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물 없는 ‘라면 전쟁’막후

한국뉴스


 

국물 없는 ‘라면 전쟁’막후

일요시사 0 1685 0 0


비비고 비비고 ‘매운맛 고지전’

[일요시사=경제2팀] 박효선 기자 = 하얀 국물 라면의 전성기가 저물고 국물 없는 라면의 전성기가 찾아왔다. 국내 라면시장 판이 움직이면서 비빔라면 춘추전국시대가 왔다. 지속되는 경기 불황에 매운맛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비빔라면시장이 화끈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식품업체들은 국내 라면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농심의 아성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icon_p.gif 
 

여름이 다가오면서 국물 없는 라면시장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국내 식품업체들은 시장점유율 확대를 위해 비빔라면 마케팅에 총공세를 펼치고 있다. 특히 경기 불황이 지속되면서 화끈하게 매운맛이 주목을 받고 있다. 젊은 소비자들은 짜파게티, 불닭볶음면 등 국물 없는 라면을 구입하는 데 지갑을 열었다. ‘꼬꼬면’으로 하얀 라면 전성기를 열었던 팔도는 ‘비빔면’으로, ‘나가사끼 짬뽕’ 이후 주춤했던 삼양식품은 ‘불닭볶음면’으로 다시 올라설 분위기다.

더 얼큰하게∼

유통업계에 따르면 라면시장 1위는 농심, 2위는 오뚜기, 3위는 삼양식품이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비빔라면 전성시대가 오면서 농심의 아성이 흔들리고 있다. 물론 라면전체 시장은 농심이 꽉 잡고 있지만, 비빔라면 시장에서만큼은 식품업체들의 춘추전국시대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비빔라면 시장 규모는 약 725억원에 달했다. 마트에서도 비벼 먹는 라면 매출이 대폭 상승했다. 롯데마트의 라면시장 조사에서 비빔라면 매출은 전년 대비 3.5배 늘어난 반면 국물 있는 봉지라면의 매출은 21.3% 감소했다. 특히 비빔라면이 전체 봉지라면 매출에서 지난해보다 3% 상승해 8.4%를 차지했다.

오뚜기와 삼양식품 두 업체 사이에서는 비빔라면을 두고 2위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불꽃 튀는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오뚜기(14.2%)와 삼양식품(13.8%)의 시장점유율 격차는 0.4%에 불과하다. 비빔라면 시장에서는 ‘꼬꼬면’으로 유명한 팔도 역시 오뚜기와 삼양식품에 뒤지지 않는다. 오뚜기, 삼양식품, 팔도 3곳 업체는 비빔라면 시장 1위를 차지하기 위해 국물 없는 라면 사업에 올인하는 모습이다.

특히 올해는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불닭볶음면은 시중에 나온 제품 중에 가장 매운 라면으로 꼽힌다. 사실상 불닭볶음면은 출시됐던 당시에는 반응이 좋지 않았다. 청양고추의 매운 맛 때문에 호불호가 갈렸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매운맛이 인기를 끌면서 삼양은 불닭볶음면으로 라면시장을 선점하기 시작했다. 지난 10월부터 최근까지 불닭볶음면은 편의점에서 농심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국물 없는 라면이 편의점에서 국물 있는 라면을 제친 것은 처음이다.

지난해에는 인터넷에서 불닭볶음면이 판매정지를 당했다는 소문이 돌았다. 알고 보니 할인점과 편의점 등에서 불닭볶음면의 재고가 너무 빨리 소진돼 벌어진 해프닝으로 밝혀졌다. 올해 삼양식품의 불닭볶음면 판매목표는 월 1000만개다.

지난해 12월에는 팔도가 ‘불낙볶음면’을 출시해 표절 논란에 휩싸였다. 삼양식품 ‘불닭볶음면’과 지나치게 유사한 제품명과 디자인 때문이다. 당시 삼양식품은 팔도에 소송을 하겠다며 반격을 가했다. 그러나 팔도는 삼양 불닭볶음면 디자인에는 불꽃 안에 ‘화끈한 매운맛’으로 표기됐지만 불낙볶음면에는 ‘불맛’으로 쓴 점이 다르다며 교묘하게 표절논란을 피해갔다. 그러나 팔도는 삼양의 불닭볶음면 인기에 편승했다는 비판을 피해갈 수는 없었다.

삼양·오뚜기·팔도 비빔라면 경쟁
라면시장 독점 농심 아성에 도전장

여름이 다가오면서 비빔면 전쟁도 일어날 조짐이다. 비빔면 시장에서는 팔도가 점유율 65%를 차지하며 독점하고 있다. 팔도는 ‘팔도 비빔면’ 외에도 지난 8일 ‘팔도 쫄비빔면’을 출시했다. 여름 시즌 1위 굳히기에 대비하는 모습이다.

그러나 팔도의 비빔면 시장을 뺏기 위한 타 업체들의 움직임도 만만치 않다. 팔도에 이어 비빔면 시장은 오뚜기 비빔면이 차지하고 있다. 오뚜기는 ‘메밀비빔면’으로 건강을 생각하는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국물 없는 라면 시장에서 부진을 겪고 있던 농심은 비빔면 ‘하모니’의 광고모델로 최근 종영한 인기드라마 <응답하라 1994> 주연배우들을 선정해 10∼20대를 겨냥했다. 농심의 올해 하모니 판매목표는 월 200만∼300만개다. 2월에는 고춧가루와 참기름을 더한 ‘뉴 찰비빔면’도 리뉴얼 출시했다.

 icon_p.gif 
 

삼양식품은 지난달 ‘토마토 비비올레’를 선보였다. 비빔면의 매운맛 경쟁이 치열해지자 토마토의 상큼함으로 차별화를 둔 것으로 보인다. 라볶이 시장에서는 오뚜기의 ‘콕콕콕 라면볶이’가 선점하고 있다. 최근에는 팔도가 ‘도시락 라볶이’를 출시했다.

자신만의 기호에 맞게 조리법으 바꿔 즐기는 소비자 ‘모디슈머’ 열풍으로 짜장 라면 시장도 치열하다. 지난 14일에는 블랙데이를 겨냥한 라면업체들의 짜장면 전쟁이 벌어졌다. 블랙데이는 연인이 없는 사람들이 짜장면을 먹는 날이다.

짜장면 시장에서 ‘짜파게티’로 1위를 지키고 있는 농심은 블랙데이에 ‘짜파데이’ 이벤트를 진행했다. ‘솔로부대 응원 메시지 남기기’, ‘짜파구리(짜파게티+너구리) 시식 인증샷 남기기’ 등의 이미지를 올리면 추첨을 통해 짜파게티와 너구리를 증정했다. 삼양식품도 이날 ‘블랙데이’를 맞아 ‘∼로니’ 고백이벤트를 벌였다. ‘짜짜로니’는 농심 ‘짜파게티’의 라이벌이다. 네티즌들 사이에서도 농심과 삼양의 짜장 라면 맛을 두고 논쟁을 벌이고 있다.

팔도도 블랙데이 이벤트로 ‘일품짜장면’ 판매에 열을 올렸다. ‘일품짜장면’ 2개가 들어있는 철가방 세트를 들고 경기지역 중대형 매장을 중심으로 한 달 동안 판매하고 있다.

맛·색깔이 무기

그러나 일각에서는 지난 2011년 이후 하얀 국물 라면 인기가 시들었듯 국물 없는 라면도 올해 안에 성장이 멈출 것이라고 보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요즘은 국물 없는 비빔라면 시장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며 “하얀 라면이 반짝 인기에 그쳤듯이 국물 없는 라면도 전통 라면처럼 갈 수 있을지는 두고 봐야 한다”고 꼬집었다.

 

<dklo216@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라면업계는 지금…모디슈머 열풍

새로운 소비자 유형의 모디슈머 등장은 비빔라면 전성기를 열어주었다. 모디슈머는 modify(수정하다, 바꾸다)와 consumer(소비자)의 합성어다. 제조업체가 제시하는 방식이 아닌 소비자가 제품을 만들어 소비하는 사람을 뜻한다.

비빔라면이 주목받게 된 것은 지난해 한 예능프로그램에서 농심 짜파게티와 너구리를 섞은 '짜파구리'가 등장하면서 부터다. 이전부터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모디슈머가 만들어낸 ‘짜파구리’가 유명했다. 그런데 TV프로그램 ‘아빠 어디가’에서 방송인 김성주가 ‘짜파구리’를 만들었고, 이 음식을 가수 윤민수 아들 윤후가 맛있게 먹었다. 이 방송은 라면 시장에 큰 변화를 일으켰다. 지난해 농심은 짜파게티와 너구리로 역대 최고 매출실적을 기록했다. 2000억원이 넘는 판매고를 올리면서 전년보다 26% 성장했다.

TV프로그램 ‘해피투게더’의 ‘야간매점’도 모디슈머를 키우는데 한몫했다. 비빔면에 골뱅이를 더한 일명 ‘골빔면’을 선보였다. 모디슈머들은 오징어짬뽕과 짜파게티를 함께 만든 ‘오빠게티’, 불닭볶음면과 삼각김밥,치즈를 섞어 먹는 ‘불삼치’ 등을 만들어냈다. 업체들은 모디슈머를 활용하기 시작했다. 삼양식품은 불닭볶음면과 짜자로니를 섞은 ‘불짜로니’를 소개했고, 팔도는 불낙볶음면과 일품짜장면을 활용한 ‘불짜장’을 알려주는 등 모디슈머 대응에 나서고 있다. <효>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