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박지원 전대 캠프 전격비교

한국뉴스


 

문재인-박지원 전대 캠프 전격비교

일요시사 0 1216 0 0

무지개 캠프 vs 반문 연합군 '팽팽'

[일요시사 정치팀] 허주렬 기자 = 새정치민주연합 2·8전당대회 본선이 시작됐다. 예비경선을 통과한 주자들이 선거 캠프를 정비하고 본격적인 전투에 돌입한 것이다. 캠프를 보면 후보의 선거 전략과 선거 성패가 일정부분 드러난다. 새정치연합의 유력한 차기 당권주자로 꼽히는 '빅2(문재인·박지원)'의 캠프를 전격 비교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이하 새정치연합) 당권레이스의 본격적인 막이 오르며 당권을 잡기 위한 후보 진영의 물밑 경쟁도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특히 '빅2'로 꼽히는 문재인·박지원 후보 캠프는 일찍이 전열을 가다듬고 지지세 몰이에 나섰다. 각각 당내 서로 다른 진영을 대표하고 있는 양측의 캠프는 어떻게 다를까.

친노 색 빼기

우선 문 후보 캠프의 특징은 탈계파형 무지개 캠프로 요약된다. 당내 '친노(친노무현) 패권주의'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전문가들 위주로 캠프 진용을 짠 것이다.

'캠프의 얼굴'에 해당하는 대변인에는 <동아일보> 기자 출신으로 국민의정부에서 청와대 춘추관장을 지냈던 김기만 전 국회의장 공보수석이 임명됐다. 김 대변인을 보좌할 부대변인은 <중앙일보> 출신의 김형기 전 경기도 홍보기획관이 선임됐다. 자금을 담당하는 후원회장은 호남지역 원로 소설가인 이명한씨가 맡고 있다.

또한 지난 대선 때 경쟁자였던 안철수 캠프에서 활동했던 유승찬 스토리닷 대표가 SNS홍보를 책임진다. 박원순 서울시장 측 인사인 권오중 전 서울시 정무수석(정무서포터)과 신동호 한양대 겸임교수(메시지 서포터)도 참여한다. 당내 대권 경쟁자인 안철수 의원과 박 시장 측 인사들을 영입해 '친노'라는 색을 빼는 한편 외연확장을 꾀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여기에 카피라이터 이정상씨, 영화홍보마케팅 전문가 유순미씨 등 각계 전문가도 참여한다. 지난 대선에서 문 후보를 도왔던 친노계 인사도 안팎으로 참여한다. 공보실무를 책임지는 공보팀장에는 지난 대선 때 캠프 공보팀장으로 활약했던 한정우 보좌관(한명숙 의원실)이 투입됐다. 한 팀장 외에 양정철 전 청와대 홍보기획비서관, 정태호 전 청와대 대변인 등의 인사들도 물밑에서 문 후보를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일각에서는 당이 현역의원들과 지역위원장의 선거캠프 참여를 제한한 만큼 친노계 의원들이 보좌진을 통한 지원 등의 방식으로 측면에서 지원할 것이라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캠프 사무실은 문 후보의 국회의원회관을 중심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문 후보는 지난달 29일 출마선언 당시 취재진에게 "별도의 캠프를 꾸리지 않고 그냥 의원회관 제 방에서 그것을 하나의 캠프로 삼아서 경선을 치르겠다"고 작은 캠프로 선거를 치를 것을 선언했다.

문-전문가 위주 탈계파형 무지개캠프
박-노련미+노사모도 아우른 통합캠프

반면 박 후보는 지난 8일 대규모 캠프 구성 사실을 알리며 본격적인 세몰이에 나섰다. 박 후보 측에 따르면 실행지원단, 조직지원단, 정무지원단으로 구성된 박 후보 캠프에는 권노갑·손학규 상임고문, 김두관 전 경남지사, 박영선·추미애 의원 측 인사들 등 반문(反文)인사들이 대거 참여한다.

특히 '노사모(노무현을 사랑하는 모임)' 출신 인사들까지 대거 합류하는 대규모 통합형 캠프를 꾸렸다. 캠프 사무실도 1997년 대선 당시 김대중 후보의 대선캠프였던 여의도 대하빌딩에 마련했다.

구체적으로 실행지원단은 김갑수 전 추미애 의원 수행팀장, 김원철 전 권노갑 의원 보좌관, 임근재 전 김두관 지사 정책특보, 이강율 전 박영선 의원 공보실장, 유상선 전 윤관석 의원 보좌관 등을 중심으로 꾸렸다.


 



조직지원단은 손 고문의 팬클럽인 '실사구시' 심민영 전 대표, 대구(권오혁)·경남(정해관)·전남(현해성) 노사모 전 대표들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정무지원단은 조순용 전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 이재림 전 청와대 민정비서관, 김한정 전 청와대 1부속실장, 황인철 전 청와대 통치자료비서관, 이 훈 전 청와대 국정상황실장 등 전직 대통령 참모 출신 인사들이 중심이다.

후원회장은 김학재 전 법무차관이 맡았으며, 김 전 지사 캠프의 대변인을 지낸 전현희 전 의원이 비서실장, 손 고문 캠프의 대변인을 지낸 김유정 전 의원이 대변인으로 활동한다.

이처럼 당내 계파 수장이나 유력 정치인들과 가까운 인사들이 박 후보 캠프에 합류한다고 해서 이들이 꼭 박 후보를 지지한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경선판도에는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이번 전대 룰은 대의원 45%, 권리당원 35%, 국민여론 15%, 당원여론 10%로 '당원의 선택'이 무척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김 대변인은 "총선 승리와 정권교체를 위해 박지원을 지원하는 사람들이 캠프에 합류하게 됐다"며 "능력이 출중한 분들이 전방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노사모 측 인사의 캠프 참여에 대해서는 "'친노들이 반성을 해야지 이렇게 해서는 안 된다'는 말들을 많이 했다"며 "지금 당에는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취지에서 함께 열심히 뛰고 있다"고 밝혔다.

'반문' 대거 합류

이외에도 외곽조직 관리를 맡은 '조직통' 박양수 전 의원 등 정치권에서 잔뼈가 굵은 인물들이 물밑에서 지원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정치9단'이라는 박 후보의 별명을 그대로 캠프로 옮겨온 듯한 구성인 셈이다.

이처럼 확연히 대비되는 캠프를 갖춘 문 후보의 무지개 캠프와 박 후보의 통합 캠프 간 대결이 어떻게 결론 날지 주목된다.

<carpediem@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제3의 당권주자 이인영 캠프는?

지난 7일 '빅2'와 함께 새정치민주연합 예비경선을 통과한 제3주자는 이인영 후보다. 이 후보는 486그룹의 대표주자로 꼽히고 있는 만큼 486계 의원들의 지원을 받아 의원회관을 중심으로 실무형 캠프를 꾸렸다.

우상호·유은혜·진성준 의원 등의 보좌진들로 구성된 실무 인력들은 학생운동 시절부터 손발을 맞춰온 만큼 팀워크가 뛰어나다는 것이 이 후보 캠프의 설명이다.

이 후보 캠프에서는 이 후보의 지명도가 다른 두 후보에 비해 열세인 만큼 일단 캠프 이름을 '이인영 캠프'로 정하고 이 후보를 알리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렬>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