 평균 14.1%였지만 경북은 24.6%로 1위를 기록했고, 대구도 16.2%로 평균을 웃돌았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김 후보에게 밀리며 당심에서 확실한 우세를 점해야 당대표를 노려볼 수 있는 서 후보가 공식 선거운동 첫 일정으로 경북 구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박정희 전 대통령의 생가를 방문한 것은 TK표심의 중요성을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런 가운데 TK표심은 일단 서 후보를 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서 후보 캠프 관계자는 "대구·경북에서 6대4 정도로 (김 후보에게) 앞서고 있다"며 "박근혜 대통령의 고향인 만큼 서 후보를 찍어야 최근 수세에 몰린 박 대통령이 산다는 것을 TK당원들이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김 후보 측도 TK에서의 열세는 인정하고 있다. 김 후보 캠프 관계자는 "TK에서는 5.5대4.5 정도의 열세로 보고 있다"며 "신공항 문제로 인해 표를 깎아먹었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앞서 지난 6·4지방선거에서 부산지역 주민들이 유치를 원하는 가덕도에서 선대위 회의를 여는 등 신공항 문제를 두고 TK민심을 자극한 바 있다.

하지만 두 후보는 모두 지역을 대표해 출마한 현역의원은 없는 반면, 선거인단 규모는 큰 TK를 최대 승부처로 보고 '박정희·박근혜 마케팅' 등을 내세운 TK표심 잡기 행보를 적극적으로 펼칠 것으로 전해졌다.

민심우세 김무성, 민심·당심 일체화 현상 기대
당심우세 서청원, 조직력 앞세워 '역전' 노린다

1인2표제에 따른 두 번째 표의 향방도 승부처로 꼽힌다. 1인2표제의 특성상 한 표는 유력 당권주자에게, 한 표는 자신의 지역후보에게 주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번에는 서·김 후보와 다른 후보들 간 무게감 차이가 큰 상황에서 2표가 두 후보에게 각각 한 표씩 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새누리당 한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여론조사들은 첫 번째 표를 중심으로 이뤄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숨은 두 번째 표의 향방이 중요하다"며 "김·서 후보와 다른 후보들 간 무게감 차이가 큰 상황에서 공식적인 합종연횡 조짐도 없는 만큼, 두 후보에게 한 표씩 던지는 경우도 많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즉, 김·서 후보 측이 표 단속을 통해 자신을 찍는 유권자의 다른 한 표가 상대후보로 가는 것을 최소화해야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김 후보는 지난 3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앞서 공개된 책임당원 명부로 여론조사를 해보니 (내가) 다소 많이 나온다"며 "전대 1·2위 표 차이가 작게 나면 또 다시 당에 혼란을 줄 수 있는 만큼 압도적인 큰 표 차로 당선돼 안정적 당 운영을 할 수 있도록 열심히 하겠다"고 자신감을 표했다. 

김 후보 측 한 인사는 "당심이 민심을 ?는 당심·민심 일체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서 의원과의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서 의원 측은 친박(박근혜)계 주류의 결집, 경기도를 중심으로 한 지지세 확산 등으로 뒤집기가 시작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 의원 캠프 한 관계자는 "일반인 상대 여론조사에서 열세라는 것은 인정하지만 최근 지지율 격차가 오차범위까지 좁혀지는 양상"이라며 "여론조사에서 5% 안으로만 뒤진다면 조직력이 강한 서 의원이 당심 우세로 뒤집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심 vs 당심

3~4위 자리를 두고 경쟁하는 나머지 전대 주자들의 판세에 대해서도 당내 의견이 분분하다. 수도권 출신의 친박 핵심인사 홍문종 후보, 충청권의 강호 이인제 후보, PK의 신성 김태호 후보 등 3인 간의 싸움이라는 것이 정치권의 대체적 분석이다.

하지만 김영우·김상민 후보 역시 젊은 기수론을 앞세우며 지도부 입성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어 결과는 쉽사리 예단할 수 없다. 최후에 지도부에 입성하게 될 후보는 과연 누가 될까. 그 결과에 정치권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carpediem@ilyosisa.co.kr>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