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검무 인간문화재 임영순

한국뉴스


 

<아트&아트인> 평양검무 인간문화재 임영순

일요시사 0 1277 0 0

평양의 춤, 통일의 춤이 되는 날까지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인간문화재는 한 분야서 대가의 위치에 오른 사람이다. 명예가 따르는 만큼 책임이 막중한 자리다. 평안남도 무형문화재 제1호 평양검무 예능보유자 임영순 교수도 그 무거운 짐을 짊어지고 있다.

 

048413b12e6fe2a7c2674e392fe55bc9_1543271806_54.jpg
 

 

▲ 평양검무 인간문화재 임영순 교수

"평양검무는 너무나 귀하고 소중한 춤입니다.”

 

지난 19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평양검무 전승관서 임영순 교수를 만났다. 임 교수는 인터뷰서 평양검무에 대한 애정을 여러 차례 드러냈다. 예능보유자(인간문화재)로서 평양검무를 알리고, 보급하고 전수하는 데 역할을 해야 한다는 강한 의지가 묻어났다.

 

북한서 유래

 

고구려 시대부터 유래했다는 평양검무는 18세기 평양 권번(기생집)서 많이 췄던 춤이다. 무역을 위해 평양을 방문한 중국 사신을 접대하거나 평양감사의 연회 때 빠지지 않고 선보였다. 조선시대에는 궁중 행사를 위해 평양 기생들이 선상돼 궁에서 추기도 했다.

 

평양검무는 명예보유자 이봉애 선생이 1985년 복원했고 2001년 무형문화재로 지정됐다. 고구려의 기상이 녹아 있어 활달하고 동적인 특징이 두드러진다. 임 교수는 “권번을 중심으로 발달했지만 기생의 이미지만 갖고 있는 춤은 아니다”라며 “여성미나 섹시함을 드러내면서도 활달한 부분이 많기 때문에 중성적인 느낌이 강하다”고 설명했다.

 

임 교수가 이봉애 선생을 만나 평양검무를 시작한 시점은 지난 2002년이다. 임 교수는 둘째 딸의 대학 진학까지 지켜보고 난 뒤 무용계로 돌아왔다. 어린 시절부터 춤을 췄지만 결혼과 동시에 내조와 육아에 집중하기 위해 무용을 등진 시간이었다.

 

여성적이면서 활달한 

중성적 매력의 움직임

 

임 교수는 “다시 춤을 추려고 무용 관련 잡지를 보다가 이봉애 선생님에 대한 글을 읽게 됐다”며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평양검무를 보급하려는 열정을 갖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그 글을 보고 선생님 댁에 찾아가게 됐다”고 말했다.

 

048413b12e6fe2a7c2674e392fe55bc9_1543271815_02.jpg
 

 

▲ 평양검무 공연 중인 임영순 교수

춤을 배우기 시작하면서 임 교수는 이봉애 선생을 ‘엄마’처럼 모셨다고 한다. 이봉애 선생도 임 교수를 ‘딸’이라고 지칭할 만큼 두 사람은 돈독한 관계를 이어갔다. 인간문화재로서 1년에 한 번 공연을 해야 하는 이봉애 선생을 무대에 오를 수 있도록 도운 것도 임 교수였다.

 

당시 이봉애 선생은 휠체어를 타고 다녀야 할 정도로 건강이 좋지 못했다.

 

임 교수는 “2005년쯤 주변서 선생님을 두고 ‘저 분은 춤을 안 춰, 공연을 안 해’ 같은 말을 하는 것을 듣게 됐다”며 “그때 춤을 끝까지 추지 못하시더라도 선생님을 무대에 세워드리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임 교수의 노력으로 이봉애 선생은 휠체어에 탄 채 무대에 올라 관객에게 인사말을 전하고 검무 동작을 소개했다.

 

전수자와 이수자 단계를 거친 임 교수는 2014년 평양검무 전수조교로 추천받았다. 그리고 2년 뒤 2016년 4월 이북5도 문화재위원들의 만장일치로 인간문화재로 인정됐다.

 

인간문화재로 인정받은 임 교수는 평양검무 보급과 전수에 모든 활동을 집중하고 있다. 다른 춤에 비해 문헌 등의 자료가 적은 평양검무를 연구하면서 박사 학위도 땄다. 임 교수는 “평양검무는 북한서 발달한 춤이기 때문에 문헌이나 자료를 찾기가 어려운 편”이라며 “이대로 가다가는 근본 있고 역사가 있는 춤을 잃을 수도 있다고 생각해 연구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048413b12e6fe2a7c2674e392fe55bc9_1543271823_52.jpg
 

 

▲평양검무

임 교수는 평양검무를 널리 알리기 위해 무용영재부터 이수자까지 일종의 맞춤형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있다. 먼저 유치원, 초·중등 무용영재들을 위한 영재학교에서 평양검무를 가르친다. 영재학교서 평양검무를 배운 학생들이 성장해 예고에 진학하고 전공으로 삼게 되면 평양검무가 지금보다 발전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시작한 일이다.

전수자와 이수자들이 중심이 된 공연도 기획돼있다. 임 교수는 다음달 13∼16일 나흘간 서울 강남구 M극장서 평론가와 비평가들을 관객으로 공연을 선보인다.

 

매년 성장세 뚜렷하지만

공연비 부족·열악한 환경

 

임 교수는 “나는 인간문화재로서 평양검무를 보급하는 것과 동시에 이수자와 전수자들을 명인으로 끌어 올려야 하는 임무가 있다”며 “언제까지 내 밑에 두고 춤을 추게 할 수는 없지 않느냐”라고 반문했다. 이어 “이수자들만을 위한 공연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모두들 열심히 하고 있기 때문에 잘할 거라 믿고 있다. 자신 있다”고 덧붙였다.

 

평양검무가 대중에게 좀 더 쉽게 받아들여지도록 변화도 꾀하고 있다. 원형은 그대로 보존하면서 현대적인 감각을 살린 안무를 창안한 것이다. 원형은 예능보유자인 임 교수가 추고, 변형된 안무는 제자들이 추는 식이다.

 

임 교수는 “한국민속축제여흥마당 등에서 원형과 창작 안무로 무대를 구성했는데 반응이 정말 좋았다”며 “원형만 고집하면 지루하다고 생각할까 봐 쉽게 접할 수 있으면서도 원형을 깊게 공부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고자 안무를 재창작 안무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평양검무 보급을 위한 임 교수의 의지는 확고하지만 경제적인 벽은 높다. 1년에 4∼5번 정도 진행하는 공연서 소요되는 비용은 일정 부분 임 교수가 부담하고 있을 정도다. 평양검무는 연고가 북한에 있기 때문에 제대로 된 지원을 해주는 곳이 없다.

 

048413b12e6fe2a7c2674e392fe55bc9_1543271830_27.jpg
 

 

▲ 평양검무 인간문화재 임영순 교수가 <일요시사>와 인터뷰 도중 포즈를 취하고 있다.

임 교수는 다른 문화재들과 똑같은 선에서 예우를 해줬으면 한다는 바람을 드러냈다. 열악한 경제 환경으로 미처 만들어지지 못한 전수관에 대한 아쉬움도 언급했다.

 

임 교수는 “다른 지방 문화재의 경우 전수관을 크게 만들어 연습 공간으로 활용하기도 하는데, 평양검무는 그런 게 부족해 공연 때마다 연습실을 빌리느라 고생이 많다”며 “그런 부분이 굉장히 안타깝고 힘들다”고 말했다.

 

경제적 한계

 

그러면서도 “최근 남북관계에 훈풍이 불고 있지 않나. 만약 통일이 된다면 북한서 평양검무와 관련한 자료들이 많이 발견될 것이다. 평양검무는 정말 문화적으로 대단한 가치가 있는 춤”이라고 자부심을 드러냈다.

 

임 교수는 “많은 사람들이 전통을 터부시하고 멀리 한다. 하지만 뿌리 없는 나무가 어디에 있겠나. 전통예술은 그 나라의 역사기 때문에 굉장히 소중하다”며 “평양검무는 궁중행사 때 반드시 ‘처음과 끝’에 배치할 만큼 중요하게 여겨졌다. 그만큼 귀중한 춤이다. 평양검무 공연 소식을 접하면 꼭 한 번 봐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출처 : 일요시사(http://www.ilyosisa.co.kr)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