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연금 개혁방안 소식에 '뿔난 공무원들'

한국뉴스


 

공무원연금 개혁방안 소식에 '뿔난 공무원들'

일요시사 0 1112 0 0

개선안 마련 주체도 공무원…지난해 기준 60조 육박 '눈덩이'

[일요시사=사회2팀] 박 일 기자 = 공무원연금 개혁방안 소식에 '뿔난 공무원들'

공무원연금과 군인연금이 또다시 논란의 중심에 섰다.

적게 내고 많이 받는 기형적 적자구조로 매년 수조원씩의 국민 혈세가 투입되고 있는 현 제도에 메스를 대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되면서 연금 개혁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하지만 공무원노조 등 공무원 조직의 반발이 심하고, 제도 개선안을 만들어야 하는 주체 역시 공무원이라 제도 개선이 쉽지만은 않을 전망이다.

새누리당과 정부·청와대는 지난달 19일, 청와대 서별관에서 당청청협의회를 열고 공무원연금 개혁안을 논의하려고 했지만 안건을 회의에 올리지도 못했다. 전국공무원노조와 전국교직원노조 등 공무원 노조의 반발이 심한데다 세월호 특별법 등을 둘러싼 정치상황이 녹록치 않아 조심스러운 행보를 보인 것이다. 공무원들의 반발도 확산되고 있다. 공무원연금에는 노동 3권 제약, 영리활동 및 겸직제한, 정치활동 불가, 품위유지 의무 등의 신분상의 제약에 따른 보상이 반영돼있다는 것이다. 당정청이 공무원연금을 개혁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전공노는 ‘100만 총궐기 투쟁’을 예고했다.

전공노는 최근 성명을 내고 “정부가 공적연금을 후퇴시켜 재벌의 사보험을 확대하려 한다”며 “새누리당이 연금개악을 추진한다면 공적연금 개악 저지를 위한 공동투쟁본부와 함께 100만 총궐기 투쟁과 범국민 서명운동을 펼칠 것”이라고 밝혔다.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 역시 “공무원연금을 절대 악으로 비춰가며 여론을 호도하는 새누리당의 공적연금개혁안은 궁색할 따름”이라며 “새누리당의 오만하고 독선적인 밀실 정치에 분노를 금할 길이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내년부터 연금 지급액의 20%를 삭감하고 명예퇴직 수당 등을 없앤다는 소문이 돌면서 일부 공무원은 명예퇴직을 신청하는 등 일선 공무원들의 반발도 극심하다.하지만 전문가들은 밑빠진 독인 공무원·군인연금의 적자를 언제까지 메워줘야 하느냐고 입을 모은다. 퇴직 공무원들의 연금 월 200만원을 보장하기 위해 84만원의 연금을 받는 국민들이 혈세를 내야 하는 것은 형평성에 맞지 않다는 지적이다.

납세자연맹 등에 따르면 퇴직 공무원들이 지난해 받은 월평균 수령액은 퇴직연금 217만4471원(32만1098명) 수준이었다. 또 유족연금은 138만3193원(4만1919명), 장해연금은 113만3033원(2832명)이었다.

군인연금도 개혁 대상으로 꼽힌다.

퇴직 군인들의 퇴역연금은 240만530원(6만2632명)이었다. 또 유족연금은 134만5554원(1만8493명), 상이연금은 144만5006원(1188명) 수준이었다. 매월 300만원 이상의 연금을 받는 퇴직군인도 지난해 기준 1만5000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장급 고위 간부의 경우 452만원(평균 복무기간 32.7년), 중장은 430만원(32.5년), 소장은 386만원(31.9년), 준장은 353만원(30.2년), 대령은 330만원(29.4년) 수준의 연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난해 국민들의 평균 국민연금 수령액은 84만4000원으로, 공무원·군인 연금의 40% 수준에 불과했다. 일반 회사원과 공무원이 서른 살부터 30년간 매달 20만원씩 연금을 불입한다고 가정할 경우 회사원은 65세부터 월 66만원을, 공무원은 3배 이상인 162만원을 받는다. 문제는 공무원·군인연금의 적자폭이 커지고 있고, 국민이 세금을 내 이를 보전하고 있다는 것이다.

공무원연금과 군인연금은 매년 수조원 대의 적자를 내고 있다. 지난해 기준 공무원연금의 수입액은 7조5000억원, 지출액은 9조5000억원으로 적자 규모가 2조원을 넘었다. 군인연금 역시 지난해 수입 1조3000억원, 지출 2조6000억원으로 약 1조3000억원의 적자를 냈다.

공무원·군인연금의 연금충당부채는 지난해 기준 600조원에 육박하고 있으며, 매년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공무원연금과 군인연금의 적자는 국민 세금인 정부의 일반회계에서 보전된다. 국민 혈세로 충당한 돈은 최근 5년간 14조원에 이른다.

현 정부 임기(2013~2017년) 중 국민 혈세로 충당해야 하는 돈은 22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한 해에 국민 한 사람이 공무원·군인연금 충당금으로 28만원씩을 내야 하는 셈이다.

베이비붐 세대들의 퇴직이 늘고 평균수명이 길어지면서 충당금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공무원·군인연금이 만성적 적자에 시달리게 된 원인은 무엇일까.
1960년 공무원연금이 도입될 당시의 평균수명은 60세에 불과했다. 소득대체율(생애평균 월급 대비 연금액 비율)은 40% 수준이었다. 하지만 소득대체율이 1980년대 중반엔 76%까지 높아졌고, 60세 수준이던 평균 수명은 100세를 내다보게 됐다. 적자가 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국민연금 역시 평균수명 증가 등의 문제로 도입 19년 만에 당초 약속했던 급여의 43%를 깎았다. 공무원 연금 역시 2009년 25%를 깎았지만 여전히 적자 구조를 면치 못하고 있다. 현재 공무원연금의 소득대체율은 62.7%(33년 재직) 수준이다.

정부는 이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올해 초 발표한 ‘경제혁신 3개 년 계획’에 공무원연금·군인연금·사학연금 등 3대 직역연금 개혁방안을 포함시켰다. 박근혜 대통령은 ‘경제혁신 3개 년 계획’ 담화문을 통해 “공무원연금과 군인연금, 사학연금 등 3개 공적연금에 대해 내년에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관련법도 개정하겠다”고 밝혔다.

당정청은 현재 공무원 연금 지급액을 단계적으로 낮추는 개선안을 검토 중이지만 공무원들이 스스로 자신의 밥그릇을 줄여야 하는 셀프개혁이 제대로 이뤄지기는 요원한 일로 보인다.
<park1@ilyosisa.co.kr>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