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잠수사 사망, 결국 안전문제까지 '도마'

한국뉴스


 

민간잠수사 사망, 결국 안전문제까지 '도마'

일요시사 0 1645 0 0
 
▲ 세월호 수색작업 준비하는 민간잠수사 <사진=뉴시스>

[일요시사=사회2팀] 김해웅 기자 = 민간잠수사 사망, 결국 안전문제까지 '도마'

세월호 실종 수색작업을 벌여온 잠수사들이 잇따라 잠수병 등에 노출돼 곤경에 처하는가 하면 최근 사망에까지 이르면서 이들의 안전문제가 도마위에 오르고 있다.

지난 6일, 범정부 사고대책본부 등에 따르면 현재 세월호 침몰사고 해역에서는 해경과 해군, 민간구조업체 등이 100여 명의 다이버를 동원해 선체 내부를 중심으로 수색작업을 펴고 있다.

해경은 특수구조단, 해군은 최정예요원인 UDT와 SSU, 민간은 전직 육·해군 특수전 출신 다이버들로 사단법인이나 구조협회를 통해 현장에 투입되고 있으며, 해산물 채취를 생업으로 하는 머구리 다이버들도 잠수기조합을 통해 구조에 나서고 있다.

대부분 육상과 수중 간 교신이 가능한 통신장비를 갖추고 있으며, 민간과 해경은 공기통 다이빙을 주로 사용하고 머구리와 해군은 공기통과 함께 헬멧을 이용한 표면공급식 잠수로 구조활동을 벌이고 있다.

무조건 선체 안에 들어가야 하는 작업 특성상 공기통은 짧은 체류시간이, 표면공급식은 공기 호스와 로프, 통신케이블을 모두 합쳐 놓은 굵은 잠수호스로 인한 조류 영향이 단점이다.

이들 잠수사들은 바다 위에서 숙식을 해결하고 있으며 유속이 느려지는 정조시간에 주로 수중 수색작업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사고가 발생한 지 20일이 지나고 시야는 짧고 조류는 강한 곳에서 장기간 반복적인 수색이 이뤄지면서 피로감이 극에 달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 때문에 잠수병 또는 크고 작은 부상으로 치료를 받은 잠수사만 17명으로, 20명에 육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범대본 고명석 대변인은 "잠수요원들의 피로가 많이 누적돼 있어 13명을 이틀전 신규 투입하는 한편 교체 투입할 잠수부도 새로 모집 중"이라고 밝혔다.

구조팀에서 활동중인 잠수부는 1일 2회로 잠수를 제한하고 있고 한 번 잠수를 하고 나오면 12시간 휴식을 원칙으로 하고 있지만 사고 해역의 작업 여건이 워낙 좋지 않고 사망자 수습이 시급하다보니 일부 잠수사들의 경우 위험성을 알면서도 무리한 작업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 haewoong@ilyosisa.co.kr>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