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계 '안철수 토사구팽' 플랜 막전막후

한국뉴스


 

민주당계 '안철수 토사구팽' 플랜 막전막후

일요시사 0 892 0 0

▲ 묵념하는 안철수·김한길 새정치민주연합 공동대표 <사진=일요시사 DB>

믿었던 김한길, 등 뒤에서 안철수 노린다?














[일요시사=정치팀] 김명일 기자 = "남편만 믿고 시집을 왔는데 남편이 180도 돌변한 격이다." 현재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공동대표의 처지를 표현한 말이다. 합당의 명분이었던 무공천은 철회됐고, 5대5 합당원칙에 대한 민주당계 인사들의 해석은 아전인수 격이다. 국회 입성 1년 만에 원내 제1야당을 접수하며 대권의 꿈에 부풀어 있던 안 대표는 지금 토사구팽 위기에 처해있다.

 icon_p.gif 

새정치민주연합(이하 새민련) 안철수 공동대표가 토사구팽(兎死狗烹·토끼 사냥철이 끝나면 쓸모없게 된 사냥개를 삶아 먹는 것) 당할 위기에 처했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현재 안 대표의 처지에 대해 "남편만 믿고 집안의 반대도 무릅쓰고 시집을 왔는데 잘해 주겠다던 남편이 180도 돌변한 격"이라고 표현했다.

상처 입은 리더십
허울뿐인 대표

새민련은 지난 28일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열어 기초연급법안에 대해 논의했지만 의원들의 격렬한 반대에 부딪혀 4월 임시국회 처리가 무산됐다. 평소 민생중심정당을 표방하며 기초연금법안을 통과시키려 했던 안 대표의 리더십은 또 한 번 상처를 입게 됐다. 일각에선 허울뿐인 대표라는 비아냥도 들린다.

합당 후 안 대표는 민주당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비례대표 지역구 출마 금지' '최고위원제 폐지' '정강정책 수정' 등의 개혁안은 사사건건 발목이 잡혔다. 새정치연합 세력 내에서도 새민련이 민주당과 달라진 것이 무엇이냐며 '도로 민주당'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합당 후 쇄신하겠다던 민주당이 정작 합당 후엔 아무 것도 내려놓지 않으려 한다는 비판이다.

합당의 명분이었던 기초선거 무공천은 기존 민주당 세력의 끈질긴 흔들기로 결국 철회됐다. 당초 합당에 따른 무공천 결정을 찬성했던 민주당 측 인사들은 "그땐 합당이 워낙 급하니까 (무공천에) 반대하지 않았지만 기초선거를 다 내줄 수는 없는 것 아니냐"며 말을 바꿨다.

"잠시 죽더라도 영원히 사는 길을 택하겠다"며 끝까지 무공천을 고수했던 안 대표는 무공천 철회 결정으로 새정치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었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차기 대권주자 지지율 1위를 차지해왔던 안 대표는 무공천 철회 결정 이후 지지율이 급락하며 1위 자리를 새누리당 정몽준 의원에게 내줘야만 했다.

게다가 무공천 철회 결정으로 안 대표 측 사람들이 줄줄이 결별을 선언하면서 안 대표는 차후 세력화 과정에서도 어려움을 겪게 됐다. 이미 수족이 다 잘려나간 셈이다.

합당과정에서 약속했던 5대5 지분 원칙에 대해서도 민주당계 인사들은 이제 와서 아전인수 격 해석을 내놓고 있다. 새정치연합 측에서는 지방선거 공천과 관련해 "양쪽이 동등하게 참여한다는 게 원칙이고 당 운영이나 공천에도 당연히 그런 정신이 반영되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지만, 민주당계 인사들은 "멀쩡한 후보들이 있는데 무조건 5대5 원칙을 내세워 전략공천을 한다면 시민들의 지지를 받을 수 있겠냐"며 반발하고 있다.

소외받는 '친안'
사실상 공천학살

민주당 출신의 한 의원도 "실무조직은 5대5로 하지만 공천은 지분을 나누는 것이 아니고 시민들로부터 지지받아 당선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후보를 내는 쪽으로 해야 한다"며 힘을 보탰다.

그러나 새정치연합 측 후보들은 "우리 측엔 새정치 바람을 타고 정치에 막 입문한 신인들이 많은데 어떤 경선방식을 도입해도 기존 민주당계 인사들과의 경쟁은 불리하다. 새정치연합과 민주당이 화학적으로 결합하기 위해서는 참신하고 능력 있는 후보들에 대한 지분 안배가 필요하다"며 대립하고 있다.

기초선거 무공천에 힘 빠진 안철수
당초 예상대로 물 건너간 화학적 결합


이른바 5대5 지분 원칙은 극심한 세력 불균형에서 새정치연합이 민주당에 흡수통합 되는 위험을 차단하기 위한 안전장치였다. 이러한 기계적 균형은 통합신당 추진 과정에서 한동안 잘 지켜졌었다. 하지만 막상 지방선거가 다가오자 민주당 인사들이 아전인수 격 해석을 내놓고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새정치연합 출신 당직자들이 민주당 출신 당직자들과 가진 상견례에서 '큰절을 강요받았다'는 주장도 나와 논란이 일었다. 이들은 김한길계 인사로 분류되는 노웅래 사무총장으로부터 "선배들에게 큰절로 인사하라"는 요구를 받고 기존 민주당 측 당직자들에게 큰절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 사무총장은 새정치연합 측 당직자들을 '시집 온 며느리'로 빗대기도 했다는 후문이다.

이에 새정치연합 측 당직자들은 굴욕감을 느꼈다고 토로했다. 노 사무총장은 이에 대해 관례라고 해명했지만 민주당 측 인사들이 새정치연합 측 인사들을 동등한 동료가 아닌 신입직원 정도로 생각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잇따랐다.

이처럼 합당 후 잡음이 계속 이어지면서 정치권에서는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아름다운 결합은 이미 물 건너 간 것 아니냐는 성급한 분석도 나오고 있다.

양당 사이엔 이미 먹느냐 먹히느냐의 처절한 싸움만 남아 있다는 것이다. 일각에선 안 대표가 민주당계 인사들에게 이용만 당하다 버려질 것이라는 '안철수 토사구팽 시나리오'까지 나돌고 있다.

정치권에서 나도는 시나리오는 이렇다.

  
▲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의원 <사진=일요시사 DB>

민주당이 안 대표와 합당한 것은 처음부터 안 대표와의 시너지효과를 기대한 것이 아니라 새정치 세력을 소멸시키려는 의도였다는 것이다. 안철수가 뜨면 뜰수록 민주당의 기득권은 위협받는다. 때문에 우선 합당을 통해 외부에서 제1야당 자리를 위협하는 새정치 세력을 소멸시킨 후 내부에서 안 대표를 견제하려는 작전이었다는 것이다.

안철수 잡고
기득권 지켰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새민련의 계파 갈등을 안철수-비노 대 친노의 대결이라고 해석하지만 내가 보기엔 '안철수세력 대 비노 대 친노'의 삼파전에 더 가깝다. 안 대표가 민주당 내에서 믿어도 되는 사람은 없다"라며 "무공천하면 선거에서 어렵다는 건 누구나 다 알고 있던 사실이다.

별로 새로울 것도 없는 사실로 친노는 안 대표를 흔들었다. 그럴 때 최소한 비노진영은 안 대표를 지원사격 했어야 하는데 사실상 방관했다. 비노가 친노와 함께 안 대표를 함정에 빠뜨린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무공천 철회 결정 이후 안 대표의 대표직 사퇴를 만류한 것도 지방선거 패배에 대한 희생양이 필요했기 때문이란 분석도 있다. 민주당계 인사들은 안 대표의 중도 낙마를 바라고 있겠지만 무공천 철회 결정 이후 곧바로 안 대표를 낙마시키면 그야말로 안 대표를 토사구팽시킨 격이 된다. 또 지방선거가 코앞인데 지방선거 결과에 책임을 질 희생양도 필요했을 것이란 주장이다.

정치권에서는 후폭풍을 최소화할 구체적인 토사구팽 시나리오도 나오고 있다.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의 임기는 신당 창당대회 이후 1년에 불과하다. 1년 후엔 어쩔 수 없이 당권을 내려놔야만 한다. 그런데 안 대표 진영에는 안 대표 외에 무게감 있는 인물이 없다. 굳이 손을 대지 않더라도 안 대표는 자연스럽게 세력을 잃고 새민련 내에서 도태될 것이란 분석이다.

지분 나눌 때 되니 딴소리
유통기한 지난 5대5 정신


합당 결정과 무공천 결정 과정에서 그나마 몇 안 되는 측근세력을 잃었고, 지분 배분 없이 정상적인 공천 과정을 거칠 경우 새정치연합 측 후보가 지방선거에서 살아남을 가능성도 희박하다. 문제는 여전히 높은 안 대표의 지지율인데, 안 대표가 현재 하락세인 지지율을 반등 시킬 별다른 변곡점도 보이지 않아 큰 문제는 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안 대표가 새민련에서 세력화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분석이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일련의 흐름에 대해 "민주당이 안 대표를 토사구팽함으로써 여권을 이기지는 못해도 야권 강세지역에 대한 기득권은 지켜낸 것 아니냐"며 "민주당은 처음부터 여권을 이기겠다는 생각보다는 기득권을 지키겠다는 생각이 더 강했던 것 같다. 어찌 보면 새누리당보다 더 보수적인 집단이 민주당"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안 대표가 앞으로 모든 실권을 잃는다 해도 새민련을 떠나기는 힘들다. 자신이 당을 만들어놓고 떠날 명분이 없지 않나? 결국 안 대표는 지방선거가 끝나고 나면 새민련의 '얼굴마담'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닌 존재로 남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미 토사구팽
예고된 뻔한 결말

너무 취약한 세력으로 기존 민주당의 기득권을 깨려 했던 시도 자체가 무모했다는 것이다. 물론 이 같은 시나리오는 주로 여권이나 보수인사들 사이에서 들려오고 있다.

또 시나리오를 세심히 들여다보면 다소 허무맹랑하고 비약적인 해석도 많다. 야권에서는 이러한 시나리오에 대해 안 대표와 민주당 인사들 사이를 이간질하려는 보수진영의 틈새 벌리기 작전이라며 평가절하하고 있는 이유다.

하지만 과거 새정치연합에 몸담았던 한 관계자는 "새정치연합과 합당하면서 민주당은 많은 약속을 했지만 지금까지 아무 것도 변한 것이 없다.

민주당 스스로 무엇을 내려놓았나 반성해야 한다"며 "안 대표의 정치철학에 털끝만큼도 동의하지 않으면서 합당에 찬성한 것은 결국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한 눈속임이었나? 무공천 철회로 안 대표는 이미 토사구팽을 당한 셈"이라고 일갈했다.

 

<mi737@ilyosisa.co.kr>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