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등에 업은 대학들 ‘백태’

한국뉴스


 

대기업 등에 업은 대학들 ‘백태’

일요시사 0 1152 0 0


든든한 ‘돈줄’…“SKY 안 부러워”


[일요시사=경제1팀] 서울대·연세대·고려대. 이른바 ‘SKY’대학 못지않게 주목받는 대학들이 있다. 바로 재벌을 등에 업고 승승장구하는 학교들. 이들 대학은 대기업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으며 꾸준한 발전을 이뤄냈다. 빵빵한 재정과 높은 취업률 덕에 명문대학 타이틀까지 거머쥔 곳도 있다. 그렇다면 대기업이라는 든든한 ‘돈줄’을 잡고 있는 대학은 어디일까.


현재 대기업이 설립했거나 인수한 4년제 대학은 모두 7개. 쌍용이 1959년 인수한 국민대부터 한진이 1968년 인수한 인하대, 현대중공업이 설립한 울산대, 1997년 대우가 인수한 아주대, 1986년 포스코가 설립한 포항공대(포스텍), 1996년 삼성이 인수한 성균관대, 2008년 두산이 인수한 중앙대 등 이다.  

재계 1위 후광
‘꿩먹고 알먹고’

우선 재계서열 1위인 삼성그룹의 지원을 받는 성균관대학교가 재벌대학의 대표 주자다. 성균관대는 삼성의 지원을 받기 시작한 이후 비약적인 발전을 이뤄냈다.

성균관대 재단은 이미 1970년대 삼성 소유였으나, 얼마 지나 대학 사업에서 손을 떼야 했다. 총학생회를 중심으로 학생들이 재단 측에 끊임없이 문제를 제기했기 때문인 것으로 전해진다. 삼성이 다시 성균관대 경영에 참여한 것은 1996년이다.

1991년 11월까지 성균관대 재단을 운영하던 봉명그룹은 그룹 주력사이던 도투락이 부도 위기에 몰리면서 성균관대에서 손을 뗐다. 몇 년 동안 공중에서 부양하던 성균관대를 삼성이 다시 인수한 것이다. 삼성그룹이 학교 경영에 참여하면서 성균관대는 다시 회생의 전기를 맞이했다.

삼성 인수 후 성균관대의 외형적인 지표는 크게 상승했다. 1996년 당시 1300억원이었던 성균관대 교육재정은 약 3000억원으로 팽창했고, 학생 등록금 의존도는 81.1%에서 40%로 절반이 감소했다.

또 458명이던 전임 교수는 10년 후인 2006년에 1118명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에 교수 1인당 외부 연구비도 3100만원에서 9140만원으로 상승했다.

삼성의 후광에 힘입어 입학생들의 수능점수도 올라갔고, 최근 5년간 발전평가 종합대학 1위, 교육개혁 최우수대학 5년 연속 선정, 구조개혁 선도대학 1위 등을 기록했다.

또 90년대 초반 대학 순위 12위권이었던 성균관대는 서울 상위 5권 대학으로 진입했다. 이런 수치는 연세대, 고려대 등과 어깨를 견줄 정도다. 성균관대가 지난 2008년 로스쿨 정원 배정에서 고려대, 연세대와 같은 120명을 배정받은 것이 이를 뒷받침한다.

눈에 띄는 점은 성균관대 출신들의 삼성그룹 취업 보장이다. 성균관대와 삼성그룹은 다양한 연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어 삼성 입사에 유리할 수밖에 없다.

성균관·중앙대…삼성·두산 지원 업고 급성장
재정지원 ‘빵빵’ 취업관문 뚫는 돌파구 역할

성균관대가 ‘첨단 분야에 즉시 투입 가능한 산업체 맞춤형 고급 기술인력 양성’이라는 취지 아래 삼성전자의 지원을 받아 2006년 학부에 반도체학과를, 대학원에 휴대폰학과를 각각 설립한 것이 일례다. 이 학과의 학생들은 졸업 후 ‘삼성직행’이 보장돼 있다.

반도체학과 학생은 4년 전액 장학금을 받으며, 졸업 후에는 인·적성검사만 통과하면 삼성전자로 전원 취업할 수 있다.

휴대폰학과 학생들도 마찬가지다. 삼성그룹 입사와 유사한 전형을 거치는 탓에 입학이 어렵지만 대신 여러 관문을 통과하면 삼성으로부터 학비와 보조금을 받는 한편 삼성전자 취업이 보장된다. 지난 2009년에는 성균관대 휴대폰학과 졸업생 전원이 삼성전자에 입사해 대학가에 화제를 뿌렸다.

삼성은 특히 성균관대에 재정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그 예로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에 있는 중앙도서관 ‘삼성학술정보관’을 건설할 당시 삼성은 사비로 500억원을 투자했다.

삼성복지재단은 매달 3000만원을 성균관대에 지원하고 있으며 지난 2월에도 3600만원을 기부했으며, 또 인천 송도에 2조원대의 자원을 투자해 2017년까지 바이오센터를 건립하고 있다.

이름만 빼고
모두 “바꿔”

두산그룹은 2008년 재정난에 허덕이던 중앙대를 인수했다. 박용성 두산중공업 회장은 당시 “중앙대라는 이름만 빼고 바꿀 수 있는 것은 모두 바꾸겠다”며 이사장 취임사를 남겼다.

두산그룹은 중앙대를 인수한다는 조건으로 1200억원 이상의 발전 기금을 출연했고, 삼성보다 더 적극적으로 학교 운영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인수 후 박 회장은 공격적으로 중앙대 재편에 나섰다. 우선 교수들은 국내 최초로 계량적 평가에 따라 연봉을 달리 받게 됐다. 연구업적, 교육실적, 봉사 등 3개 분야로 나눠 3개 그룹(연구 예체능 교육)에 대해 S, A, B, C 등급을 매기고 연봉을 차등적으로 지급하는 연봉제와 업적평가제가 시행된 것이다.

이 과정에서 18개 단과대학은 11개로, 77개 학과는 49개로 줄이고 10개 단과대학을 5개 계열로 묶어 각 계열에 책임부총장을 두는 구조 조정안이 발표되기도 했다. 교직원들과 학생들이 반발하고 나섰지만, 해당 안은 2010년 이사회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됐다. 

변화의 바람은 투자를 바탕으로 오기도 했다. 두산의 전폭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중앙대는 지난 5년간 내·외적인 변화를 거듭했다. 1200억원 규모의 발전기금으로 시작된 두산의 투자는 매년 100억원 대 지원으로 이어졌으며, 법인지원금도 2년만에 441억원으로 7배 넘게 증가했다.

두산은 중앙대학교의 시설 증축에도 앞장서고 있다. 두산재단법인이 들어선 이후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내부에는 15층 규모의 기숙사와 약대 강의실, 연구실로 활용될 11층의 R&D센터, 중앙도서관 리모델링, 공학관을 증축했다.

두산은 또 중앙도서관에 150억원을 투입해 지상 8층, 지하 1층 규모로 리모델링 및 증축을 최근 완료했다. 이 밖에 기숙사와 R&D센터 신축, 중앙대병원 별관 신축 등에도 1000억원을 넘게 지원했다.

이 때문에 중앙대는 올해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사상 처음으로 8위(지난해 10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한진그룹은 하와이 교민이주 50주년을 기념해 1954년 하와이 동포들의 성금으로 설립된 인하대를 인수해 운영하고 있다. 1968년 고 조중훈 한진그룹 창업자가 초대 이사장으로 취임했으며, 현재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이사장을 맡고 있다.

1997년 이사장으로 취임한 조 회장은 인하대를 초일류대학으로 만들기 위해 기숙사 준공, 정석학술정보관 및 하이테크관 착공 등 교육시설 부분에 과감히 투자했다.

2003년엔 470여 억원을 들여 국내 최고 수준의 전자도서관인 정석학술정보관을 건립하는 등 인재양성에 지금까지 3000억원이 넘는 지원금을 쏟아 부었다.

한진그룹은 인하대와 함께 한국항공대를 운영하면서 대한항공과 연계되는 고급 항공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우주항공, 항공기계, 항공운항 등 이들 대학의 학과를 마친 상당수의 전문 인력을 매년 고용하고 있다. 조 회장과 그의 아들 조원태 대한항공 부사장도 인하대 출신으로 알려졌다.

창업주 손으로
직접 설립

이처럼 대기업이 인수해 운영을 맡은 대학이 있는가 하면 대기업이 직접 설립한 대학도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울산대와 포항공대.

울산대학교는 현대그룹 창업주인 고 정주영 명예회장이 고급 기술인력 양성을 위해 1970년 설립한 울산공대가 그 모태다. 정 명예회장이 초대 이사장을 맡다가 현재 정몽준 새누리당 국회의원(현대중공업그룹 최대주주)이 이사장을 맡고 있다.

울산대는 현대중공업그룹의 전폭적 지원으로 ‘2013 교육중심대학 평가’에서 전국 5위를 차지한 것은 물론 대만국립대의 ‘2013 연구성취도 평가’에서도 국내 13위, 세계 463위에 올랐다. 특히 교육역량강화사업에서 6년 연속 우수한 평가를 받으며 지방대로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해왔다.

울산대·포스텍…창업정신 안고 명문대 부상
국민대·아주대…그룹 부도에 덩달아 날벼락

현대중공업그룹이 2011년까지 160억원을 투자한 조선해양공학부를 비롯해 현대그룹 형제기업인 ㈜KCC가 지원하는 생명화학공학부, 현대자동차와 연계된 자동차학부 등은 울산대의 자랑거리다.

포스텍은 이미 명문대로 널리 알려진 대학이다.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1986년 설립됐다. 당시 이공계 고급인력 양성을 위한 국내 최초의 ‘연구중심대학’을 표방했고, 국내 정상의 대학에서 세계가 주목하는 대표 대학으로 성장했다.




포스코는 포스텍 설립 후 현재까지 1조원 이상 지원했는데, 대기업이 운영하고 있는 대학들 가운데 가장 안정적으로 재정을 운용하는 곳으로 꼽힌다.

포스텍에도 산학협동 분야가 따로 마련돼 있다. 바로 철강부문이다. 포스텍은 2005년부터  포스코와 협력해 철강전문대학원을 신설하고 세계적인 철강전문 고급인력 양성에 나서고 있다. 물론 이 과정을 밟는 엘리트 인력은 포스코의 지원을 받는다.

인수후 부도
잘못된 만남

4년제 대학은 아니지만 LG그룹은 연암공대와 천안 연암대학을 설립해 운영하고 있다. 이처럼 상당수의 대기업들이 탄탄한 재정을 안고 대학 운영에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대기업의 대학 운영에는 명과 암이 공존한다. 대학을 인수한 기업들의 재정상황이 나빠지거나 부도가 날 경우 이들이 경영하는 대학이 덩달아 어려워지는 것은 물론, 그간 쌓아온 이미지까지 실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쌍용그룹이 1959년 인수해 온 국민대의 경우, 지난 1997년 외환위기 여파로 쌍용그룹이 공중 분해되면서 대학경영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

대우학원이 1977년 인수해 운영하던 아주대의 경우도, 대우그룹 부도 전인 1999년까지 승승장구하다 이후 대학 순위권 10위 밖으로 추락하며 나락의 길을 걸었다. 최근 들어 점차 과거의 명성을 회복하고 있지만, 상당한 내부 진통을 겪어야 했다.


김설아 기자 <sasa7088@ilyosisa.co.kr>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