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기어로 본 재벌가 비사-LIG손해보험 ‘구자준 스캔들’

한국뉴스

<연속기획> 금기어로 본 재벌가 비사-LIG손해보험 ‘구자준 스캔들’

일요시사 0 1346 0 0













회장님, 그렇게 안 봤는데 ‘헐∼’

[일요시사=경제1팀] 김성수 기자 = 재벌가 혼맥, 대박 브랜드 비밀, 망해도 잘사는 부자들, 기업 내부거래 등을 시사지 최초로 연속 기획해 독자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던 <일요시사>가 새 연재를 시작한다. 직원들이 입 밖에 내면 안 되는 '금기어'를 통해 기업 성장의 이면에 숨겨진 '비사'를 파헤쳐 보기로 했다. 일반인은 잘 모르는, 기업으로선 숨기고픈 비밀, 이번엔 LIG손해보험의 '구자준 스캔들'편이다.

  
 

마라톤을 즐겼고, K2·에베레스트 원정에 나설 정도로 등산도 좋아했다. 그냥 취미가 아니다. 자선기금을 조성해 불우이웃을 도왔다. 몸소 체험을 통해 나눔경영을 펼친 것이다. 이런 공로로 이웃돕기유공 국민포장, 대한적십자사 최고명예대장 등의 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법 없이 살 사람?
재벌답지 않은 서민 행보로 귀감

주인공은 구자준 전 LIG손해보험 회장이다. 고 구철회 창업고문(고 구인회 LG그룹 창업주의 첫째 동생)의 넷째 아들인 구 전 회장은 평소 재벌답지 않은 행보로 주목을 받았다. 서민에 가까운 검소하고 소박한 모습을 보여 세간의 존경을 받았다.

그의 집무실은 소탈한 성격을 반영하듯 여느 오너의 사무실보다 작았다. 한번은 한 잡지에 부인과 함께 자신의 집을 스스럼없이 공개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주변에선 그를 법 없이도 살 바른 사람이라고 치켜세웠다.

한양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한 구 전 회장은 1974년 금성사에 사원으로 입사한 뒤 LG정밀에서 근무하다 1999년 LIG손보(당시 LG화재)로 자리를 옮겼다. 2002년 사장, 2005년 부회장이 된데 이어 2008년 회장이 됐다. 지난해 6월 경영일선에서 물러났다. 현재 상임고문을 맡고 있다. 지난 4월엔 한국배구연맹(KOVO) 총재직을 연임했다.

그랬던 구 전 회장이 요즘 진땀을 흘리고 있다. 숨겨왔던 '두 얼굴'이 속속 드러나서다. 회사가 막아준 바리케이드가 없어져설까. 공교롭게도 경영일선에서 물러나자마자 구설에 오르내리는 모양새다.

먼저 미국 부동산 의혹이 불거졌다. 한 방송사는 얼마 전 국내 재벌과 부호들의 미국 부동산 보유 실태를 추적 조사해 방송했는데, 구 전 회장도 도마에 올랐다. 구 전 회장은 미국에서 모두 4건의 부동산을 사고팔았지만, 국내에 신고한 건 단 1건 뿐이었다고 지적했다. 3건에 대해 세금을 내지 않았다는 얘기다.

구 전 회장은 사실 여부를 묻는 취재진이 접근하자 "아이 참. 서류 제출했으니까 그걸로 대체하라"며 얼굴을 가린 채 도망치듯 자리를 떴다. 이 장면은 고스란히 전파를 탔다. 경영자 시절 당당했던 모습은 온데간데없었다.

숨겼던 두얼굴 속속 드러나 진땀

구 전 회장은 미국과 인연이 깊다. 미국 캔자스 주립대와 미주리 주립대로 유학을 다녀왔다. 또 미국 지사로 발령이 나 한동안 미국에서 지낸 적이 있다. 두 아들도 미국에서 공부했다.

사실 구 전 회장의 미국 부동산 의혹은 처음이 아니다. 재미언론인 안치용씨는 2009년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구 전 회장이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초호화 콘도 2채를 매입해 이중 1채를 부인에게 무상증여한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당시 회사 측의 선방(?)으로 언론 등 세간엔 잘 알려지지 않았다.

LIG손보 한 직원은 "방송 후 다른 언론들의 확인 전화가 많았던 것으로 안다"며 "(담당 직원에게) 구 전 회장이 회장 신분이라면 몰라도 현직이 아니라서 난감하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귀띔했다.

구 전 회장은 이병기 국정원장과 관련해서도 이름이 거론됐다. 이 원장은 취임 전인 후보자 시절 '특혜 취업'의혹을 받았다. 여기서 등장하는 인물과 회사가 바로 구 전 회장과 그가 경영한 LIG손보다.

이 원장은 구 전 회장이 회장직을 맡았던 2008년 7월부터 지난해 3월까지 5년간 LIG손보의 법인영업지원팀 고문으로 재직했다. 이 기간 그는 회사로부터 5000만원 이상의 연봉을 받아 총 2억5779만원을 급여로 받았다.

관건은 특혜가 있었냐는 것이다. 구 전 회장과 이 원장은 사돈관계라 의혹을 짙게 했다. 이 원장은 구본욱 LIG손해보험 전략지원담당 상무의 장인. 구 상무는 구 전 회장의 둘째 형인 고 구자성 전 LG건설(현 GS건설) 사장의 장남으로, 구 전 회장의 조카다.

미국 부동산 수상한 거래 도마
국정원장 특혜 취업 의혹 거론
두 아들 군면제 문제까지 회자

구 전 회장은 1995년 갑자기 심장마비로 사망한 형을 대신해 구 상무를 각별히 챙겼다고 한다. 부친 사망 당시 18세였던 구 상무는 서강대 경영학과와 미국 코넬대 경영대학원을 졸업하고 LIG투자증권 경영지원본부장(이사)과 WM전략본부장(상무) 등을 역임한 후 지난해 4월 LIG손보에 둥지를 틀었다. 구 전 회장이 퇴진할 당시 구 상무는 사내이사로 선임되면서 경영 전면에 나섰다.

이른바 '구자준 스캔들'이 연달아 터지자 구 전 회장 일가를 둘러싼 해묵은 논란거리까지 다시 회자되고 있다. 두 아들의 병역 문제가 그중 하나다. 최근 신체 건강한 군면제 연예인들이 이슈화 되면서 군대 안간 구 전 회장의 아들들도 덩달아 재계 호사가들의 입방아에 올랐다.

만 19세부터 30세까지 병역의무 나이를 지난 '구씨일가' 4세들의 병역 여부를 살펴보면 군필자 못지않게 미필자가 많다. 눈에 띄는 점은 다른 재벌가와 달리 면제 사유가 질병보다 외국 국적이 많다는 것이다. 이들은 대부분 영주권이나 시민권 등을 내세워 '소나기'를 피한 뒤 병역의무 나이가 지나면 슬그머니 국내에 들어와 한자리씩 꿰차고 있다.

구 전 회장의 두 아들도 마찬가지다. 구 전 회장은 부인 이영희씨와 사이에 2남(동범-동진)을 두고 있다. 올해 39세인 장남 동범씨와 37세인 차남 동진씨는 모두 병역을 면제받았다. 미국 영주권을 갖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미국 시민권자는 '자진해서 외국 국적을 취득한 자는 대한민국 국적을 상실한다'고 규정한 국내 국적법에 따라 한국 국적이 자동 소멸된다. 영주권자는 한국 국적과 외국 국적을 동시에 보유할 수 있다. 이중국적자의 경우 현행 국적법상 22세 이전에 하나의 국적을 선택해야 한다.

동범씨는 LIG손보 이사로 미국법인을 담당하다 지난해 9월부터 LIG에이디피 총괄 부사장을 맡고 있다. LIG에이디피는 구 전 회장이 최대주주(19.39%)로 있는 디스플레이 장비업체다. 동진씨는 이사 직함으로 형이 맡았던 LIG손보 미국법인을 책임지고 있다.

공든탑 무너질 판

'정도'만 걸어온 것으로 알려졌던 구 전 회장. 여기까지일까. 하루가 멀다 하고 구설에 오르는 통에 굿이라도 해야 할 판이다. 까딱 잘못했다간 수십년 공든탑이 무너질 판이다.
 

<kimss@ilyosisa.co.kr>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