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병사 존폐 논란

한국뉴스


 

<와글와글 net세상> 연예병사 존폐 논란

일요시사 0 979 0 0

갈 때까지 간 '막장 군인들'

[일요시사=사회팀] 지난해부터 잡음이 끊이지 않았던 연예병사 제도가 존폐 기로에 섰다. 앞서 일부 연예병사들이 '휴가 특혜' 논란에 휘말린 것을 시작으로 이번에는 가수 세븐·상추의 안마시술소 출입까지 적발됐다. 갈 때까지 간 연예병사들의 '막장' 복무. 여론의 촉각이 국방부에 쏠리고 있다. 

군 연예병사의 안마시술소 출입으로 대한민국이 발칵 뒤집혔다. 휴가 중이었다면 그나마 정상참작(?)은 됐을 텐데 업무 중 벌어진 일이라 충격은 더 컸다.

치료가 목적?

지난달 25일 방송된 SBS <현장21>에서는 군 연예병사의 복무 실태를 파헤쳤다. 해당 취재팀은 지난 1월 불거진 가수 비의 '휴가 특혜' 논란 후 국방부가 연예병사 관리지침을 잘 지키고 있는지를 조사했다.

결과는 참혹했다. 카메라에 찍힌 연예병사의 모습은 실망 그 자체였다. 이들은 지난 6월21일 강원도 춘천에서 열린 한 위문공연에 나란히 참석했다. 그리고 공연이 끝나자 군부대가 아닌 시내 모텔로 들어갔다.

밤 10시가 지난 시각, 연예병사들은 각각 사복으로 갈아입고 한 음식점에 모였다. 이 자리에서 연예병사들은 소주와 맥주를 섞어 마시며 분위기를 띄웠다. 취기가 오른 연예병사가 향한 곳은 바로 안마시술소.

이들은 한 곳이 아니라 여러 곳의 안마시술소를 전전했다. 이 과정은 고스란히 영상에 잡혔다. 한 병사는 자신에게 다가오는 취재진과 몸싸움을 벌이는 진풍경을 연출했다. 연예병사 세븐과 상추가 그 주인공이었다.

<현장21> 방영 후 연예병사에 대한 비난 여론이 봇물을 이뤘다. 논란의 핵심은 역시 특혜였다.

이들은 일반 병사의 취침시간인 10시가 넘은 시각까지 시내 유흥가를 배회하며 특권을 누렸다. 또 일반 병사가 소지 또는 반입이 불가한 휴대전화를 버젓이 사용했다. 사복 차림의 불법 외출은 물론이고, 성매매까지 시도했다.

휴가 특혜 논란에 이어 이들의 문란한 군기가 적나라하게 고발되자 성난 여론은 연예병사 제도 폐지로 모아졌다. 지난달 27일 온라인 설문조사 업체 '두잇서베이'는 네티즌 211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결과에 따르면 전체 국민의 74.7%가 연예병사 제도 폐지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 응답은 9.3%에 그쳤다.

폭탄주에 안마까지…세븐·상추 도마에
특혜·군기 문란에 국민 74% "폐지해야"

연예병사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국방부에도 화살은 꽂혔다. 한 국방부 관계자는 세븐과 상추가 안마시술소를 들락거린데 대해 "치료가 목적이었다"고 해명, 또 한 번 공분을 샀다. 암묵적으로 안마시술소가 성매매 업소로 운영되고 있다는 걸 모르는 사람은 없기 때문이다.

논란이 커지자 국방부는 공식 브리핑을 통해 "국방홍보지원대원(연예병사) 운영과 관련된 제도의 근본적인 사항까지 검토할 것"이라며 연예병사 제도 폐지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러자 닉네임 몰**은 "연예병사 제도가 반드시 폐지돼야 한다"며 "연예병사는 그들만의 특권"이라고 강조했다.

닉네임 사랑의***도 "검토라고? 장난하냐!"면서 "연예병사 모조리 재입대 시키고, 폐지는 당연하다"고 주장했다.

닉네임 0** 역시 "방송인 붐의 휴가 일수가 국회 국정감사에서 문제가 되고, 가수 정지훈이 김태희랑 사고까지 쳤을 때 원래 폐지됐어야 맞는 것"이라며 폐지 여론에 힘을 보탰다.

연예병사 제도를 냉소하는 댓글도 게시판을 가득 메웠다.

닉네임 Hw**는 "나라를 위해 목숨 바친 순국선열과 예비역, 그리고 현역들에게 부끄럽지 않냐"면서 "다들 연예병사 눈치나 보고…. 니들이 무슨 연예인 기획사냐"고 비판했다.



닉네임 Daum***은 "어제 방송을 보니 한두 번 그런 게 아닌데 관련자 문책이 필수적"이라면서 "선임병들이 만들어 놓은 문화를 후임병들이 그대로 답습한 것처럼 보였다"고 지적했다.

닉네임 ji**는 "오히려 연예병사가 군사기를 다 저하시킨다"면서 "비 오는데 훈련 받고, 전화도 눈치 봐서 못하는 내 동생, 그리고 우리 일반 병사들만 다 **됐다"고 안타까워했다.

닉네임 무독성**은 "우리나라에 연예병사 제도가 왜 필요한지 모르겠다"며 "쟤네는 아마 총도 제대로 못 쏠 텐데 전쟁 나면 연예병사가 도대체 무슨 임무를 수행해야 하냐"고 반문했다.

국방부를 겨냥한 댓글도 눈에 띄웠다.

닉네임 있*은 "국방부 홍보팀의 변명이 특히 가관"이라며 "무릎 아파서 안마방 갔다고? 누굴 호구로 아나?"라고 격한 감정을 드러냈다.

닉네임 "Gomd***"도 "현역병들은 민간병원에서 진료조차 받기 힘든데 치료 차원으로 안마방을 간다는 건 뭔 *소리"냐며 "그럼 이제부터 병사들이 군의관에게 '나도 치료받아야 한다'며 안마방 가게 해달라고 하면 어쩔거냐"고 우려했다.

국민은 호구?

국방부 수장인 김관진 장관의 트위터 계정(@kwanjinkim)에는 연예병사 제도 폐지를 촉구하는 네티즌들의 항의글이 꼬리를 잇고 있다. 아이디 @ShuraD*****는 "내부 군기도 못 잡으면서 외부의 적은 어떻게 막을 생각이냐"며 "(김 장관님은) 적군을 안마방으로 유인해 섬멸할 생각이신지?"라고 비꼬았다.

아이디 @wonhy****도 "국군장병 위문은 걸그룹이 오면 충분하다"면서 "연예병사 다 필요 없고, 더운 날 추운 날 고생하는 우리 젊은이들 먼저 생각해줬으면…"이라고 의견을 남겼다.

아이디 @jesus*****는 최근 뇌종양으로 숨진 한 사병을 지칭하며 "진짜 아팠던 일반인은 간부가 방관해서 죽게 하더니 연예인은 아프다고 하면 술도 먹이고 안마방에서 치료도 받게 해주냐"면서 "장관님, 제발 연예병사 제도를 폐지해주세요"라고 당부했다.
 
강현석 기자 <angeli@ilyosisa.co.kr>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