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쪽' 같은 영화인 정지영 감독

한국뉴스

<화제의 인물> '대쪽' 같은 영화인 정지영 감독

일요시사 0 1280 0 0

<남영동 1985> 대선판 뒤흔드나?

[일요시사=사회팀] 정지영 감독은 부조리한 권력과 맞선다. 절대 우회하거나 타협하지 않는다. 그는 칼날 같은 시선으로 사회문제와 역사의 아픔을 들춰내며 문제 제기를 해왔다. 그리고 이번 대선을 단단히 벼르기라도 한 듯 <부러진 화살>과 <남영동1985>를 연속으로 내놓았다. 그는 "영화가 대선에 영향을 끼쳤으면 좋겠다"며 기획의도를 숨기지도 않는다. 뜨겁게 달궈진 대선불판, 시대적 상처를 들춰내는 그의 영화가 과연 '캐스팅보트'가 될 수 있을까.

오는 22일 전격 개봉 예정인 정지영(66) 감독의 <남영동1985>는 지난 10월 부산국제영화에서 가장 큰 관심을 불러 모은 화제작이다. 공개 직후 영화계뿐 아니라 정계에서도 이슈몰이를 톡톡히 했다. 지난 2011년 고문후유증으로 파킨슨병을 앓다 세상을 떠난 고 김근태 전 의원이 남긴 고문 수기 <남영동>을 극화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대선에 영향
끼쳤으면 좋겠다"

영화는 김 전 의원이 민청학련사건으로 1985년 9월 남영동 치안본부 대공분실에 끌려간 뒤 22일간 고문을 당한 이야기를 여지없이 그려내고 있다.

<남영동1985>는 김 전 의원을 모델로 한 주인공 김종태를 중심으로 고문이 인간의 육체와 영혼을 파괴하는 과정을 적나라하게 묘사하고 있다. 상영 시간 중 90% 이상이 고문 장면으로 구성돼 영화를 보는 관객은 마치 자신이 고문을 당하는 느낌이 들 정도다.

'고문기술자' 이근안을 모델로 한 극중 이두한의 악랄함은 범인의 상상을 뛰어넘는다. 고춧가루 탄 물을 코와 입에 들이붓는가 하면, 회음부가 터지기 직전까지 전기고문을 가한다.

쉴 새 없이 고문을 당하는 김종태의 모습은 당시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행해졌을 숱한 잔혹사를 상징한다. 이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유신체제 치하와 전두환 전 대통령이 통치하던 1980년대, 민주화를 위해 앞장섰던 투사들이 색깔론에 의해 고문의 피해자가 돼야 했던 역사의 한 단면이기도 하다. 현 집권당인 새누리당의 대선후보이자 유신독재로 정권을 이어갔던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 박근혜 후보가 이 영화가 던지는 메시지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것도 그 때문이다.

정 감독은 대놓고 영화가 대선에 영향을 끼쳤으면 좋겠다고 말한다. 지나치게 정치적이지 않느냐는 비판이 나와도 눈 하나 꿈쩍하지 않는다. 오히려 영화가 가지고 있는 정치성을 설명한다.

'야만의 시대' 다뤄 분노보다 슬픔
부당한 권력에 맞선 비타협주의자

그는 "영화에는 감독의 정치적 의식이 담길 수밖에 없다"며 "정치란 말이 직접 나오지 않아서 알아차리지 못할지는 몰라도 작품 속 정치성은 관객에게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한마디로 예술인의 작품은 정치적이지 않은 것이 없다는 말이다. 이어 그는 "대선에 어떤 형태로든 영향을 끼치는 것은 감독으로서 보람"이라고 말했다. 그는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올해 출마한 대선후보 모두가 이 영화를 꼭 봤으면 좋겠다"며 대선후보들을 시사회에 꼭 초대하겠다고 밝히기까지 했다.

정 감독은 충청북도 청주 출신으로 청주고등학교와 고려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한 후 김수용 감독 연출팀에서 <내일은 진실> <황토> <가위바위보> 등의 조연출을 맡아 칼을 갈았다.

사진은 영화 &lt;남영동1985&gt;의 한 장면
▲사진은 영화 <남영동1985>의 한 장면

그는 1982년 신일룡, 오수미 주연의 <안개는 여자처럼 속삭인다>를 연출하여 영화감독으로 정식 데뷔했다. 이 영화는 두 여주인공을 팜므파탈로 등장시켜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느와르풍 영화로 이후 정 감독은 대부분 영화에서 시나리오를 직접 썼다.

1987년 한수산 원작 청춘남녀들의 엇갈린 운명과 사랑담을 그린 멜로영화 <거리의 악사>를 연출해 흥행과 동시에 영화계의 주목을 받았고, 그로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는 성에 대한 영화를 주로 찍어 이 시기에 유행하던 흐름에 동참했다.

6월항쟁 성공과 함께 사회 분위기가 급변하면서 조선인민유격대 출신인 이태의 실화소설 <남부군>이 출판되자, 그는 베스트셀러가 된 이 소설을 1990년에 영화화했다. 최진실과 임창정의 데뷔 출연작으로 유명한 <남부군>은 오랫동안 금기시되었던 주제에 도전하여 빨치산의 인간적 면모를 그려내 평단의 호평과 흥행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 이 영화는 한국전쟁 당시 공산주의인 빨치산의 활동상과 처지를 객관적이면서도 긍정적인 시각으로 그린 최초의 영화다. 또 제작기간 3년에 엑스트라 3만명, 항공기까지 지원받은 당시로써는 보기 드문 초대형 블록버스터로 흥행에서도 대성공을 거두었다.

박근혜 후보
시사회 초대 할 것

정 감독은 1991년 시인 고은의 소설 <산산이 부서진 이름>을 영화화해 서로 사랑하게 된 젊은 비구승과 비구니의 고뇌와 번민을 담은 종교영화 <산산이 부서진 이름이여>를 연출하기도 했다.

이듬해 베트남전쟁의 상처를 다룬 <하얀 전쟁>은 당시로서는 국내 영화사상 최고액인 20억 원의 제작비를 들인 블록버스터급 영화로 국제영화제 본선에 진출하여 최우수작품상·감독상·도쿄시장상을 수상하는 등 해외에서도 큰 반향을 일으켰다.

1994년 안정효의 자전적 소설을 각색한 <할리우드 키드의 생애> 이후 내놓은 작품들은 흥행과 비평 양면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이후 정 감독은 메가폰을 잠시 내려놓고 스크린쿼터를 지키기 위해 결성한 영화인대책위원회의 위원장을 맡는 등 한국영화인들의 입장을 대변해왔다. 정 감독은 또 한국영화인회의 이사장과 서울예술전문학교 학장도 지냈다.

정 감독은 <까> 이후 몇 편의 프로젝트를 준비했지만 번번이 무산됐다. 혁명가 김산의 일대기를 그린 님 웨일스의 소설 <아리랑>의 영화화는 무려 8년이나 매달렸지만 마무리 짓지 못했고, 광주항쟁을 소재로 한 <은지화> 사극 <울밑에 선 봉선화>와 한국계 러시아 로커의 전기영화 <빅토르 최> 등도 빛을 보지 못했다. 그러던 중 만난 <부러진 화살>은 정 감독의 구미를 확 끌어당겼다.

1998년 이후 13년 만에 내놓은 저예산영화 <부러진 화살>은 관객 350만명을 끌어 모으며 정 감독을 부활시켰다. <부러진 화살>은 김명호 전 성균관대 교수의 이른바 ㅋ'석궁테러사건'을 소재로 한 영화로 법조계의 심기를 불편하게 만들었다. 영화 개봉 한 달 전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대책회의가 열렸고, 영화 개봉 1주일을 앞두고 대법원은 석궁 재판 관련 판결문을 정리한 자료를 각급 법원 공보판사에게 발송하는가 하면, 당시 사법부에선 일선 판사들에게 '대응지침'까지 내릴 정도였다.

올해 말엔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를 개봉할 예정이다. 다큐멘터리 <영화판>은 한국 영화계의 고질적인 문제를 들추는 작품으로 전해지고 있다. 정 감독이 제기하는 문제를 두고 각 계층의 영화인들이 답하는 형식으로 배우 윤진서가 정 감독과 함께 인터뷰어로 등장한다. 이 작품엔 제작자와 감독, 배우의 입장에서 한국 영화계의 뒷이야기를 담았고 여배우들 노출에 대한 의견 등 다양한 화제가 담겨있다.

<남영동1985>
캐스팅보트 될까

최근 정 감독은 칼 같은 시선으로 사회문제를 영화에 담아내며 재조명 받고 있다. 그는 권력의 부조리가 있으면 우회하거나 타협하지 않는다. 또 시대적 아픔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연출로 관객들의 감정선도 건드린다. 이처럼 정 감독은 지난 30년 동안 젊은 감독들도 감히 도전하지 못했던 사회적 문제를 용감하게 끌어내어 관객들에게 선보여 왔다.

그리고 정 감독은 뜨겁게 달궈진 대선 정국에 맞춰 지난 역사에서 가장 아픈 상처를 적나라하게 들춰내는 <남영동1985>를 내놓았다. 화제의 전작 <부러진 화살>이 진실을 왜곡하는 권력의 부당함에 분노를 느끼게 했다면 <남영동1985>는 악랄한 시대상을 비춰 '분노'보다는 '슬픔'을 느끼게 한다. 이 형언할 수 없는 시대적 슬픔, 대선을 한 달 앞두고 개봉하는 이 영화가 '캐스팅보트가' 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김민석 기자 <ideaed@ilyosisa.co.kr>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