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기 힘든’ 한강 생태 보고서

한국뉴스


 

‘믿기 힘든’ 한강 생태 보고서

일요시사 0 1071 0 0

한강에도 피라니아·레드파쿠 산다?

[일요시사 사회2팀] 유시혁 기자 = 최근 마옥저수지에서 육식어종 피라니아와 레드파쿠가 발견돼 우리 사회를 공포에 떨게 했다. 남아프리카 아마존 일대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육식어종이 국내 저수지에서 발견돼 인근 주민의 생명을 위협했으며 생태계 파괴 우려를 낳았다. <일요시사>는 피라니아와 레드파쿠 등 사람의 생명을 위협하는 희귀어종의 한강 서식 가능성을 알아봤다.

지난달 27일, 낚시동호인 진주호씨가 강원도 횡성군 마옥리에 위치한 마옥저수지에서 낚시를 하다가 레드파쿠 한 마리를 낚았다. 진씨의 제보를 받은 환경부는 지자체와 함께 합동조사단을 구성, 지난 6일 해당 저수지에서 육식어종 포획 작업을 벌여 피라니아 세 마리를 추가로 포획했다. 합동조사단은 피라니아와 레드파쿠의 마옥저수지 유입을 관상용으로 키운 인근 주민에 의한 방생으로 추정하고 있다.

‘뭐가 사나’

전문가들은 관상어종의 방생을 심각한 수준으로 진단하고 있다. 환경부 생물다양성과의 한 관계자는 “취미로 관상어를 키우는 사람들이 인근 하천이나 강, 저수지 등에 물고기를 무단 방류해 생태계가 급속도로 파괴되고 있다”며 “시민들이 가장 많이 찾는 한강에 피라니아와 레드파쿠가 방생돼 서식하고 있을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추정했다.

한강 당산철교 인근에서 낚시를 즐기는 김양호(55)씨는 “피라니아나 레드파쿠를 낚은 적은 없지만 희귀어종이 자주 잡힌 것을 보면 두 어종이 한강에 방생돼 서식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서울시 한강사업본부는 야생동식물보호법에 의해 매년 정월대보름에 한강 방생 어종을 집중 지도·단속하고 있지만 생태계교란생물과 한강 서식 조건이 맞지 않는 어종 방생만 단속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민간풍속인 방생이 많은 정월대보름을 이용해 피라니아와 레드파쿠를 몰래 방생할 가능성도 높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한강사업본부의 방생 단속 대상 어종은 생태계교란생물인 큰입배스, 파랑볼우럭(블루길), 붉은귀거북, 황소개구리를 비롯해 위해우려종인 작은입배스와 중국쏘가리, 한강 본류에서는 서식 조건이 맞지 않아 자연 폐사 우려가 있는 미꾸라지, 떡붕어, 비단잉어 등 13개 어종이다. 단속 어종 방생 적발 시 2년 이하의 징역이나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된다.

피라니아와 레드파쿠가 한강에 방생돼 서식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됨에 따라 7∼9월 중 한강 수상레포츠 이용객들의 주의가 요망된다. 남아메리카의 아마존강·오리노코강·파라나강 등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피라니아와 레드파쿠의 산란 온도는 23∼26℃이며, 한 번에 3000∼4000마리의 알을 낳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환경부의 물환경정보시스템에 보고된 한강의 수온(5월 기준)을 살펴본 결과 잠실 20℃, 노량진 20.5℃, 행주 및 암사 20.7℃로 나타났다. 6월의 한강 수온이 피라니아와 레드파쿠의 산란 적정 수준으로 분석돼 7∼9월간 피라냐와 레드파쿠의 번식이 급격하게 증가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생명 위협’ 육식어종 다량 서식 가능성
7∼9월 대목 수상레포츠 이용객 ‘어쩌나’

한강의 희귀어종 포획 작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실제로 <일요시사>가 환경부 생물다양성과, 해양수산부 중앙내수면연구소, 한강물환경연구소 등에 문의해본 결과, 한강 서식 희귀어종에 대한 조사 및 포획 작업이 일체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강유역환경청의 잠수부 동원 생태계교란어종 및 위해우려종 퇴치 사업만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피라니아와 레드파쿠가 한강에서 서식할 것이라는 가정 아래 시민의 피해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다. 피라니아는 하천을 건너는 소와 양 등의 야생동물을 습격해 뼈와 가죽만 남긴 채 살을 모두 먹어치우는 포악 육식어종으로 알려지고 있다. 체중 80kg의 남성을 피라니아 300∼500마리가 동시에 공격할 경우 5분 만에 뼈만 남겨두고 사망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기도 했다.

피라니아의 피해 사례를 살펴보면 지난 2월, 브라질 마이쿠루강에서 카누를 타던 6살 여아가 배가 뒤집히면서 물에 빠지자 피라니아의 공격을 받아 사망했다. 2012년 중국 류저우시에서도 한 남성이 애완견을 목욕시키다 피라니아에 물러 손을 크게 다쳤다. 사람의 치아와 비슷한 이빨 구조를 가진 레드파쿠는 지난 2011년 파푸아뉴기니에서 어부 두 명의 고환을 물어 뜯어 사망에 이르게 해 ‘남성고환사냥꾼’으로 통한다.

토착 가능성도

피라니아와 레드파쿠는 아열대성 어종으로 수온이 10℃ 이하에서는 서식할 수 없다고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변종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주장을 펼치는 전문가도 있다. 김문진 해양생물학자는 한 언론 인터뷰를 통해 “붉은귀거북, 뉴트리아, 황소개구리 같은 종들도 (우리) 환경에 적응한 것”이라며 토착 가능성에 내다봤다.

한편 한강에서 그동안 발견된 희귀·외래어종은 철갑상어, 무지개송어, 중국붕어 등이며, 낚시꾼들 사이에서는 뿔난 장어, 귀 달린 장어 등도 종종 잡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evernuri@ilyosisa.co.kr>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