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먹은' M&A 제왕 김병주 실체

한국뉴스


 

'홈플러스 먹은' M&A 제왕 김병주 실체

일요시사 0 1048 0 0

‘7조7000억 베팅’ 대기업 총수 안 부럽다

[일요시사 경제팀] 박호민 기자 = 아시아·태평양 기업인수합병(M&A) 역사상 최고 인수가 기록이 깨졌다. 테스코가 홈플러스를 7조7000억원대에 팔면서다. 업계는 엄청난 규모의 홈플러스를 단숨에 삼킨 인수업체에 눈길이 쏠렸다. 인수업체는 국내 토종 사모펀드(PE) MBK파트너스. 자연스레 MBK파트너스 수장에게도 관심이 집중됐다. 주인공은 김병주 회장이다.

국내 사모펀드 업체 MBK파트너스(이하 MBK)는 테스코로부터 홈플러스를 7조6800억원에 지분 100% 인수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7일 밝혔다. 이로써 종전 아시아 M&A 역사사상 최고 인수가 기록을 경신하게 됐다. 종전 인수 최고가는 지난 2007년 신한금융지주의 LG카드 인수 금액 6조 6765억원.

인문학도 소년
M&A 거물 성장

홈플러스 매각 과정은 그 규모만큼이나 언론의 관심을 받았다. 매각 과정에서 김병주 회장의 역할도 부각됐다. 테스코가 지난 6월 5일 HSBC증권을 홈플러스의 매각주관사로 선정하면서 본격적인 입찰경쟁이 시작됐다. 인수에 참여한 후보자는 MBK를 포함해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 KKR 등 글로벌 사모투자전문회사(PE)였다. 6월 24일 예비제안서가 마감되면서 경쟁자들의 윤곽이 드러났다.

인수 희망자는 MBK, KKR, 어피니티, 칼라일, 텍사스퍼시픽그룹(TPG) 등 세계적인 PE들이 대거 참여했다. MBK의 인수에 험로가 예상되는 순간이었다. 7월1일 적격후보(숏리스트)가 발표됐다. 숏리스트로 선정된 업체는 MBK파트너스, KKR, 어피니티, 칼라일 등이었다. 다행히도 글로벌 PE들이 떨어져 나가면서 MBK의 인수 가능성은 높아졌다. 7월23일에 회사 현황 설명회에 참석하기 위해 한차례 홍콩에서 모인 후 8월 매각을 위한 치열한 물밑 작업을 벌였다.

이 기간 MBK 김병주 대표와 실무진들은 휴가 기간에도 불구하고 경쟁사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분석하며 인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역량을 집중했다. 마지막까지 MBK의 인수를 어렵게 만드는 회사는 글로벌 PE인 KKR이었다. KKR은 어피니티와 컨소시엄을 구성하면서 MBK를 압박했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KKR컨소시엄은 투자 자금 증빙에 실패하면서 우선협상대상자에서 제외됐다. 결국 MBK는 홈플러스 인수에 성공했다. 국내 M&A사를 새로 쓴 순간이었다. 10년차에 접어든 국내 토종 PE가 오랜 전통을 가진 글로벌 PE를 이긴 것도 업계의 눈길을 끌기에 충분했다.

김 회장에게는 6년전 OB맥주 인수전에서 KKR에게 당한 패배를 설욕한 셈이다. 김 회장은 사석에서 종종 OB맥주와의 인수전 당시를 회상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따라서 이번 승리에 대한 의미는 남다를 것으로 판단된다.

인문학을 전공한 김 대표의 삶은 치열한 승부사의 인생과 닮아있다. 이 같은 모습은 <한국경제신문사>에서 발간한 <1조원의 승부사들>(저자:박동휘, 좌동욱)에서 잘 나타나 있다. 총 304페이지로 구성된 이 책의 내용을 살펴보면 1963년 경남 진해에서 태어난 김 회장은 10세에 혼자 미국으로 건너갔다. 영어를 한마디도 못하던 때였다.

“정말 막막했다. 어떻게 하면 영어를 잘할 수 있을까 고민에 빠졌다. 그때 아버지가 말씀하셨다. 무조건 영어책을 소리내어 읽으라고”. 그때부터 김 회장은 손에 잡히는 대로 책을 읽었다고 전해진다. 특히 소설류를 많이 읽었는데, 그러면서 문학도의 꿈을 꾸게 됐다. 평소에 취미가 무엇이냐고 물으면 주저하지 않고 “책읽기”라고 말할 정도로 독서광이 됐다.

ING생명, 네파, 씨앤엠, 코웨이 등 인수
 한국·일본·중국서 총 22개 기업 성공

키 작은 동양의 아이라고 놀림 받고 소외되는 것이 싫어 운동도 열심히 했다고 한다. 중학교 시절엔 야구부에서 활약했고, 대학 농구팀에선 포인트가드를 맡았다. 한때는 영화감독과 야구 구단주를 꿈꾸기도 했다. 미국 동부의 명문 사립대인 하버포드칼리지에서 영문학을 공부하면서 작가의 꿈을 꾸었지만 결국 이루지는 못했다. 하지만 저자는 이때의 경험이 이후 김 회장의 삶에 큰 영향을 끼쳤다고 설명한다.

 



▲ MBK 건물

국내 사모펀드 업계에서는 그를 두고 ‘고급스러운 영어를 가장 자연스럽게 구사하는 달변가’, ‘영어 프레젠테이션의 달인’으로 평가할 정도다. 실제로 2009년 유럽 대형 투자자의 자금을 끌어내기 위해 프레젠테이션을 할 때 최고 투자책임자가 그의 유창한 영어 구사 능력에 압도됐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저 아시아인이 도대체 누굽니까?”라고 물을 정도였다고 한다. 깊은 인문학 지식을 활용해 고객의 마음을 움직였던 것이다. 그와 협상 테이블에 마주 앉으면 누구라도 후덕한 인상과 겸손한 말솜씨에 반하게 된다.

대학 졸업 후 입사한 첫 직장은 월가의 골드만삭스였다. 김병주 회장은 골드만삭스 시절을 “밤새는 걸 당연하게 생각하며 살던 시절”이라고 회상했다. “코피 흘린 것 외에는 기억나는 게 없다”고 할 정도로 죽도록 고생해 다시는 월 가에 발을 들여놓지 않겠다고 결심까지 할 정도였다고 했다. 비록 힘들긴 했지만 20대의 그가 골드만삭스에서 얻은 경험들은 훗날 엄청난 자산이 됐다. 

OB맥주 패배 
이번에 설욕

당시 골드만삭스는 적대적 M&A의 방어 역할을 주로 맡았다. 그는 M&A 광풍의 현장에서 2년 정도 경험을 쌓은 후 과감히 사표를 던지고, 더 큰 도전을 위해 하버드 MBA 과정을 밟았다. 하버드 MBA를 마친 김병주 회장은 발걸음도 하지 않겠다고 그토록 다짐했던 월 가로 돌아왔다.

그것도 골드만삭스라는 친정으로의 복귀였다. 그 이후 뉴욕 본사와 홍콩 지사를 거치며 자리를 굳히기 시작했다. 그렇게 4년 반을 더 일한 뒤, 33세이던 1996년 살로만 브라더스로 직장을 옮겼다. 하지만 살로먼에서의 생활도 3년을 넘지 못했다. 1999년 당시 최고의 사모펀드 운용사로 명성을 날리던 칼라일그룹에 입사했다.

칼라일에 들어간 이후 1998년 외환위기가 불러온 한국 M&A 시장의 급팽창, 그리고 외국계 사모펀드들의 M&A 맹활약 등을 생생히 목격했다. 그리고 직접 몸으로 부딪히며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이것을 기반으로 김병주 회장은 37세이던 2000년 한미은행 인수를 주도하면서 글로벌 사모펀드 시장의 주목을 한몸에 받기 시작했다. 이는 칼라일 그룹 역사상 단일 규모로는 가장 큰 거래였고, 칼라일그룹 최초의 금융회사 투자이기도 했다. 심지어 입사 1년 만에 성사시킨 거래였다.

 



▲ 김병주 MBK 회장

3억 달러(약 3000억원)를 투자해 원금 대비 2.3배의 수익을 칼라일 그룹에 안겨줬다. 칼라일그룹이 설립 이래 거둔 가장 큰 규모의 수익이었다. 이게 2004년 초의 일이었다. 2004년 12월, 국내에 사모펀드법이 태동할 무렵 김병주는 이미 세계적인 사모펀드 운용사인 칼라일그룹에서 ‘거물’로 성장했다. 그는 칼라일그룹 전체 매니지먼트 커미피 7인 멤버 중 하나였다.

칼라일그룹 경영에 대한 최종 결정을 내리는 이 자리의 참석자는 창업자 3명과 유럽 헤드, 아시아 헤드, 벤처 헤드 등이었다. 그 아시아 헤드가 바로 김병주 회장이었다. 그는 한국 시장에 엄청난 변화, 기회가 오고 있는 것을 직감했다. 드디어 정부가 주도하는 사상 초유의 사모펀드 시장이 한국에 열리고 있는 것을 목격한 그는 독립을 결심했다.

10세 때 홀로 미국 땅으로 ‘성공 신화’
설립 10년만에 아시아 최대 PE로 키워

2005년 3월 1일, 하버드 동문인 윤종하 현 MBK파트너스 부회장을 비롯해 김병주 회장과 인척간인 부재훈 대표와 홍콩 헤드였던 케이시 쿵, 일본 헤드였던 켄스케 시즈나카 등 6명의 칼라일그룹 멤버들과 함께 아시아 지역 펀드로는 사상 최대 규모인 15억 달러짜리 ‘MBK 1호 펀드’를 만들면서 사모펀드 시장에 데뷔했다. 저자는 당시 분위기에 대해 그가 독립을 선언하자 칼라일그룹은 발칵 뒤집어졌다고 설명했다. 어쨋든 자신의 이름 석자 MBK (마이클 병주 킴)를 내건 사모펀드를 세상에 내놓으면서 그 이름 앞에 붙길 원한 수식어는 딱 두 가지였다.

‘로컬’과 ‘독립’. 김병주 회장은 “사모펀드 역사상 최초로 한, 중, 일을 포괄하는 동북아 사모펀드를 만들고 싶었습니다. 투자 지역으로도 기존과 다른 형태의 펀드였기에 운용도 아시아 사람이 해야 한다고 생각했죠. 당시만 해도 아시아 투자를 하는 데 뉴욕에 있는 미국 보스들의 결제를 받아야 했어요. 그 고리를 끊고 싶었던 겁니다”라고 당시를 회상하며 말했다고 전했다.

현재 MBK는 김 회장의 계획대로 상반기 현재 자산규모 82억 달러에 육박하는 국내 최대규모의 PE로 성장했다. 서울과 도쿄, 상하이, 홍콩 등에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MBK의 투자 기업들의 매출액은 미화 287억 달러, 직원 수는 4만1065명에 달한다.

지난해에는 ING생명을 1조8400억원에 사들였고, 앞서 아웃도어업체 네파, 케이블방송사업자 씨앤엠(C&M), 정수기업체 코웨이, HK저축은행, 유니버설스튜디오재팬, 에이팩로지스틱스(중국), 루예제약(중국), 뉴차이나생명(중국), 인보이스(일본), 고메다(일본) 등 한국 일본 중국 등에서 총 22개 기업을 인수한 바 있다. 한국기업의 보유 비중은 50% 수준이다.

박태준 사위
결혼도 눈길

김 회장이 언론의 관심을 받으면서 그의 장인인 고 박태준 전 총리(1927∼2011)도 새삼 주목받고 있다. 육군사관학교 출신인 고 박 전 총리는 1962년 육군 소장으로 예편한 뒤 1968년 포항종합제철소를 설립했다. 정가에는 1997년 국회의원으로 입문해 자민련 총재까지 지냈으며, 2000년 1월 32대 국무총리를 역임한 바 있다. 그러나 취임 4개월만에 부동산 명의신탁 의혹을 받고 물러났다. 퇴임 후 그는 포스코 명예회장으로 추대됐다.

김 회장의 부인 이력도 눈길을 끈다. 고 박 전 총리의 넷째 딸이자 김 회장의 부인인 박경아 씨는 과거 전두환 아들 전재용씨와 결혼했으나 이혼한 이력이 있다. 김 회장과의 결혼은 재혼인 셈이다.

<donkyi@ilyosisa.co.kr>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