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짱맨’ 이순형 세아그룹 회장의 세가지 악수

한국뉴스


 

‘배짱맨’ 이순형 세아그룹 회장의 세가지 악수

일요시사 0 1310 0 0
▲ 이순형 세아그룹 회장, 박의숙 세아홀딩스 부회장, 이주성 세아제강 전무, 이태성 세아베스틸 전무

툭하면 구설…하는 일마다 꼬이네

[일요시사 경제1팀] 한종해 기자 = 철강업계 불황 속에서 세아그룹이 생존을 위해 사업 강화에 한창이다. 포스코특수강을 품고 정상화에 돌입했으며 올해 전체 수출량을 지난해 대비 약 20% 증가시킬 계획을 밝혔다. 하지만 이는 대외적인 평가일 뿐이다. 통신업에 무리한 투자를 했다가 자회사를 입양 보냈고, 1조1000억원에 이르는 포스코특수강 인수자금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승자의 저주' 우려도 일고 있다.

세아그룹이 통신업 자회사인 드림라인을 포기하기로 했다.

지난 14일 세아그룹는 공시를 통해 드림라인이 자회사에서 탈퇴했다고 공시했다. 세아홀딩스의 드림라인 지분은 기존 45.4%에서 12.8%로 줄었다. 세아홀딩스의 자회사인 해덕기업의 지분율도 9%에서 2.5%로, 이순형 회장의 지분도 0.11%에서 0.03%로 감소했다.

드림라인의 최대주주은 사모투자펀드(PEF)인 이큐파트너스로 변경됐다. 이큐파트너스는 지난해 12월23일 드림라인 보통주 600만주를 인수하면서 지분 71.8%를 확보했다.

철강, 통신 투자
결과 예상대로…

드림라인은 1997년 설립된 통신업체로 주요 사업부문은 전용회선 및 초고속인터넷 사업, 인터넷전화 사업, 공용화기지국 사업, 무선플랫폼 사업 등이다. 이와 함께 이동통신 유통사업, 통신장비 사업, 부동산임대업 등 부가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다.

세아그룹은 2004년 드림라인을 계열사로 편입시켰다. 당시 업계 반응은 부정적이었다. 이미 2000년대 초반부터 국내 인터넷망 시장은 경쟁포화 상태가 진행돼 수익성이 하락하기 시작했기 때문. 거기에 철강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세아그룹이 전혀 다른 업종에 대한 무리한 투자를 한다는 시각이 팽배했다.

그러나 업계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세아그룹은 드림라인에 전폭적인 지원을 시작했다. 세아홀딩스는 당시 전환사채(CB) 인수와 유상증자 참여를 통해 드림라인에 530억원을 출자했고 오너일가가 100% 지분을 보유한 계열사 해덕기업도 160억원을 투입해 드림라인 지분 12.38%를 확보하는 등 자금을 쏟아 부었다. 자금 지원에 힘 입은 드림라인은 편입 직후 흑자로 전환했다. 그와 동시에 업계에서는 이순형 회장의 결단이 결국 옳았다는 시선이 나오기 시작했다.

기쁨도 잠시, 드림라인은 2008년부터 다시 적자전환, 이후 그룹의 지원이 없으면 살아 남기 힘든 상태로 전락했다. 세아그룹의 지원은 멈추지 않았다. 2011년 드림라인은 세아그룹 계열사와 475억원 규모 장기공급 체약을 체결했고, 세아네트웍스와 전산장비 유지보수 등 십여차례 계약도 맺었다. 2012년에는 세아홀딩스로부터 300억원에 이르는 자금 수혈을 받기도 했다. 2013년에도 세아홀딩스가 드림라인에 빌려준 165억원 규모의 자금대여금 만기를 연장해줬고, 세아네트웍스는 두 차례에 걸쳐 209억원을 대출해 주는 등 자금지원은 계속됐다.

하지만 실적은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았고 결국 지난 2013년 12월29일 워크아웃에 돌입했다가 이큐파트너스에 인수됐다. 드림라인의 자본총계는 -373억원이다.

고집하던 드림라인 결국 계열분리 정리
통신 굴욕…처음부터 무리한 투자 지적

드림라인이 사모펀드회사에 인수됨에 따라 경영 정상화를 위해 대대적인 인적·물적 구조조정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제2의 씨엔엠 사태가 일어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씨엔엠은 최대주주가 투자전문회사인 맥쿼리로 변경되면서 인적 구조조정을 단행하려다 노조원들의 강력한 반발을 산 바 있다. 씨엔엠 노조원들은 광고탑 고공농성을 하고 청와대까지 향해 절규를 이어갔고 결국 구조조정은 철회됐다. 드림라인의 직원 수는 100여명 정도다.

세아그룹은 통신 계열사를 입양 보낸 대신 대형 철강회사를 품에 안았다. 세아그룹은 포스코특수강을 1조1000억원가량에 인수했다. 포스코는 보유했던 포스코특수강 지분 72%를 순차적으로 넘기기로 했으며 나머지 재무적투자자(FI) 및 우리사주가 보유한 지분 28%도 매각될 예정이다.

포스코는 당분간 나머지 지분 20%는 보유할 계획이다. 양사 간 협력과 포스코특수강의 안착을 위해서다. 매각 가격은 높아질 수 있다. 포스코가 지분을 보유하는 동안 포스코특수강의 수익성이 개선되면 추가로 성과를 공유하는 조건도 포함됐기 때문이다. 일정기간이 지나면 20%의 지분도 세아그룹에서 전량 매입할 것으로 전해졌다. 나머지 주주로는 페로유한회사 12%, 오딘 제5차유한회사 12%가 있다.

시장에서는 세아그룹이 과연 1조원 이상이 드는 투자 대비 효과를 어느 정도 거둘 수 있을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세아그룹은 FI 유치와 자체자금으로 인수 대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별도기준 세아베스틸이 보유한 현금성자산은 841억원으로 근 3년새 가장 많은 수준이지만 인수자금에 턱없이 부족하다.

끝없이 퍼줬지만
사업 정상화 실패

일단 급한 자금은 포스코의 포스코특수강 지분 52.3%에 해당하는 5672억원이다. 세아그룹 계열사가 보유한 현금이 그리 많지 않다는 점에서 세아그룹은 인수자금 대부분을 외부에서 차입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세아홀딩스의 같은 기간 기준 현금성자산은 1억원에 불과하다. 세아제강이 1200억원에 이르는 현금성자산을 보유하고 있지만 세아제강이 정작 자금지원에 나설 경우 우회지원 논란을 낳을 수 있다.

세아베스틸이 보유한 현금 841억원을 모두 투입하더라도 4831억원이 부족하다. 이 금액을 외부에서 조달할 경우 세아베스틸의 부채비율은 8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나머지 지분을 매입해야 하는 시점이 돌아올 경우, 부채비율은 100%까지 급상승할 수 있다. '승자의 저주'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국내 신용평가사들도 포스코특수강 인수 소식이 들려온 직후 세아베스틸의 신용등급 조정 검토에 돌입했다. 한국신용평가와 한국기업평가는 세아베스틸의 무보증사태와 기업어음, 신용등급을 하향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막대한 인수자금
어디서 끌어올까?

세아 오너일가는 "자신있다"는 반응이다. 이태성 세아베스틸 전무는 지난 12일 '2015 철강업계 신년인사회'에서 "포스코특수강 인수를 통한 안정화 작업부터 시너지 창출가지 2년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며 "우선 조직 안정화 작업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태성 전무는 또 "포스코특수강은 지난 몇 년간 힘들어졌지만 향후 실적 개선 여지가 충분한 좋은 회사"라며 "증설 등 시설투자를 진행하면서 정상화 계획을 세우겠다"고 말했다.

이 회장도 "포스코특수강 인수로 인한 결실을 가능한 빨리 보여줄 것"이라며 "1년 내에는 가능하지 않겠냐"고 말했다.


  
 


세아그룹이 일감 몰아주기 해소를 명목으로 오너일가의 지배력이나 보유주식 가치 강화를 실현하고 있다는 업계의 지적도 부담으로 작용한다. 일감 자체를 줄이기보다 오너일가 지분 매각을 통해 지분율을 낮춰 규제를 회피하고 있는 것.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해 10월1일 공정거래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를 통해 특수관계인에 대한 부당이익 금지규정이 적용되는 기업 208개(총수일가 보유 지분 비상장사 20%, 상장사 30% 이상)를 발표했다. 

세아그룹에서는 지주회사인 세아홀딩스를 비롯, 세아제강, 해덕스틸, 해덕기업, 세대스틸, 세아BNK, 세아네트웍스, 세아ICT 등 총 8개 계열사가 포함됐다. 이중 해덕스틸과 해덕기업은 실질적인 적용대상에서 제외됐다. 공정거래법 세부규정에 따르면 내무거래 비중과 규모가 각각 12%, 200억원 미만인 계열사는 금지규정을 적용받지 않는다. 세대스틸과 세아ICT의 경우에는 총수일가 지분율이 각각 53.33%와 23.15%로 12%가 넘지만 내부거래가 없어 적용대상에서 제외됐다.

철강공룡 1조 인수 "승자의 저주 우려"
내부거래 회사들 처분 '오너일가 대박'

세아 오너일가는 규제대상 계열사에 보유하고 있던 지분을 세아홀딩스에 매각하면서 일감 몰아주기 논란 차단에 나섰다.

이태성 전무와 고 이운형 전 세아그룹 회장의 미망인인 박의숙 세아홀딩스 부회장은 지난 2013년 9월 가지고 있던 세아네트웍스 주식 35만8933주(25.24%)를 세아홀딩스에 매각했다. 이를 통해 세아네트웍스 지분 100%는 세아홀딩스 소유가 됐다. 이태성 전무와 박의숙 부회장은 매각을 통해 각각 81억원, 69억원씩 총 150억원을 확보했다.

이 전 회장 작고 전 세아네트웍스 지분구조는 이 전 회장 12.53%, 박 부회장 8.12%, 이태성 전무 4.58%였고 나머지 74.77%의 지분은 세아홀딩스가 보유하고 있었다. 이 전 회장 작고 후 그의 지분은 이태성 전무와 박 부회장에게 모두 증여됐다.

1992년 6월 설립된 세아네트웍스는 전기통신 설비업체로 그간 계열사와의 거래로 성장해 왔다. 오너일가 지분 매각 전인 2012년 세아네트웍스의 내부거래 비중은 전체 매출액 1430억원의 약 35%를 차지했다. 2011년에는 50%에 육박했다. 하지만 지분매각 후 내부거래 비율은 급격히 감소했다. 2013년 세아네트웍스가 계열사와 올린 매출은 13%에 불과하다.

이태성 전무와 이주성 세아제강 전무, 박 부회장 등 오너일가가 100% 지분을 갖고 있던 해덕스틸은 지난 2013년 10월 세아로지스에 피흡수됐다. 이를 통해 1대 주주인 이태성 전무(39.18%)는 75억원을, 2대 주주인 이주성 전무(34.50%)는 66억원을 확보하는 등 오너일가는 192억원가량의 현금을 손에 쥐었다. 이 전 회장과 이 회장 지분 상속이 이뤄지기 전 두 사람의 지분은 1.16%에 불과했다.

문제는 가장 높은 비율의 내부거래를 자랑하고 있는 비엔케이프레스토다. 비엔케이프레스토는 세아비앤케이의 새로운 상호다. 비엔케이프레스토의 최대주주은 지분 57.52%를 보유한 세아네트웍스다. 나머지 지분 42.48%는 박 부회장이 보유하고 있다.

여전히 높은 일감
비엔케이프레스토

비엔케이프레스토는 지난 2013년 94억원의 매출 중 54억원가량을 드림라인과 세아네트웍스와의 거래에서 올렸다. 내부거래 비율은 57%에 육박한다. 드림라인은 통신망 운용 및 유지보수 등을 2013년 한해에만 17차례 비엔케이프레스토에 맡겼다.

오너 개인 지분의 잇따른 매각에 대해 세아그룹은 "각 계열사의 전문성 강화와 그룹 전체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지배구조 정리의 일환"이라는 입장이다.

<han1028@ilyosisa.co.kr>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