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사병 걸린 톱스타 '단골 퇴마사' 김영기 법사

한국뉴스


 

<일요초대석> 상사병 걸린 톱스타 '단골 퇴마사' 김영기 법사

일요시사 0 1820 0 0

“귀신 안 믿는 사람, 빙의 더 잘 된다”

[일요시사=김설아 기자] 최근 몇 년간 케이블TV에서는 ‘빙의’와 ‘퇴마’를 소재로 한 심령치유 프로그램을 쏟아내 큰 인기를 끌었다. 프로그램을 통해 많은 퇴마사들이 등장했고 개중에는 용한 퇴마기술을 선보이며 연예인 못지않은 스타급 퇴마사들이 탄생하기도 했다. 그 중 한 명인 김영기 법사.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기 시작하면서 귀신을 소재로 하는 영화, 이야기가 쏟아지는 요즘. 마포구 도화동에 있는 법당에서 그를 만났다. 

“15년 전 첫 방송에서 ‘퇴마사’로 얼굴을 알린 후 줄곧 방송을 통해 퇴마의식을 해왔죠. 그러다 보니 퇴마 쪽 일만 부각되었지만 퇴마는 제가 하는 일 중 일부에 불과합니다. 사주는 물론이고 풍수 등 보다 다양한 일을 하고 있어요.”

20년간 우리 생활주변에서 일어나는 미스터리한 현상을 해결하고, 미래의 불확실함을 타파시켜온 퇴마사 김영기 법사. 그는 이미 유명인들 사이에서도 잘 알려진 사람이다.

특히 오는 12월 대선을 앞두고, 혹은 검찰·경찰 인사이동이 있는 시기면 그를 찾는 유명인들은 더욱 늘어난다. 뿐만 아니다. 연애문제로 고민하는 연예계 톱스타들의 단골로도 알려져 있다. 상사병에 걸리거나 삼각관계에 놓인 경우, 새 프로 출연이나 소속사를 옮기는 문제를 갖고 은밀히 그를 찾는다고 한다.

놀이터가 ‘산’이던 꼬마

김 법사가 사후세계에 심취하게 된 것은 오래된 일이지만, 어려서부터 사람의 운명에 관심이 많았다. 놀이터가 ‘산’이었던 그는 산속에 헤매다 바위에 걸터앉아 “사람은 왜 태어나고 왜 죽지? 왜 어떤 이는 부자고, 어떤 이는 가난하지? 누구는 예쁨을 받고, 누구는 미움을 받는지?” 등을 되뇌며 살아왔다.

“어렸을 적부터 꼭 이런 일을 해야겠다고 생각했어요. 퇴마는 신을 받아서만 될 수 있는 게 아니니까요. 50%는 수행으로 만들어지지만 50%는 타고나야 하거든요.”

김 법사는 그간 살벌한 것부터 정이 흐르는 것까지, 사람들의 다양한 고민을 해결해왔다. 그 중에는 특히 기억에 남는 사례도 있다. 김 법사는 가장 먼저 집에 우환이 있어 고민인 사례자의 할머니, 할아버지 묘지를 이장해준 것을 꼽았다.

“찾아가보니 할아버지 산소는 나무뿌리가 관통하고 있었고, 할머니 산소는 물이 꽉 들어차 있는 거예요. 당시 그 자리를 정해준 지관이 함께 있었는데 제 얘기를 듣고 방방 뛰었죠. 저는 파묘를 해서 제 얘기가 틀린다면 다 물어주겠다고 했고, 결국은 제 말이 맞았죠. 이장할 자리에 가서 정확이 160cm를 파라고 했더니 정확히 그 지점부터 까만색이던 흙이 황토색으로 바뀌는 겁니다. 그 후 그 지관은 도망갔죠.”

‘퇴마사’인줄만 알았더니 사주·풍수 등 못하는 게 없네
귀신은 실제로 존재…“정신과 의사들과 함께 가야”

식물인간이던 사람을 깨어나게 해 준 경험도 있다. 봉천동에서 사채놀이 하던 조폭 이야기다. 그 조폭이 다니던 보살집이 있었는데 보살이 계룡산 자락에 절을 사자, 비포장도로였던 길에 자갈을 쫙 깔아줬다.

그러나 어찌된 일인지 다음날 조폭은 누군가에게 뒤통수를 맞아 식물인간이 됐다. 사연인 즉 돌아가신 아버지가 진노해 뒤통수를 맞았다는 얘기다.

“범인을 영시해서 찾아준 뒤 조폭의 고향을 찾았죠. 산소에 갔는데 한 노인이 앉아 담배를 피우고 있는 거예요. 말을 붙였더니 자기가 여기 주인이라면서 ‘나는 이렇게 추운데 놔두고 남의 집 조상한테는 길을 깔아줬다’고 분노했죠. 노인을 달래주고 그 후 조폭은 가료를 통해 의식을 되찾을 수 있었어요.”

또 김 법사는 잘 알려진 대로 수많은 빙의환자를 직접 치유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김 법사가 치유할 수 없던 사례자도 있었다고 한다.

특경대 출신의 빙의 사례자는 성격이 매우 포악해 가족들조차도 2~3m 떨어져야만 대화가 가능했다. 김 법사가 그의 방에 들어가 둘러보니 칼들을 여기 저기 숨겨놓았고, 옷장을 열었는데 여자 실물크기의 인형이 있었다.

인형은 눈, 코, 입은 물론이고 속옷과 옷까지 입혀뒀는가 하면 고무장갑으로 여자의 성기 모양까지 만들어져 있었다. 그는 저녁만 되면 인형과 춤을 추고 섹스까지 나눴다고 한다. 그 모습에 경악을 금치 못했지만 빙의 환자가 워낙 거부감도 심하고, 공격적이라 손도 못 댄 채 발길을 돌려야 했다.

그렇다면 어떤 이들이 빙의에 노출되어 있는 것일까. 김 법사는 영매체질이 빙의가 잘된다고 말한다.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자석 같은 영을 당기는 체질이다. 이 외에도 심신박약, 영혼자체가 근본적으로 방어가 안 되고 약한 사람, 강한 충격과 집착이 있을 때도 빙의가 되기 쉽다고 한다.

“빙의가 된 사람들을 보면 몸을 덮고 있는 ‘오로라’부터가 다르죠. 일반사람들의 오로라는 밀도 응집이 잘 되어 강하다면 빙의환자들은 오로라가 얇거나 뚫려있는 경우가 많아요. 또 인터넷을 통해 빙의가 되는 환자들도 있는데, 귀신이 항상 대기하고 있다가 파장을 내뿜을 때 그대로 들어오는 식이죠. 특히 포르노, 도박 사이트에 탐욕령, 색정령이 제일 많아요.”

물론 퇴마사의 퇴마의식을 들어 단순한 미신으로 치부하며 믿지 않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하지만 그렇다고 빙의나 퇴마의식이 현대 정신의학에서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말 그대로 초자연적 현상이기 때문이다. 김 법사는 가장 큰 문제가 되는 것이 영혼의 존재자체를 부정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과학보다 앞선 영(靈)의 세계

“과학보다 앞서있는 세계를 과학이 어떻게 입증하겠습니까. 어떤 장비로 심령을 측정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되죠. 또 정신과 의사들은 이런 현상을 인정하지 않으면서 증세에 가까운 병명을 붙여 약을 주는데 이는 만성 빙의환자들만 더 키울 뿐이에요. 오히려 귀신을 믿지 않는 사람에게 빙의는 더 잘되는 법이니까요. 실제 존재하는 것을 인정하면 피해가 덜하죠. 정신과 의사들이 우리와 같은 사람들과 함께 가는 게 필요한 이유입니다.” 

그렇다면 귀신은 있을까 없을까? 귀신을 봤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많고, 귀신에 빙의돼 고통을 받는 사람들도 많다. 공포로 인한 허상인지, 아니면 진짜 귀신이 들어와 영혼을 지배하는 것인지 알 순 없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이 세상에는 우리의 눈에 보이지 않는 미스터리한 일들이 일어나고, 퇴마사들의 의식을 통해 제2의 삶을 찾은 사람들도 엄연히 존재한다는 것이다.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