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정부지’ 특A급 배우들의 몸값

한국뉴스


 

‘천정부지’ 특A급 배우들의 몸값

시사뉴스 0 1590 0 0

2011년 말 종합편성채널이 생겨나면서 배우들의 몸값이 오르는 것에 우려가 있었다. 단독 주연이라 해도 회당 5000만원 이하로 받던 배우들의 몸값이 갑작스레 1억원에 육박했다. 제작비가 늘어나는 것에 불만의 목소리가 컸다. 글로벌 OTT 시장이 우후죽순 생겨나는 요즘 콘텐츠의 가치가 월등히 높아지면서 10년 전과 비슷한 현상이 도래하고 있다.


a76666e2e96295a8f18996a078efbddf_1618212594_452675.jpg
▲ 사진 왼쪽부터 배우 김수현·송중기 ⓒ키이스트·CJENM 


“20대 젊은 배우가 어떤 작품에서는 회당 1000만원도 못 받았는데요. 1년도 안 돼서 회당 7500만원을 받았어요. 최소 7배 이상이 늘어난 거예요. 대중이 잘 아는 배우도 아니거든요. 그러면 조인성이나 송중기, 김수현과 같은 특A급 배우들은 얼마나 올라야 하나요. 감이 안 잡혀요.”

엄청난 제작비

한 제작사 관계자의 얘기다. 1년도 채 되지 않아 몸값이 7배 이상 오른 배우는 2019년에 데뷔한 남자 배우다. 그의 필모그래피에는 특별한 흥행작이 없다. 대중은커녕 업계 관계자들에게도 생소한 이름일 수 있다. 그럼에도 배우를 찾기 힘든 제작사는 그에게 높은 금액의 출연료를 줄 수밖에 없었다. 배우가 없어 제작 자체가 되지 않는 것보다는 낫기 때문이다.

배우가 제작 여부에 영향을 끼치는 사례도 나왔다. 최근 가파르게 인기를 얻은 한 남자 배우는 기존에 출연하기로 했던 드라마를 고사하고, 다른 작품에 출연하기로 했다. 그러자 편성까지 마무리됐던 기존 드라마는 다른 배우를 구하지 못하면서 편성에서 제외됐다.

업계 표현을 빌리면 “배우 때문에 작품이 빠그라진 것”이다.

배우들의 높아진 가치를 보여주는 사례가 속속 알려지는 가운데, 최근 드라마 <그날밤>에 캐스팅된 배우 김수현의 출연료가 회당 5억원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소속사나 제작사 모두 그의 출연료를 명확히 말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항간에서는 김수현의 출연료 5억원이 무리한 수치가 아니라는 반응이 나온다. 워낙 많은 OTT 플랫폼이 생겨나면서 콘텐츠의 가치가 높아졌고, 따라서 배우의 가치도 덩달아 치솟았다는 게 그 이유다.

한류스타들 출연료 보니 ‘헉’
콘텐츠 제작 경쟁이 낳은 수혜


특히 글로벌 플랫폼에 있어 김수현과 같이 국내뿐 아니라 아시아 전역에서 사랑을 받는 배우는 구미가 당길 수밖에 없는 카드다. 오리지널 콘텐츠를 만드는 데 혈안이 된 OTT에 있어 인기 배우의 캐스팅 여부는 엄청난 제작비를 투입하는 가장 큰 요소로 작용된다. 제작사 입장에서는 거액의 출연료를 주더라도 그 이상의 제작비를 투자받을 수 있다.

따라서 거물급 배우를 잡느냐 못 잡느냐의 싸움이 된다.

넷플릭스를 비롯해 왓챠, 웨이브, 카카오TV, 티빙을 비롯해 신생 플랫폼인 쿠팡 플레이도 오리지널 콘텐츠를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오리지널 콘텐츠가 대히트한 경우 플랫폼이 안정적으로 정착한 사례가 많았기 때문이다. 

1991년에 개국한 SBS가 안정적으로 정착하는 데 가장 크게 기여한 콘텐츠로 <모래시계>가 꼽히며, TV조선은 <미스트롯> 방영 이후 흑자 전환했다. 넷플릭스가 지금과 같은 명성을 얻을 수 있었던 배경으로 <하우스 오브 카드>의 히트가 거론된다. 넷플릭스의 한국 투자가 크게 늘은 것도 <킹덤> 시리즈의 성공 이후다.

이렇듯 킬링 콘텐츠의 가치는 플랫폼의 생명과도 연결된다. 드라마든 영화든 이야기 콘텐츠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게 배우인 만큼, 배우들의 가치가 높아지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a76666e2e96295a8f18996a078efbddf_1618212548_749211.jpg
▲ ⓒpixabay 


남자 배우들의 경우 중국이나 일본을 비롯해 아시아 전역에서 얼마나 많은 사랑을 받느냐가 몸값을 높이는 기준이 되며, 여자 배우들은 패션 트렌드를 주도하는 힘이 얼마나 있느냐가 ‘셀링 포인트’가 된다. 특히 전지현과 송혜교와 같이 의상이나 악세사리 판매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배우들의 몸값은 천정부지로 오른다.

한 드라마 관계자는 “20대 남자 배우 중 한류스타라 불리는 배우들은 부르는 게 값이다. 반대로 나이가 많은 배우들은 인상 폭이 좁다. 여배우의 경우 상업적으로 영향력이 큰 배우들은 몸값을 높이는데, 사실 그런 배우들이 많지 않다. 그래서 남자보다는 인상 폭이 작다고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주연의 가치? 1년에 7배↑
OTT 플랫폼이 생태계 교란


이렇듯 스타급 배우들의 몸값이 치솟는 것은 호랑이 등에 탄 것처럼 막을 수 없는 지경에 올라왔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한 작품만 잘 돼도 미래의 기틀을 닦는 제작사의 특성상 배우 모시기 과열 경쟁은 어쩔 수 없는 흐름이다. 

한 제작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 이름값이 있는 대다수 배우가 작품활동 중이다. 워낙 많은 드라마가 생겨나면서 주연급 배우의 스케줄이 거의 꽉 차 있다고 한다. 

한 제작사 관계자는 “배우 캐스팅이 정말 어려워진 시대다. 대부분 이름값이 있는 배우들은 다 촬영 중이더라. 배우 기근이라기보다는 배우 소진 상태라는 표현이 더 적합할 것 같다. 따라서 제작사 입장에서는 주연급 배우들에게 돈을 더 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같은 현상이 높아진 K-콘텐츠 위상의 한 단면이기도 하지만, 반대로 한국 이야기 시장의 생태계 교란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갑작스럽게 등장한 막대한 자본이 기존 한국 이야기 산업의 기틀에 혼란을 주고 있다는 주장이다.

일반적으로 방송사 드라마의 한 회 제작비는 6억~7억원 선이다. OTT 드라마의 경우 한 회 제작비가 15억원에서 많게는 30억원까지 투입된다. 매년 적자 폭이 커지고 있는 방송사가 OTT의 자본력을 따라가기란 불가능에 가깝다. 

과열 경쟁

배대식 드라마제작사협사 사무국장은 “배우들만 출연료가 오르는 게 아니라 작가나 감독급 스태프들의 몸값도 오른다. OTT 시장이 향후 10년간 꾸준히 자본을 투입하면 그 안에서 정리가 되겠지만, 만약 3~4년 이내에 한국을 떠나버린다면 한국 드라마 시장은 혼돈으로 접어들 것”이라며 “배우들이 몸값을 천정부지로 올리는 것은 어쩌면 운신의 폭을 스스로 좁히는 행위일 수 있다. 이 상황을 꼭 낙관적으로 보기만은 어렵다”고 말했다.

출처 : 일요시사 함상범 기자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