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둔형 외톨이’가 털어놓은 ‘나의 하루’

한국뉴스


 

‘은둔형 외톨이’가 털어놓은 ‘나의 하루’

일요시사 0 2172 0 0
언제부턴가 이른바 ‘은둔형 외톨이(히키코모리)’라는 말이 자주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수 년 동안 집밖으로 나오지 않고, 방에서만 생활하는 은둔형 외톨이. 그들은 집안에서도 가족과 식사를 함께 하지 않는다. 대화도 없다. 밀폐된 방안에서 오로지 혼자만의 생활을 즐긴다. 이런 은둔형 외톨이 수가 국내에서 큰 폭으로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정확한 규모와 실태는 파악되지 않고 있으며, 이들이 왜 은둔자가 됐는지에 대한 연구나 대안마련의 움직임은 찾아보기 어렵다. 마음에 병이 들어 자기만의 공간에 갇힌 은둔형 외톨이들. 우리 사회의 새로운 병리현상으로 제기되고 있는 은둔형 외톨이의 세계를 최은영(가명?27)씨의 삶을 통해 들여다본다.

어릴 때부터 조금씩 모아온 상처가, 어느 한 순간 터져…
하루하루 무의미한 삶 “벗어나고 싶다…하지만 안 된다”

올해 나이 스물일곱 살 최은영(가명)씨의 활동 공간은 28평 남짓한 아파트가 전부다. 그나마 대부분의 시간은 자신의 방에 틀어박혀 보낸다. 최씨는 “사는 이유가 뭔지, 돈도 사람도 다 필요 없다”고 말했다. 또래 친구들처럼 직장에 다니지도 않고, 딱히 만날 친구도 없다. 일 할 생각도, 미래에 대한 희망도 없다. 최씨의 이런 생활은 벌써 7년째다.

그는 왜 세상과 단절 한 채 자기만의 공간에 빠진 것일까. 어릴 때부터 쌓이기 시작한 상처들은 벽을 만들어 버렸고, 너무나 견고한 마음의 벽이 되었다. 이제는 아득하게 끝이 보이지 않는 벽. 그는 부모에게도 털어놓지 않았던 속마음을 쏟아낸 후 기자에게 자신의 생활을 공개했다.

스스로에 감금돼

최씨에겐 한 살 터울의 여동생이 있다. 어렸을 적부터 싹싹하고 활달해 어른들에게 귀여움을 독차지하며 자랐던 동생과 달리 최씨는 내성적인데다 외모컴플렉스까지 있어 소극적인 삶을 살아왔다.

학창시절에 공부는 곧잘 하는 편이었다. 사람을 사귀는 게 서툴렀지만 친구들이 몇몇 있기도 했고, 그들과 가끔 영화를 보거나 밥을 먹기도 했다.

그리고 2003년 말 최씨는 대입수학능력시험을 봤다. 대학에 간다는 부푼 꿈도 잠시, 수능점수가 형편없이 나와 원하던 대학에 갈 수 없었다. 공무원인 아버지는 “어떻게 공부를 했기에 이따위 점수를 받아 왔냐”며 “이 점수로 갈 수 있는 대학이라면 갈 필요도 없고, 주변사람들에게 꺼내기 창피하다”고 소리쳤다. 아버지는 ‘지방대라도 보내자’라는 어머니의 권유를 무시했고, 부부는 최씨의 대학문제로 다투는 일이 잦아졌다.

“한순간의 자괴감에 휩싸여 구제불능이라는 소리가 귓가에서 메아리쳤어요. 난 아무래도 세상을 살기에 적합하지 않은 사람인 듯 했고, 왜 어릴 적부터 그리도 공부를 강요받으며 살아왔는지…. 낙오자에겐 너무 가혹한 세상이 싫었어요. 그때부터 무엇을 시작하는 게 두렵고 무서웠어요. 또 나는 내 부모와 형제 그리고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만 끼치는 존재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재롱이라도 부려 기쁨을 주는 애완동물보다 못한 그저 밥만 축내는 짐승….”

그 시점부터 최씨는 외부와 단절해 나가기 시작했다. 2~3일에 한 번씩 나가던 외출은 일주일에 한 번 정도로 줄어들었고, 가끔 안부를 묻던 고등학교 친구들에게 이런 생활을 알리는 것이 싫어 핸드폰을 없앴다.

“사람들이 나에게 하는 아주 사소한 행동이나 자극도 엄청 증폭시켜 받아들이게 되고, 별다른 의미 없는 사소한 행동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고, 화가 나고, 결국은 피해버리게 되니까 또 다시 좁은 방에 갇혀 혼자가 됐어요”

최씨의 하루일과는 이렇다. 가족 모두가 출근한 아침, 잠에서 깨어나 밥을 차려먹고 집안청소를 시작한다. 처음엔 “할 줄 아는 것도 없는 내가 집에 있으면서 청소라도 해야지”라는 생각이었는데, 이젠 결벽증에 가까울 만큼 변해 가구며 안보이는 빈틈까지 닦고 또 닦고를 반복한다.

그렇게 집안청소가 끝나면 그때부터 방안생활이 시작된다. 화장실 갈 때나 배가 고플 때 빼고는 나오지 않는다. 먹고, 자고, 싸고의 반복이 최씨의 일상이 돼 버린지 오래. 방안에서는 주로 노트북을 하거나 작은 TV를 시청한다. 둘 다 지겨워질 때면 책을 읽기도 한다.  

“할일 없이 인터넷을 켜놓고 이 사이트 저 사이트를 기웃거려요. 특별히 온라인게임을 하는 것도 아니어서 봤던 기사들을 보고 또 보고, 봤던 영화도 보고 또 보고…. 그렇게 시간을 보내요. 무의미하다는 것을 알지만 TV나 인터넷을 끊지는 못하겠어요. 이 삶에서 벗어나고 싶기도 하고, 사실 내가 마음만 굳게 먹고 내 스스로 하려는 마음만 잡으면 모든 문제를 해결 할 수가 있을 것 같으면서도 생각이 쉽지 행동으로 옮기기는 너무 어려워요. 주위에서 이거 해봐라 저거 해봐라 해도 남이 강요해서 어쩔 수 없이 하는 행동들은 의미가 없을뿐더러 결국 얼마 안가서 다시 원상복귀 될 것을 잘 알기 때문에…. 그래도 가끔 누군가의 위로가 절실할 때가 있어요. 그런 우울한 마음이 솟구칠 땐 저 스스로에게 이렇게 말해요. 싫어 제발 그러지마. 누가 나를 살려줘. 다 내가 잘못했어. 제발 용서해줘. 한 번만 일어날 수 있도록 도와줘. 제발….”

최씨는 자신을 껍데기만 살아있는 ‘시체’라고 표현했다. 마음은 이미 죽은 지 오래라는 것이다. 또 언제 이 생활이 끝이 날지 모른다고 했다. 친구들은 어느새 안정된 직장을 얻고 결혼을 하는 동안, 최씨는 여전히 끝이 보이지 않는 어두운 터널을 홀로 터벅터벅 걸어가고 있었다.

경쟁시스템의 산물

최근 잘 드러나진 않지만 최씨와 같은 은둔형 외톨이들이 주변에 점차 늘어나기 시작하면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사회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은둔형 외톨이들은 외면하고 싶은 현실, 자신을 불쾌하게 만드는 사람들을 피하기 위해 스스로 자신을 사회와 격리시킨다.

전문가들은 이들이 장기간 방치되면 우울증이 심해지거나 사회에 대한 반감이 커져 자살이나 제2의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지난해 12월 서울 잠원동에서 미국 명문대를 중퇴한 뒤 집 안에서 게임에만 몰두하던 20대 은둔형 외톨이가 ‘묻지마 살인’을 저지르면서 ‘한국의 히키코모리’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기도 했다.

한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일본 자체적으로 조사한 바에 의하면 히키코모리는 자그마치 70만명이나 되고, 앞으로 히키코모리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인구도 155만명에 달한다”며 “무한경쟁에 내몰리면서 히키코모리 문제가 불거진 일본처럼 사회적으로 경쟁압박이 심한 한국도 안심할 수 없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이를 단순히 개인의 무능력 차원으로 몰아갈 것이 아니라 사회시스템의 문제라는 인식을 강화해 적극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