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공천 철회에 울고 웃는 선거현장

한국뉴스


 

<르포> 무공천 철회에 울고 웃는 선거현장

일요시사 0 944 0 0

중앙당 '오락가락' 후보들 '갈팡질팡'


[일요시사=정치팀] 김명일 기자 = 새정치민주연합이 지난 10일 기초선거 무공천 결정 철회를 발표했다. 야권 후보들은 또 한번 '멘붕'에 빠졌다. 일부에선 환호성을 질렀지만, 다른 한쪽에선 장탄식이 흘러나왔다. 선거가 불과 40여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야권 후보들은 여전히 우왕좌왕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었다. <일요시사>가 무공천 철회 결정 이후의 지방선거현장을 찾아봤다.

 icon_p.gif 
 

취재기자와 만난 새정치민주연합(이하 새민련)의 한 예비후보는 "이제는 선거운동 할 맛이 난다"고 했다. 그는 "무공천 할 때는 당선 확률이 제로나 마찬가지였지만 그래도 이젠 희망이 보이는 것 아니냐? 국민들과의 약속을 지키지 못한 것은 송구스럽지만 옳은 결정이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싹튼 희망

그는 "무공천이 강행됐다면 선거를 앞두고 저는 물론이고 저를 지지하는 분들도 원활한 선거운동을 위해 탈당해야 했는데 마치 수십 년간 몸담아 온 당에서 쫓겨나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무공천 철회 결정은 백번 잘한 일"이라며 "어차피 우리만 무공천 한다고 달라질 것은 없었다. 선거법 자체가 바뀌지 않는 한 무공천 후 당선되면 줄줄이 복당할 것이 뻔한데 그럼 달라지는 것이 없는 것 아니냐?"고 주장했다.

실제로 새민련이 무공천 결정을 강행했다면 기초선거 후보들은 후보자 등록이 시작되는 5월15일 이전에 탈당한 뒤 무소속으로 출마해야 했다.

또 다른 후보자도 무공천 철회 결정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이 후보자는 "물론 선거운동을 하다보면 무공천 철회 결정을 신랄하게 비판하는 분들도 있다. 하지만 그 분들은 사실 원래부터 보수성향을 가지신 분들로 우리가 무공천을 하든 안 하든 표로 직결되는 상황은 아니었다"며 "갑자기 공천이 결정되면서 한창 유권자들을 만나 스킨십을 해야 할 시기에 공천 관련 서류 준비에만 몰두하고 있다. 새누리당보다 여러모로 뒤처지는 것 같아 아쉬움은 있지만 무공천 철회 결정은 전적으로 지지한다"고 했다.

물론 무공천 철회 결정에 불만을 가진 후보들도 있었다. 새정치연합계 한 후보는 "민주당을 탈당하고 새정치연합으로 당적을 옮겼는데 얼마 후 안철수 대표가 무공천 한다고 해서 물을 먹었다. 그런데 당적을 옮긴 후 한 달도 안 돼 민주당과 합당을 해 머쓱해졌다. 그러더니 이번엔 다시 공천을 한다고 한다. 정신이 하나도 없다. 선거일정이 다 꼬여버렸다"며 불만을 털어놨다.

일부 후보는 선거운동기간 벌써 명함을 세 번이나 바꾸기도 했다고 한다. 그는 "민주당 후보로 선거운동을 시작했는데 합당이 됐다. 민주당 로고가 적힌 명함을 들고 선거운동을 하니 유권자들이 '민주당은 해체된 거 아니냐'며 물어보더라. 그런데 어차피 무공천 할 것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새정치민주연합이라는 표식을 따로 하지 않았는데 갑자기 공천을 한다고 해서 다시 명함을 팠다. 나도 정신이 없는데 유권자들은 얼마나 혼란스럽겠냐"며 걱정 했다.

가장 큰 걱정은 무공천 철회 결정 이후 급격하게 떨어지고 있는 새민련의 지지율이다. 한 후보자는 "선거운동을 나가보면 이번 결정에 실망한 분들이 꽤 많다. 과연 공천을 받는다고 해도 이런 분위기에서 새누리당 후보들과 경쟁해서 이길 수 있을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그래도 희망 보인다. 무공천 철회는 잘 한 것"
"명함만 세 번 파, 유권자 혼란은 우려스러워"


공천 심사기준에 대한 불만도 터져 나오면서 공천 과정이 자칫 이전투구로 변해 새민련이 전국적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미 무소속 간 단일화 논의가 진행되던 지역은 그간의 논의가 백지화되면서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일부에서는 공천과정에서 국회의원들의 입김이 다시 커지는 것은 아닌지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새민련의 무공천 방침을 믿고 지역구 국회의원들과의 관계에 별다른 신경을 쓰지 않던 후보들은 그야말로 뒤통수를 맞은 격이라며 전전긍긍하고 있다.

현역은 현역대로 새로 도전하는 신인은 신인대로 공천에 대한 불안감도 보이고 있다. 한 현역 단체장 측 관계자는 "당에서 새롭고 참신한 인물을 뽑겠다는 이야기를 할 때마다 신경이 쓰이는 것은 사실이다. 당이 새정치를 앞세우면서 괜히 기존 현역들만 피해를 보는 것은 아닌지 우려가 된다"고 말했다. 

  
 


반면 정치신인격인 후보들은 "공천을 실시하면 조직력에서나 인지도 면에서나 현역이 유리한 것 아니냐"며 후보자 등록일(5월15~16일)까지 시간이 얼마 남지 않다보니 아무래도 현직에 유리한 공천이 될 것이라는 불안감이 팽배하다.

또 경선방식에 대한 새정치연합계와 민주당계 간의 보이지 않는 신경전도 시작되고 있다. 대체로 조직이 탄탄한 옛 민주당 출신들은 당원투표를, 새정치연합쪽은 여론조사를 선호하고 있다. 무공천 철회 결정에 대해 새정치연합 출신 후보들의 반발은 거세다. 공천과정에서의 불리함이 예상되는 데다 새정치라는 브랜드가 심각하게 훼손됐다는 위기감 때문이다.

일부 후보는 무공천 철회 결정에 반발하며 이미 탈당 후 무소속 출마를 선언하기도 했다. 한 후보자는 최근 보도자료를 내고 "기초선거 무공천을 명분으로 출범한 새정치민주연합은 무공천 약속을 철회하면서 기존 민주당 국회의원들의 소망대로 드디어 '도로 민주당'이 되었다"며 "이로 인해 새정치는 죽고 기존의 정치가 다시 부활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잡음은 우려

무공천 철회를 비판하는 후보자들 사이에서는 최소한 호남권만큼은 무공천했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볼멘소리도 나오고 있다. 새민련의 텃밭인 호남의 경우 공천이 곧 당선이라는 공식이 성립돼 본선보다 경선이 치열한 곳이다.

당연히 매 선거 공천과정 때마다 뒷말이 무성했다. 어차피 승리가 보장된 곳인데 굳이 공천을 실시해 그 과정에서 문제가 생기기라도 하면 전체 선거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또 호남권만큼이라도 무공천을 실시했다면 최소한의 명분은 지킬 수 있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끝으로 한 후보자는 "합당이냐 창당이냐, 공천이냐 무공천이냐에 따라 선거전략이 180도 달라지는데 당이 오락가락 행보를 보이면서 아무래도 현장에서 발로 뛰는 후보들만 괴로웠던 것이 사실"이라며 "새정치를 위한 작은 통과의례라고 보지만 이제는 중앙당이 확실히 중심을 잡고 남은 선거를 잘 치러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mi737@ilyosisa.co.kr>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