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극화’ 연예인들 출연료 보니… 월 100만원도 못 버는데...

한국뉴스


 

‘양극화’ 연예인들 출연료 보니… 월 100만원도 못 버는데...

시사뉴스 0 1267 0 0

99%는 상위 1%가 되기 위해 피나는 노력을 한다. 하지만 이렇게 노력하는 과정에도 필요한 최소한의 수입이 있다. 최근 연기자들의 실태조사를 통해 평균 출연료가 공개되면서 이들의 열악한 처우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276d82e20cfb96441a1af44e50b544a3_1609761849_338217.jpg
▲ ⓒpixabay 


슈퍼스타급 배우들은 한 회차당 억대 출연료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다수의 연기자들이 이들처럼 되기 위해 꿈을 꾸고 노력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드라마 회당 제작비는 통상 5억∼7억원. 16부작 기준으로 100억원 정도가 든다. 이 중 주연 배우의 출연료는 어느 정도일까?

제작비 10%

한 드라마 남자 주인공의 회당 개런티에 1억5000만원, 여자 주인공의 개런티는 7000만원가량인 것으로 알려졌다. 두 배우의 출연료로만 회당 2억원 이상이 지급됐다. 제작비를 평균 수준인 7억원으로 잡아도 전체 제작비의 무려 31%가 주연 배우의 개런티로 쓰인 것.

현재 톱 A급 남자 배우들의 회당 출연료는 1억5000만∼2억원 수준이다. 

배우 이병헌도 tvN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에 출연하면서 회당 1억5000만원, 24부작 기준 총 36억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드라마 전체 제작비가 약 400억원이라고 알려지면서 제작비의 약 10%를 배우 한 사람의 출연료로 지급했다는 점이 밝혀졌다.

하지만 일반 방송 연기자들의 80%가 연 1000만원 미만의 출연료를 받는 것으로 집계됐다. 또 응답자의 절반만이 정식 서면계약서를 작성하는 등 촬영 현장에서 불공정한 대우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와 한국방송연기자노동조합이 방송 연기자들의 출연 계약 및 보수 지급 거래 관행 등을 파악하기 위해 지난해 10∼11월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계약 및 거래 관행 등은 방송 연기자 560명(비노조원 포함)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로, 수입은 연기자 노조원 4968명을 대상으로 한 자료조사로 진행됐다.

노조 조합원 4968명의 수입을 분석해보니 평균 출연료는 2015년 2812만3000원이었지만 2019년 1988만2000원으로 824만1000원 감소했다.

지난해 연 소득 1000만원 미만이 79.4%였고 2000만원 미만 5.6%, 3000만원 미만 3.3%, 5000만원 미만 3.4%, 1억원 미만 3.4%, 1억원 초과 4.8%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소득 1억원 이상의 연기자가 전체 출연료 지급분의 70.1%를 차지했다.  

방송 연기자 56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도 응답자 529명의 연평균 출연료 수입은 1997만원이었다. 연기 일과 다른 일을 병행한다는 사람도 전체의 58.2%나 됐다. 병행 이유는 ‘생계비 보전’이 78.5%로 가장 많았고 ‘추가 수입(9.5%)’ ‘진로 변경(2.8%)’ 등이 뒤를 이었다.  

생계비 때문에 다른 일 병행
아동 출연자도 밤 10시 촬영


조사 대상 560명이 출연한 1030개(2019∼2020년·1인 최대 3개 답변) 프로그램에 대한 계약 관련 조사 결과 49.4%는 서면으로 계약서를 작성했다. 29%는 구두계약, 21.6%는 등급 확인서(방송사가 연기자 경력·등급 평가) 등 다른 문서로 갈음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 대중문화예술산업발전법은 서면계약을 의무화하고 위반 시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규정하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통하지 않았다.  

제작 현장에서 겪었던 부당한 대우가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일명 ‘쪽대본’으로 불리는 촬영 직전 대본을 받은 경험자는 33.4%로 집계됐다. 촬영 종료 후 야외수당, 식비, 가산료 등에 대한 ‘정확한 정산 내용을 받지 못했다’는 답변은 43.2%였다.
 

276d82e20cfb96441a1af44e50b544a3_1609761806_59566.jpg
▲ 드라마 <동의> ⓒMBC 


‘차기 출연을 빌미로 한 출연료 삭감(27.1%)’ ‘야외수당·식대 미지급(21.8%)’ ‘18시간 이상 연속 촬영(17.9%)’ ‘편집 등에 따른 출연료 삭감(12.5%)’ ‘계약조건과 다른 활동 강요(10.5%)’ 등 불공정 관행이 여전하다는 응답도 많았다.

심지어 아동·청소년 배우의 경우 서면계약서 작성률은 성인 연기자(50.9%)에 크게 미치지 않는 30.7% 수준에 불과했다.

응답자 중 66.7%가 밤 10시 이후 야간촬영을 한 경험이 있었지만 ‘촬영 전 대체로 동의를 구하고 있다’고 답변한 응답자는 43.3%, ‘동의를 구할 때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26.7%, ‘동의를 구한 적이 없다’는 30% 등이었다.

조사 대상 아동·청소년 배우 중 62.2%는 성인 연기자와 비교해 출연료 차별을 받았다고도 답했다. 하지만 계약 체결이나 제작 현장에서 부당한 대우나 차별, 인권침해 등을 당한 경우에도 ‘그냥 참고 넘어간다(60.5%)’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이어 ‘소속사와 상의해 대응한다(37.2%)’ ‘보호자와 상의해 대응한다(30.2%)’ 순으로 해결하고 있었다.

이번 설문조사에 응한 아동·청소년 배우 중 82.2%는 연기학원을 다니고 있었으며, 응답자 전원은 방송출연 시 보호자가 동행한다고 답했다. 하지만 아동·청소년 배우에 대한 학습권 등은 미흡해 지난해 촬영을 이유로 한 결석은 1인 평균 14.4일, 조퇴일은 4.7일이었다.

승자독식

연예인의 출연료에 대한 합리적인 기준 마련과 함께 스타들의 몸값 독식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연예인의 양극화는 개선될 수 없다는 게 방송연예계 인사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출처 : 일요시사 구동환 기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