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탈당' 후폭풍 시나리오

한국뉴스


 

'정동영 탈당' 후폭풍 시나리오

일요시사 0 1782 0 0
 

▲ <일요시사>와 대담 나누는 정동영 새정치민주연합 상임고문

야권 개편 태풍 될까? 야권 왕따 될까?

[일요시사 정치팀] 김명일 기자 = 새정치민주연합 정동영 상임고문이 최근 탈당을 결심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정치권에 큰 파장이 일고 있다. 새정치연합 당 지도부는 정 고문이 탈당한다고 해도 따라나설 사람은 없을 것이라며 대수롭지 않다는 반응이지만 내심 정 고문의 탈당이 야권 재개편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닌지 걱정하고 있는 모양새다. 정 고문이 탈당을 결심한다면 2015년의 정치권은 어떻게 변화하게 될까?

새정치민주연합(이하 새정치연합) 정동영 상임고문의 탈당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야권이 술렁이고 있다. 정 고문은 자신의 탈당설에 대해 “고민을 좀 해보겠다”면서도 “지금의 새정치연합은 국민의 아픔을 같이 못 느끼는 것 같다. 

지금의 야당은 정상이 아니고 그래서 대안을 원하는 지지자들의 요구는 폭발직전”이라며 탈당 가능성에 더욱 무게를 싣고 있다. 정 고문은 늦어도 새정치연합 전당대회 전까지 탈당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신당 초읽기

전당대회가 오는 2월8일에 잡혀있는 것을 감안하면 정 고문은 올 1월 안에 탈당 여부를 결정하고 본격적인 신당창당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일단 새정치연합 당 지도부는 정 고문의 탈당 파급효과에 대해 애써 평가절하하려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문희상 비대위원장은 “(정 고문이 탈당한다고 해도) 국회의원 중에서 한 명도 안 따라 나갈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물밑에선 정 고문의 탈당을 막기 위한 당 지도부의 설득작업이 한창이란 후문이다. 

정 고문의 탈당 후폭풍에 대해 정치권의 전망은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우선 정 고문의 탈당이 찻잔 속 태풍에 그칠 것이라고 평가하는 인사들은 “아직 전당대회가 끝난 것도 아니고 당분간 선거도 없는 상태에서 탈당의 명분이 너무 약하다”며 “야권이 민심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는 추상적인 구호만 듣고 정 고문을 따라나설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 지적한다. 정 고문의 탈당으로 당장 새정치연합이 분열되거나 정 고문이 참여할 신당이 돌풍을 일으킬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것이다. 

새정치연합의 한 관계자도 “정 고문은 지난 18대 총선에서 낙선한 이후 벌써 10년 가까이 원외에서 머물고 있는 인사다. (정 고문의 고향인) 전북 일부를 제외하고는 전혀 영향력이 없다고 본다”며 “판을 흔들려면 정 고문 혼자서는 안 되고 중량감 있는 중진급 인사들이 참여해야 하는데 천정배 전 법무부장관 등이 거론되기도 하지만 합류 가능성이 그렇게 높지는 않다”고 평가했다. 


 



▲ 정동영 새정치민주연합 상임고문

정 고문이 합류하려는 ‘국민모임’이 기존 진보정당들과 차별성을 찾기 어렵다는 점도 하나의 걸림돌이다. 새누리당과 새정치연합이라는 거대 양당이 지배하는 기존 정치구조 안에서 신당이 성공하려면 국민들의 눈길을 사로잡을 수 있는 창당 명분과 대안 등을 제시해야 하는데 기존 진보정당들과 다른 점을 찾기 힘든 신당으로는 결코 이틈을 비집고 들어갈 수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게다가 전당대회 이후 친노진영이 당을 장악해 비노그룹이 탈당과 같은 최후의 선택을 한다고 하더라도 대부분의 비노인사들이 국민모임과는 전혀 다른 성향을 가지고 있어 문제다. 중도를 자처하는 비노그룹 인사들이 차라리 독자신당을 모색하면 모색했지 새정치연합보다도 더 좌클릭된 국민모임에 참여하지는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신당 원하는 국민적 요구 분출
진보정당과 차별성 없고 명분 약해

여러모로 정 고문의 탈당과 신당창당은 실패할 가능성이 크고 이를 계기로 정 고문은 야권 내에서 완전히 세력을 잃고 정계은퇴 수순을 밟게 될 것이라는 비관적인 시나리오다.

그러나 정치권에서는 정 고문의 탈당이 야권 재개편의 태풍을 일으킬 것 이라는 희망적인 전망도 있다. 여론조사기관 휴먼리서치의 최근 여론조사 결과(2014년 12월30일~31일 2일간, 휴대전화 RDD/ARS 방식으로 1520샘플 조사. 허용오차 ±2.51%, 응답율 4.08%)에 따르면 정 고문이 참여를 검토하고 있는 국민모임 신당이 출범할 경우 무려 18.7%p의 정당지지도를 얻어낼 것으로 예측됐다. 

이번 여론조사에서 새누리당은 39.6%p의 지지도를 얻었고, 새정치연합 21.1%p의 지지도를 얻었다. 새정치연합과 국민모임의 지지도 차이는 불과 2.4%p였다. 정 고문이 참여하려는 신당이 대안정당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받은 셈이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이번 여론조사 결과는 제1야당인 새정치연합에 대한 국민들의 실망감을 단적으로 보여준 사례”라며 “야당의 텃밭인 호남지역에서 새정치연합에 대한 민심이반이 가속화되고 있는데 호남에서 어느정도 지분을 가지고 있는 천정배 전 장관까지 신당에 참여한다면 신당 참당 움직임은 곧 호남신당론과 결합돼 야권 재개편의 태풍이 될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내다봤다. 

정 고문의 신당행이 전당대회 직전에 결행될 것이라는 점도 의미심장한 대목이다. 문 의원이 당권을 잡으면 비노계의 입지는 축소될 수밖에 없다. 지금도 친노계가 당을 장악하고 전횡을 하고 있다며 친노계에 대한 불만이 극에 달해있는 비노계로서는 당권까지 친노계가 차지하게 된다면 정 고문과 손을 잡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전당대회 과정에서도 지난 대선경선 때와 같이 불공정시비가 재현될 경우엔 그동안 곪아왔던 계파갈등이 결국 분당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충분하다. 지난 2012년 대선 경선과정에서 구 민주당은 모바일투표에 관한 논란으로 경선과정에서 단상으로 계란과 물병이 날아들고 각 후보의 지지자들이 뒤엉켜 몸싸움을 벌이는 등 계파갈등이 극심했었다. 

정 고문의 신당에 중량감 있는 인물이 얼마나 포함되느냐 하는 점도 중요한 변수다. 정 고문은 “최근 국민모임을 추진해 온 분이 저 뿐만 아니라 몇 분에게 요청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발언해 신당행을 고려하고 있는 인물이 정 고문뿐이 아니라는 점을 확인시켜줬다. 정 고문 외에도 중량감 있는 인물이 포함된다면 새정치연합 당 지도부에 바람처럼 신당은 미풍으로만 끝나진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미풍 또는 태풍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신당이 전당대회 전에 출범한다면 한동안 잠잠하겠지만 문 의원이 당권을 잡은 후 계파싸움이 더 극렬해지고 새정치연합이 혁신에 실패한다면 이대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더 커질 것”이라며 “신당이 정계개편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또 “정 고문의 탈당보다도 이후 비노계가 탈당을 결심하느냐 여부가 정동영신당의 승패를 좌우할 중요 포인트”라고 지적했다. 

드디어 실체가 드러난 정동영발 신당은 과연 2015년 정치권에 태풍을 몰고 올 수 있을까? 정치권이 정동영 고문의 행보에 주목하고 있다.

<mi737@ilyosisa.co.kr>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