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의 바다 생물들

한국뉴스


 

<해수욕 비상> 공포의 바다 생물들

일요시사 0 1741 0 0

[일요시사 취재1팀] 김태일 기자 = 여름 휴가철을 맞아 전국 해수욕장은 사람들로 북적인다. 하지만 수시로 나타나는 위험한 해양생물들이 피서객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최근에는 주로 열대지역서 서식하는 바다뱀이나 맹독문어까지 잇따라 출몰라면서 피서객들의 불안감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동해안서 식인상어가 발견됐다. 해경은 동해안서 식인상어가 발견됨에 따라 동해안을 찾는 해수욕객이나 해녀, 스킨스쿠버를 비롯한 레저객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며 상어를 발견할 경우 즉각 신고해 줄 것을 요청했다. 

 

[바다의 포식자] 상어

 

포항해양경비안전서는 지난 4월 경북 영덕군 원척항 동방 800m 해상서 백상아리 1마리가 그물에 갇혀 죽어있는 것을 확인했다. 

 

15t급 정치망 어선 S호(구계항 선적) 선장 김모(54)씨는 이날 조업을 위해 영덕 구계항을 출항해 설치해 둔 그물을 끌어 올리는 중 백상아리 1마리가 그물에 죽은 채 감겨 올라오는 것을 발견하고 포항해경에 신고했다. 

 

이날 혼획된 백상아리는 길이 2.5m, 무게 150㎏으로 영덕 강구항서 15만7000원에 위판됐다. 

 

상어는 총 360여종이 있는데 우리나라 바다에는 40여종이 살고 있다. 특히 청상아리와 백상아리, 칠성상어, 흑기흉상어, 귀상어, 미흑점상어, 무태상어 7종은 사람을 공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상어가 사람을 공격한 사례는 국내 연안서도 여러 차례 있었다. 

 

1959년 7월 서해안 대천해수욕장에선 대학생이 상어에 물려 과다출혈로 사망했다. 1981년 5월에는 충남 보령 앞바다서 해산물을 채취한 후 배에 오르던 해녀가 상어 2마리에게 물속으로 끌려들어가 희생됐다. 

 

1995년 5월과 1996년 5월에도 서해서 해녀와 어부가 상어에 물려 다리가 절단돼 숨졌다. 지금까지 국내서 식인상어로 인해 사망한 사람은 총 6명이다. 

 

상어는 남쪽서 올라오는 난류와 북쪽의 한류가 만나면서 풍부한 먹잇감이 형성되는 5월부터 남해안서 서해안으로 이동한다. 국내 사망사고도 대부분 서해서 발생했다. 

 

해양전문가들은 이번에 경북 동해안서 백상아리가 발견된 것은 온난화에 따라 동해안의 수온이 상승한 때문으로 추정하고 있다. 백상아리는 물속에서도 매우 빨리 움직이고 1㎞ 떨어진 곳의 피냄새까지 맡을 정도로 후각이 발달했다. 

 

사람 공격하는 상어 등장 동해안 긴장

징그러운 해파리가 어업 피해 유발도…

 

따라서 상처가 있을 때는 절대 바다에 들어가면 안 된다. 

 

포항해경 관계자는 “경북 동해안, 연안 해상에서 식인상어가 발견되어 어업인들과 다이버 등 레저 활동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며 “상어를 만났을 때에는 고함을 지르거나 작살로 찌르는 자극적인 행동을 자제하고 즉시 그 자리를 피해 곧바로 119로 신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호감 생물 1호] 해파리

 

동해 중남부지역에는 해파리가 늘어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경북도 어업기술센터에 따르면 지난 5월초 영덕 축산항 근해서 보름달물해파리가 발견된 이후 경주시 감포, 울진군, 포항시 구룡포 지역으로 해파리 출현 범위가 확대되고 출현율이 상승하고 있다.

 

경북 관내 해역의 주로 출현 해파리는 보름달물해파리와 노무라입깃해파리다. 보름달물해파리는 5월부터 8월 사이 연안에 대량 출현하며 독성은 약하나 무리지어 다니는 경향이 있어 어망파손, 조업지연 등 어업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노무라입깃해파리는 7월부터 11월까지 대량 출현하며 큰 것은 200kg에 이르러 어업피해는 물론 독성이 강해 해수욕장 이용객의 비호감 대상 1호다. 

 

경북도 어업기술센터는 이처럼 경북관내 해역서 해파리 출현율이 증가됨에 따라 어업인 피해 예방을 위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신속한 상황 전파와 방제작업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어업기술센터 관계자는 “앞으로 해파리 대량 출현이 예상되는 만큼 보유 인력·장비를 최대한 동원해 신속한 구제작업 실시로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조기 대응하겠다”며 “어업인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정확하고 신속한 해파리 모니터링과 방제작업에 큰 도움이 되므로 해파리 발견 시 경북 어업기술센터로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제주항 인근 해상서도 강독성의 유령해파리가 발견됐으며 수온이 증가하는 이달 말부터는 해파리 개체 수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국립수산과학원 제주수산연구소는 전망했다. 연구소는 해마다 반복되는 해파리 쏘임사고를 줄이기 위해 제주 전 연안을 대상으로 해파리 모니터링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해파리 접촉피해 응급대처법을 포스터로 제작해 도내 주요 해수욕장과 유관기관에 배포했다. 

 

안철민 제주수산연구소장은 “해수욕장 이용객들은 해수욕장 내 게시판이나 탈의실 입구 등에 부착된 해파리 포스터 내용을 반드시 숙지하고 해파리 쏘임 피해를 피하기 위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맹독 잔뜩 품은] 바다뱀

 

대만과 류큐열도 남부서 흔히 발견되는 맹독 바다뱀이 최근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한반도에도 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박대식 강원대 과학교육학부 교수팀은 남해와 제주 바다서 잡은 바다뱀 12마리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를 지난달 24일 발표했다. 

 

바다뱀은 코브라과에 속하는 맹독성 생물이다. 이름 그대로 바다에 사는 뱀인데 육지에 사는 뱀과 유사하지만 꼬리 모양이 ‘노’처럼 넓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물리면 죽을 수도 있어 일본 오키나와 근처 등에서는 바다뱀의 출몰을 경고하는 게시판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박 교수는 “기후변화로 해수 온도가 상승하며 주로 열대·아열대에 사는 바다뱀이 러시아 근해에서도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다”며 “한반도 해역으로 유입되는 바다뱀이 늘어나고 있으며 앞으로는 더 그럴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 교수팀은 국내 서식 바다뱀의 생태를 연구하기 위해 2014년부터 포획에 나섰다. 2015년 4월부터는 남해안과 제주 주요 항구에 바다뱀을 찾는다는 포스터를 붙이고 전단을 돌리며 제보를 받아 작년 10월까지 어민들에게 총 12마리의 바다뱀을 입수했다. 

 

이들은 모두 갈색 줄무늬가 있는 넓은띠큰바다뱀이었다. 주로 필리핀, 일본 남부의 오키나와, 대만 인근서 발견되며 한반도에선 발견됐다는 기록이 없었다. 기록에 의하면 한반도서 발견되는 바다뱀은 이보다 더 크기가 작은 ‘진정바다뱀류’다. 

 

 

 

바다뱀의 유입 경로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진은 뱀의 특정 유전자(미토콘드리아 Cytb 유전자)의 서열을 분석했다. 제주 우도·덕돌·강정·서귀포·마라도와 전남 여수서 발견된 바다뱀 6마리는 류큐열도 전역에 걸쳐서 나타나는 유전자형을 가지고 있었다. 

 

부산 기장(고리)과 제주 애월·모슬포·강정서 발견된 바다뱀 4마리는 류큐열도 남부서 주로 나타나는 유전자형을, 부산 기장(일광)·제주 위미서 발견된 2마리는 대만 해역서만 나타나는 유전자형을 가지고 있었다. 

 

따뜻한 바다서만 살던 바다뱀 출몰

위험천만 파란고리문어 잇따라 발견

 

박 교수는 “이 연구 결과는 바다뱀이 주로 대만과 류큐열도 남부서 타이완난류나 쿠로시오해류를 타고 한반도 해역으로 들어왔음을 시사한다”며 “지구 온난화로 인해 이 해수의 유입이 많아질수록 바다뱀의 유입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그는 “바다뱀 연구는 생물 다양성과 해양생태계의 변화 측면에서도 중요하지만 맹독성 생물이므로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서도 기초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복어 독 1000배] 파란고리문어

 

맹독을 지닌 파란고리문어가 거제 연안서 발견돼 주의가 요구된다. 지난 6월 거제시는 거제시 일운면 구조라 항 방파제 인근에서 한 낚시꾼이 파란고리문어를 발견해 신고했다. 

 

파란고리문어는 열대성 생물로 갈색 바탕에 푸른빛 원형 무늬가 있고 10cm 내외의 크기다. 작은 크기지만 복어류에 있는 테트로도톡신과 같은 매우 강한 독을 지녔다.

 

이 문어가 가진 맹독은 1mg으로도 사람을 치사에 이르게 할 수 있으며 적은 양에 노출되더라도 신체 마비, 구토, 호흡곤란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또 몸 표면의 점액과 먹물 등에도 독성물질이 있어 절대 손으로 만져서는 안 된다. 

 

지난 2015년 6월 제주 북서부의 협재해수욕장 인근 갯바위서 고둥과 게 등을 잡던 한 관광객이 파란고리문어에 손가락을 물리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당시 사고로 병원 치료를 받은 관광객은 “문어에 물린 후 피가 조금 났고 벌에 쏘인 듯 욱신거리고 손가락 마비 증상을 느껴 119에 신고했다”며 응급처치를 받았지만 계속해서 손뼈가 시릴 정도의 극심한 고통과 어지러움 증상을 느꼈던 것으로 전해졌다.

 

파란고리문어는 제주도 인근서 발견됐지만, 최근 바다 수온이 상승하면서 남해안서도 발견되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 관계자는 “학계 보고에 따르면 파란고리문어의 독은 복어보다 무려 1000배나 강한 것으로 조사됐다”며 “불과 1mg가량의 독으로도 생명이 위험할 수 있고 이빨 외에도 몸 표면의 점액 등에 독이 묻어 있어 발견 시 절대 맨손으로 만져서는 안 된다”고 당부했다.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