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헉’ 차례상에 이런 음식이…산 사람 입맛이 먼저?

한국뉴스


 

<추석특집> ‘헉’ 차례상에 이런 음식이…산 사람 입맛이 먼저?

일요시사 0 1163 0 0

[일요시사 취재1팀] 김태일 기자 = 민족의 대명절 ‘추석’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추석이 되면 조상님께 감사하다는 의미로 차례를 지낸다. 차례상하면 ‘어동육서’라든지 ‘홍동백서’ 등의 기본적인 상차림이 떠오른다. 하지만 시대가 변했다. 차례상에 치킨, 피자가 올라오는가 하면 돼지보쌈, 케이크, 파인애플 등 ‘살아있는’ 사람의 취향에 맞춘 이색음식을 올리기도 한다.

 

 

 

차례상은 원래 다양하다. TV를 보거나 SNS에 올라오는 차례상을 보면 분명 우리 집에는 올라오지 않는 음식들이 올라와 있다. 피문어가 올라오거나 홍어가 올라오기도 하고 심지어는 파인애플이나 전복, 바나나가 올라오기도 한다. 지역의 특성에 따라 수확하는 음식이 달라 즐겨 먹는 음식도 다르기 때문이다. 

 

천차만별

 

경기도 차례상에는 꼭 빠지지 않는 음식이 있다. 바로 명태를 말린 ‘통북어’이다. 예로부터 경기도에서는 북어를 다산과 풍요의 상징으로 여기며 중요시했다. 북어는 머리가 크고 알을 많이 낳는 생선으로 알려져 있는데, 차례 음식에는 자식들이 잘 크고 후손도 많이 낳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긴 만큼, 통북어를 간장으로 간을 해서 굽는다.

 

녹두전도 경기 지역에서는 빠지지 않는 차례상 음식이다. 녹두를 갈아 배추를 고명으로 넣어 만든 녹두전을 부침 전으로 올리기도 하고, 돼지고기와 고사리와 함께 녹두를 갈아 넓적하게 부쳐내 올리기도 한다.

 

소설 ‘메밀꽃 필 무렵’의 배경 강원도의 차례상은 단연 메밀이 1순위이다. 실파를 넣어 담백하게 만든 메밀전과 메밀총떡이 대표적이다. 떡만둣국에도 메밀반죽에 고기, 김치, 두부로 속을 채워 빚어낸 만두가 들어간다. 

 

또 산간 지방이 많은 만큼 얻기 쉬운 감자를 이용한 감자전도 유명하다.

 

경기·강원·경상·전라도와 인접한 충청도는 각 도의 영향을 많이 받아 어느 지역보다도 다양한 음식이 차례상에 올라온다. 내륙지역에서는 채소를 활용한 전과 부침류가 주로 올라오고, 경상북도와 인접한 지역에서는 오징어포, 대구포 등의 건어물과 피문어 등이 사용된다. 

 

 

 

호남과 인접한 지역에서는 가자미, 낙지, 병어 등 다양한 수산물이 활용되기도 한다.

 

충청도에선 닭을 밝은 기운을 전하는 가축으로 여겨 즐겨 쓰는데, 닭 한 마리는 부담스러워 달걀로 그 자리를 대신하기도 한다. 삶은 달걀을 꽃모양으로 깎아 정성스럽게 올린다.

 

동해, 남해와 맞닿아 있는 경상도는 가자미, 방어, 민어 등 다양한 생선과 어패류를 활용해 차례상을 차린다. 안동에선 특산물인 ‘안동 식혜’가 꼭 올라가고, 대구에서는 ‘돔배기’를 산적으로 올리기도 한다.

 

경상도에서는 문어를 쓰지 않으면 차례를 지낼 필요가 없다는 속담이 있을 만큼 문어는 으뜸으로 꼽히는 차례음식이다. 문어는 대부분 통째로 삶아 올리는데, 경북 영덕에선 대게와 함께 올리기도 한다.

 

홍어, 빵…지역별 특성 뚜렷한 상차림

피자, 치킨… 케이크, 커피 올리기도

 

‘맛의 고장’ 전라도에서는 서해와 인접해 있는 만큼 갯벌에서 얻을 수 있는 음식들을 차례상에서 볼 수 있다. ‘제사꼬막’을 올리는데 주름이 깊고 선명한 참꼬막을 전라도서 달리 부르는 말이다. 양념 없이 살짝 데쳐 차례상에 올린다. 

 

홍어와 낙지도 빠질 수 없다. 홍어는 토막내 올리고, 낙지는 꼬치에 말아 화롯불에 구워 올린다.

 

제주도는 특이하게도 떡 대신 빵을 제사상에 올린다. 롤케이크부터 팥빵까지 다양한 종류의 빵을 쓴다. 예로부터 논농사를 짓지 않은 제주도에선 쌀이 부족해 보리로 만든 빵이 차례상에 오르곤 했다. 돼지고기도 빠지면 섭섭하다. 삶은 고기를 통으로 삶아 쓰거나 산적으로 올리기도 한다.

 

여기까지는 지역의 특성에 따른 차례상이다. 최근 ‘살아있는’ 사람들의 입맛에 맞춘 이색 차례상이 유행이다. 추석이 되면 SNS에는 달라진 명절 풍경을 보여주는 누리꾼들의 ‘추석 차례상 후기’들이 속속 올라온다.

 

 

 

한 네티즌이 올린 차례상에는 오직 사과, 배, 멜론 등의 과일과 찰떡, 녹차 등만 올라있다. ‘정석’을 따르지 않았지만 조상에 대한 예를 최대한 갖추면서 부담을 크게 줄인 차례상이다. 이 차례상서 눈에 띄는 게 있다. 바로 녹차다. 

 

설과 추석에 지내는 ‘차례’의 ‘차’는 마시는 차를 말한다. 풀어쓰면 ‘차를 올리는 예절’이다. 조선 초기에만 해도 제사 때 차를 올렸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나물, 동태전, 송편 등 추석 차례상에 올리는 기본 메뉴 대신 돼지보쌈, 케이크, 파인애플 등을 올리는 사람들도 있었다. 잡채, 샐러드 소갈비, 커피 등을 올리는 사진도 올라왔다.  

 

네티즌들은 “우리집 올해 차례상에 케이크 놓았음. 송편 해봤자 식구들 잘 먹지도 않는다고. 그리고 케이크 인기폭발” “이번 추석 차례상은 식구들이 좋아하는 음식으로 구성했다. 음식장만도 부담 없었고 차례 마친 후 식사도 즐거웠다” 등 오히려 명절이 더 즐거워졌다는 후기들을 남겼다. 

 

엇갈린 반응

 

하지만 사람들의 반응은 엇갈리고 있다. 차례상에 오른 음식을 어차피 가족들이 나눠먹기 때문에 선호하는 음식을 택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는 의견이다. 반면 차례상에는 기본적으로 정해진 음식을 차리는 게 예라며 자신들의 취향에 맞는 음식을 올리는 건 경우에 맞지 않다고 주장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