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에 부는’ 친노 바람 풍향계

한국뉴스


 

‘여의도에 부는’ 친노 바람 풍향계

일요시사 0 777 0 0

[일요시사 정치팀] 김정수 기자 = ‘우리는 폐족이다.’ 친노(친 노무현)는 2007년 대선 이후 정치권서 퇴장했다. 대선 패배와 마주한 친노는 스스로를 폐족이라 부르며 물러났다. 그러나 친노는 보수정권 9년과 국정 농단 사태를 관통하며 부활했다. 문재인 대통령 집권 이후 문희상 의원과 유인태 전 의원은 각각 국회의장과 국회사무총장직을 수행하게 됐다. 이들은 친노 좌장으로 통한다. 한국당 김병준 비대위원장 역시 친노 인사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친노는 정치권 최대 계파로 부상했다. 지난날 폐족을 자처하며 정치권서 물러난 모습과 대비된다. 문재인 대통령의 집권은 친노 부활의 기폭제가 됐다. 문 대통령은 친노 대표주자로 통한다. 친노는 문재인정부 탄생 이후 광폭적 행보를 이어갔다. 지난 6월 실시된 지방선거서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이 압승을 하면서 활동영역은 더 넓어졌다.

 

설움 딛고 빛

 

친노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정치적 이념을 지향하거나 측근서 수행했던 인사들을 일컫는다. 친노의 전성기는 열린우리당이 탄핵 역풍으로 17대 총선서 크게 승리한 때다. 열린우리당은 국회 과반을 차지했지만 이른바 ‘4대 개혁 입법’ 처리로 위기를 맞았다. 개혁 입법은 국가보안법·사립학교법·과거사 진상 규명법·언론관계법 등을 골자로 한다. 당시 야당이었던 한나라당은 이를 두고 ‘4대 개악 입법’이라며 반대했다.

 

열린우리당은 한나라당에게 대연정을 제안하기도 했지만 한나라당의 거부로 이뤄지지 않았다. 이를 두고 열린우리당 내부에선 분열 조짐이 일었다. 특히나 한나라당과 대척점에 있던 호남민심의 반발 기류가 가시적이었다.

 

2007 대선 패배는 결정적이었다. 친노는 이후 폐족을 자처했다. 보수정권은 2007 대선을 시작으로 약 9년간 집권했다.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이 그 중심에 있었다. 당시 주류 계파는 친이(친 이명박)와 친박(친 박근혜)이었다.

 

보수정권은 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로 몰락의 길을 걷게 됐다. 촛불집회와 박 전 대통령의 탄핵으로 보수정권 9년은 마침표를 찍었다. 문 대통령은 촛불집회를 ‘촛불혁명’으로 명명했다. 문 대통령은 스스로를 “촛불혁명이 만든 대통령”이라고 밝혔다. 촛불혁명에 정권의 정당성을 부여한 셈이다.

 

친노가 재기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문재인정부의 탄생이 뒷받침됐다. 국민들이 대통령 탄핵을 이끌어냈고, 그 연장선에 정권교체와 문 대통령의 집권이 자리한다. 친노 대표주자인 문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친노 인사들도 영향을 받은 것이다.

 

문 대통령이 청와대에 입성하자 친노 인사들은 국회 내 요직에 자리하는 모양새다. 홍영표 원내대표와 김태년 정책위의장은 대표적 친노 인사다. 홍 원내대표는 2002 대선 당시 개혁국민정당 조직위원장과 사무총장을 맡았다. 당시 개혁국민정당은 노 전 대통령의 당선을 위해 당 외부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홍 원내대표가 노 전 대통령의 당선에 일조했다는 평가를 받는 까닭이다. 이후 그는 참여정부서 당시 이해찬 국무총리실 소속 시민사회비서관을 지냈다. 김 위의장 역시 노 전 대통령의 당선에 기여했다. 김 위의장은 2002 대선 때 노무현선거대책본부 성남공동부장직을 수행했다.

 

지난 13일 신임 국회의장으로 선출된 문희상 의원은 친노 좌장으로 꼽힌다. 의사봉을 쥐게 된 문 의장은 국회 후반기 2년간 입법부를 이끌게 됐다. 

 

문 의장은 참여정부 당시 초대 대통령 비서실장을 지냈다. 문 의장은 당시 민정수석이던 문 대통령과 호흡을 맞췄다. 문 의장은 DJ계로 통하기도 한다. 그는 국민의정부서 국가정보원 기획조정실장과 청와대 정무실장을 역임했다.

 

문정부 이후 줄줄이 장악

요직 꿰차 정치권 최대 계파 

 

문 의장은 국회 사무총장에 유인태 전 의원을 내정했다. 유 사무총장 역시 ‘원조 친노’로 분류된다. 유 사무총장은 참여정부서 청와대 정무수석을 수행했다. 그는 대통령 비서실장이었던 문 의장과 함께했다. 문 의장과 유 사무총장은 ‘정치 콤비’로 통한다.

 

민주당 당 대표 후보에 나서는 의원들 역시 친노 또는 범친노로 분류된다. 가장 먼저 당 대표 출마를 선언했던 박범계 의원은 2002 대선 당시 노무현 후보 법률특보를 시작으로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정무분과 인수위원, 청와대 민정2비서관, 청와대 법무비서관 등을 역임했다.

 

이어 출마를 선언한 김진표 의원은 참여정부서 경제·교육부 부총리를, 송영길 의원은 대선 당시 노무현 후보 수행비서를 맡았다. 최근 당 대표 출마를 선언한 최재성·김두관 의원 역시 친노인사다. 

 

최 의원은 당시 노무현 대선 후보 선대위 청년특보단 상임부회장직을 수행했다. 김 의원은 참여정부 시절 해양수산부장관을 지냈다.

 

이번 민주당 전당대회서 최대 변수로 꼽히는 이해찬 의원은 문 의장·유 사무총장과 함께 ‘원조 친노 3인방’으로 꼽힌다. 이 의원은 참여정부 시절 국무총리를 지냈다.

 

최근 자유한국당(이하 한국당) 혁신비상대책위원장으로 내정된 김병준 국민대 명예교수(이하 김 위원장) 역시 친노 인사로 주목을 받고 있다. 보수정당 비대위원장에 친노 인사가 내정된 것이다.

 

김 위원장은 노 전 대통령이 당선된 이후 대통령 자문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참여정부에선 청와대 정책실장과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장관을 역임했다. 이후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과 대통령 정책특별보좌관직을 수행했다. 

 

 

 

다만 김 위원장은 중도적 인사로 평가받는다. 김 위원장은 탄핵 정국 당시 국무총리에 지명됐다가 철회된 바 있다.

 

이를 두고 민주당 내 친노 인사들 사이에선 김 위원장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노무현 키즈’로 불리는 전재수 민주당 의원은 지난 17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김 위원장을 비판했다. 

 

전 의원은 “청와대서 노무현 대통령을 모시고 함께 일했던 사람으로서 그를 너무나 잘 안다”며 “출세를 위해 노 대통령님을 입에 올리거나 언급하지 말아달라”고 언급했다. 전 의원은 이어 “당신의 권력욕이 참 두렵다”고 덧붙였다.

 

한자리씩

 

김 위원장은 이날 한국당 2차 전국위원회서 비대위원장으로 추인 받은 뒤 기자들과 만나 “그건 노무현정신 왜곡하는 것”이라며 “노무현 정신은 여기도 대한민국 저기도 대한민국”이라고 밝혔다.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