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수리하러 갔다가 되레 '눈탱이'

한국뉴스


 

차 수리하러 갔다가 되레 '눈탱이'

일요시사 0 1177 0 0
icon_p.gif 

▲ 차량 정비 <사진=뉴시스>

정비중 다른 부분까지 고장·과다 수리비 청구 등 분쟁 '끊임없다'

 [일요시사=사회2팀] 경기도 안양시에 거주하는 서모씨. 그는 2011년식 BMW 520d 차량을 변속불량 하자로 지난해 10월 모 공업사에 수리를 의뢰했다. 당시 450만원에 변속기 교환과 1년, 2만km 보증을 구두 약속했다.

수리 후 서씨는 동일 증상을 겪어 2~3차례 점검과 수리를 받은 끝에 올해 3월에는 아예 변속기 후진불능 현상으로 동일 업체에 견인 입고해야 했다. 더군다나 보증수리를 요구했지만 1년, 2만km 보증기간을 약속한 적이 없다며 350만원 추가 수리비를 요구하기까지 했다.

서씨처럼 정비업체에서 수리를 받았지만 수리불량으로 고장이 재발하거나 오히려 다른 부분까지 고장이 나기도 하고, 수리비가 과도하게 청구되는 등 자동차정비 관련 피해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어 특히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정대표, www.kca.go.kr)에 따르면, 자동차 정비 관련 접수된 소비자 피해구제건은 2011년 339건에 이어 2013년까지 매년 200건 이상 발생해 최근 3년 간 총 779건이 접수됐다. 1372 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실제 상담건수도 2011년 6,346건에 이어 2013년 5,409건 등 지난 3년간 약 5000~6000여건에 달했다.

눈여겨볼만한 것은 피해 내용 중 특히 정비업체의 '수리불량'으로 인한 피해인데, 항목 중 544건(69.8%)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수리불량' 피해 544건 중에는 정비기사의 기술력 부족으로 정상이었던 다른 부위까지 고장난 사례가 334건(61.4%)이나 됐다. 또 정비 소홀로 인해 동일한 하자가 다시 발생한 경우도 210건(38.6%)으로 확인됐다.

과도한 수리비가 청구되거나 수리가 지연되면서 피해를 겪기도 했다. '부당수리비 청구'는 155건으로 약 5분의 1가량을 차지했는데, 수리비에는 '과다 청구'로 인한 피해가 75건으로 절반가량이나 됐다.

다음으로 '과잉정비' 36건(23.2%), '차주 동의없이 임의수리' 32건(20.7%), '수리하지 않은 비용청구' 12건(7.7%)으로 나타났다.

'수리지연'도 약 5%로 나타나고 있다. '수리지연' 40건 중에는 정비업자가 수리부품을 확보하지 못해 애초 약속한 수리완료 기한을 한달이상 지체한 경우(30일이상~180일이상)가 절반 가까이(40%) 됐다. 통상 수리지연 일수로는 '15일 이내'가 10건(15%)으로 가장 많다.

하지만 이 같은 피해에 대해 수리보수, 환급 등 '보상'이 이뤄진 사례는 298건(38.2%)에 불과했다. 정비업자가 책임을 회피하는데다 소비자 또한 피해를 입증할 수 있는 근거 자료 미비로 보상받기 어려운 상황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이다.

한국소비자원은 자동차 정비업체를 이용할 경우 ▲최소 두 군데 이상의 정비업체 견적서를 비교(부품비나 공임비 업체마다 상이) ▲(지나치게 저렴한 가격을 제시할 경우) 교체되는 부품이 정품인지 중고 재생품인지 확인 ▲수리요청 시 견적서에 수리기간을 명확한 기재를 당부했다.

특히 '자동차관리법'에 따라 정비업자는 소비자에게 '점검 정비 견적서'를 발급할 의무가 있으므로 견적서는 물론 수리비 명세서를 보관해야 분쟁에 대처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소비자와 정비업자 간의 수리비 분쟁은 상당수가 견적서를 발급하지 않아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최종적으로 정비내용을 명시한 것이 명세서이고 내용대로 수리됐는지 확인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되기 때문에 사업자의 정비과실을 확인하려면 견적서와 명세서 두 가지를 반드시 보관했다가 제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동일 하자가 발생한 경우 보증수리를 요청하라고 덧붙였다.

한편 한국소비자원은 "정비업체 유형으로 보면 자동차 직영 정비사업소나 협력정비업체, 일반정비업체 등 자동차종합정비업체에서 발생한 피해가 약 460여건으로 일반 카센터인 자동차부분정비업체에서 발생한 피해보다 약 100여건 가량 더 많다"고도 귀띔했다.

피해 접수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절반 이상(55.6%)으로 가장 많다. 이어 영남권(17.8%)과 중부권(16.3%), 호남권(10.3%) 순으로 나타났다.

 

김해웅 기자 <haewoong@ilyosisa.co.kr>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