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꾸 손벌리는 부영, 왜?

한국뉴스


 

<재계뒷담화> 자꾸 손벌리는 부영, 왜?

일요시사 0 1350 0 0

돈 없어 빌리면서 ‘펑펑’

[일요시사 경제팀] 김성수 기자 = “저럴 때가 아닌데…”

부영그룹을 두고 재계 호사가들이 하는 말이다. 불황을 맞아 대부분의 기업이 금고를 닫고 있다. 한 푼이라도 아끼려고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그런데 부영그룹에겐 딴 나라 얘기다. 돈을 펑펑 쓰고 있다. 자금 사정이 썩 좋지 않은데 말이다.

부영그룹이 사회공헌활동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부영그룹은 지난해 100억원 가량 들어간 연세대학교 우정원을 신축해 기증하는 등 지금까지 인재양성을 위해 전국적으로 100여곳에 달하는 교육시설을 건립해 기증했다.

“저럴 때 아닌데”

또 수십개 학교에 수억원씩 발전기금을 쾌척하는가 하면 불우 청소년과 유학생들에게 적게는 수십만원에서 많게는 수천만원의 장학금을 수여하고 있다.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등 해외에도 학교를 무상으로 지어주고 있다. 교육시설 뿐만 아니라 노인회관과 보건소, 마을회관 등 비교육시설로도 사회공헌활동을 꾸준히 펼치고 있다. 

최근엔 무려 700억원을 투입, 충주에 전국 최초로 노인 전문 교육원을 건립해 국가에 기부하기로 했다. 교육원 건립은 이중근 회장이 대한노인회 부회장을 맡고 있어 부영 측이 사회환원 차원에서 건립비 전액을 부담하기로 하면서 추진됐다.

이중근 회장은 직접 앞장서 각종 지원사업을 챙기고 있다. 저서를 정부기관, 대학 등에 무료로 기증하고 있는 이 회장은 ‘노블레스 오블리주(사회지도층의 도덕적 의무)’를 실천하는 대기업 오너로 귀감이 되고 있다. 

부영그룹은 지난해 직원들에게 파격적인 ‘당근’을 내밀기도 했다. 임원을 제외한 부장 이하 직원 연봉을 직급에 따라 15∼30% 인상한 것. 이에 따라 부영그룹 대졸 평균초봉이 3200만원에서 4200만원대로 1000만원 가량 상승했다. 부영 측은 “직원들의 사기를 올리고 경영 마인드를 바꾸기 위한 방안으로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오너일가는 ‘배당 잔치’를 벌였다. 이 회장은 2013년 대화도시가스(104억원)을 비롯해 부영(92억원), 광영토건(92억원), 동광주택산업(84억원), 부영대부파이낸스(5억원) 등에서 배당금을 챙겼다. 이중 광영토건과 대화도시가스, 부영대부파이낸스의 배당을 두고 말들이 많았다. 광영토건은 순이익의 13배에 달하는 금액을 배당했다. 대화도시가스, 부영대부파이낸스도 순이익보다 배당금이 많았다.

재계 관계자는 “기업들이 다들 어렵다 어렵다 하는데 부영그룹을 보면 꼭 그렇지만은 않은 것 같다”며 “사회공헌과 직원들 복지에 돈을 쓰는 것은 물론 칭찬 받아 마땅하지만 문제는 사정이 썩 좋지 않다는 데 있다”고 말했다.

통큰기부·연봉인상·배당잔치에 의문부호
운영자금 없어 잇달아 계열사서 자금 차입 

그의 말대로 그룹 지주회사 역할을 하고 있는 부영은 당장 돈이 없어 보인다. 계열사에 자꾸 손을 벌리는 처지다. 부영의 사회공헌과 직원들 연봉 인상, 오너일가 배당잔치가 지나친 게 아니냐는 의문이 생기는 대목이다.

일단 외형적인 모습만 보면 자금력은 충분해 보인다. 1983년 창립한 부영그룹은 부동산 개발 및 임대업을 주력으로 재계 순위 21위(공기업 제외)에 올라있다. 2013년 말 기준 총자산은 10조원에 달한다. 


 



▲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

임대주택 사업이 자리를 잡으면서 다른 건설사와 달리 안전적인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일부 계열사들의 선전 덕분에 가능했다. 실제 주력사인 부영주택과 동광주택을 제외하면 그리 눈에 띄는 계열사가 없을 정도다.
부영으로 시선을 돌려보면 상황은 심각하다. 돈을 펑펑 쓰는데 의문을 거둘 수 없다. 부영은 운영자금이 없어 부영주택과 동광주택 등 계열사에서 자금을 차입하는 형편이다. 예전엔 그룹 차원에서 계열사에 돈을 빌려줬지만 최근엔 반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부영은 계열사인 부영주택과 동광주택으로부터 만기연장을 포함해 10차례나 운영자금 용도로 차입했다. 부영주택은 ▲4월17일 100억원 ▲7월16일 60억원 ▲8월18일 62억원 ▲12월29일 200억원을 부영에 빌려줬다.

또 ▲4월17일 86억원 ▲4월30일 57억원 ▲5월30일 65억원 ▲12월5일 61억원의 채무를 만기연장 해줬다. 4월17일 86억원의 만기연장과 100억원의 자금차입이 동시에 이뤄지기도 했다. 동광주택은 11월17일과 12월16일 각각 65억원을 부영에 꿔줬다.

이렇게 지난해에만 부영이 차입(만기연장 포함)한 금액은 모두 822억원에 달한다. 부영은 지난해 말 기준 부영주택으로부터 차입한 금액이 총 828억원에 이른다. 동광주택에선 370억원을 빌린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부영그룹은 계열사끼리 자금거래를 많이 한다”며 “하지만 부영의 케이스는 이례적이다. 지주회사가 계열사에 돈을 빌려주는 일은 많아도 지주회사가 돈을 빌리는 경우는 흔치 않다”고 지적했다. 다른 관계자도 “부영은 보유자산이 워낙 많아 차입금으로 인한 리스크가 크지 않아 보인다”면서도 “운영자금을 마련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사업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아랫돌 빼 윗돌 괴

불황을 맞아 대부분의 기업이 금고를 닫고 있다. 한 푼이라도 아끼려고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그런데 부영그룹에겐 딴 나라 얘기다. 펑펑 쓰고 있다. 자사 쓸 돈도 없는데 말이다.

<kimss@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부영그룹 직원 보니…

30대 그룹 가운데 부영그룹이 고용기여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8일 재벌닷컴에 따르면 2013년 말 자산규모 기준(공기업 제외) 30대 그룹 종업원 수는 128만2285명으로 조사됐다. 이는 통계청 산정 전체 취업자 수의 5.14%다. 30대 그룹의 종업원 수는 ▲2011년 말 115만7384명(4.77%) ▲2012년 말 122만3655명(4.96%) ▲2013년 말 128만2285명(5.14%) 등으로 증가 추세다.

고용기여도가 가장 높은 기업은 삼성그룹이었다. 취업자 100명 중 1명은 삼성그룹에 다니는 직원으로 나타났다. 삼성그룹은 종업원 수가 26만2865명으로 비중이 1.05%였다. 이어 ▲현대자동차그룹 15만4695명(0.62%) ▲LG그룹 14만2761명(0.57%) ▲롯데그룹 9만987명(0.36%) ▲SK그룹 7만9260명(0.32%) ▲KT 6만6584명(0.27%) 등 순으로 많았다. 

취업자 수가 가장 적은 곳은 부영그룹으로, 종업원이 1499명에 비중은 0.01%에 불과했다. 30대 그룹 가운데 고용인이 1만명 미만인 곳은 미래에셋그룹(3888명), 동국제강그룹(5270명), 영풍그룹(5267명), OCI그룹(6822명), 현대그룹(8561명) 등이었다. <수>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