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소비자 '봉' 취급하는 외국계 명품업체 '기부' 실태

한국뉴스

한국 소비자 '봉' 취급하는 외국계 명품업체 '기부' 실태

일요시사 0 1063 0 0

명품사랑 한국인 '좋아요' 기부는 '싫어요' 순익은 '퍼가요'

[일요시사=김민석 기자] '구두쇠, 스크루지, 자린고비, 쥐꼬리, 짠돌이, 좀생이' 모두 외국계 명품업체들에게 어울리는 별명들이다. 루이비통, 구찌, 프라다 등 국내 매출 상위 10대 외국 명품업체들이 국내 시장에서 큰돈을 벌면서도 사회공헌은 '쥐꼬리' 수준인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해마다 수백억원씩 순익을 내면서 이들이 내는 기부금은 전체 순이익의 0.5%도 되지 않는다는 것. 그저 돈벌이에만 눈이 멀어버린 외국계 얌체기업들을 조명해봤다.

지난 2006년에서 2011년까지 6년간 국내에 진출한 해외 명품업체 자회사의 실적이 눈에 띄게 급증했다.

지난 16일 재계전문사이트인 '재벌닷컴'에 따르면 국내에서 잘 팔리는 10대 해외 명품브랜드(루이ㅂ통, 구찌, 프라다, 버버리, 스와치, 페라가모, 시슬리, 스와로브스키, 불가리, 한국로렉스)의 매출은 2006년 6489억원에서 지난해 1조8517억원으로 3배 가까이 증가했다.

같은 기간 당기 순익은 457억원에서 1870억원으로 310%가 증가하면서 4.1배 수준으로 늘어나 매출증가율을 크게 앞지르기도 했다.

매출 1위 루이비통
수익 절반 본국으로

해외 명품업체들은 이익보유금이 늘어나자 고액 배당을 통한 이익 챙기기에 본격적으로 나서는 모습이다. 실제 조사대상 10개 해외 명품업체의 배당금 총액은 지난 2006년 122억원에 불과하던 것이 지난해 말에는 607억원으로 무려 5배 수준으로 급증했다.

특히 해외 명품업체들은 2006년부터 작년 말까지 국내에서 올린 누적 순이익 6923억원 가운데 배당금으로 2688억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평균 38.8%의 높은 배당성향을 보였다. 이는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 국내 상장사 매출 상위 10대 기업이 2006년부터 작년 말까지 기록한 연평균 배당성향 13.7%와 비교하면 3배에 가까운 수준이다. 특히 시슬리는 지난 6년 동안 88.4%를 본국으로 가져가는 기염을 토했다. 루이비통도 절반이 넘는 51.7%를 본국으로 송금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루이비통은 같은 기간 매출이 1213억원에서 4974억원으로 4.1배 증가했다. 이어 순이익 1740억원의 51.7%인 900억원을 배당금으로 챙겨 눈총을 샀다. 게다가 같은 기간 동안 기부금 총액은 3억1000만원에 그쳐 순이익 대비 기부금 비율이 0.18%에 불과했다.

덧붙여 루이비통은 지난해 한 해에만 순이익 400억원을 달성했다. 그런데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는 프랑스 루이비통말레티에 본사에 순이익보다 많은 440억원을 배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시기 기부한 금액은 매출의 고작 0.01% 수준인 5855만원에 그쳤다. 지난해 국내에서 거둔 순이익보다 더 많은 자금을 본국으로 거둬간 것이다.

매년 돈방석 명품업체 기부는 '찔끔'
단물만 '쏙'…번대로 다 가져간다!

소비자들도 최근 루이비통을 한국소비자를 '봉'으로 여기는 기업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불과 얼마 전 한국·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이 체결돼 관세가 철폐될 때 에르메스, 구찌, 불가리 등 유럽 명품브랜드들이 제품가격을 다소 인하했지만 루이비통은 거꾸로 가격을 올리는 패기를 보여주기도 했다.

이를 두고 비난 여론이 일자 조현욱 루이비통코리아 회장은 "다른 명품브랜드에 비해 한국에서 판매가격을 유달리 높게 책정한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한국에서의 루이비통 판매가격은 프랑스 파리의 가격보다 30% 정도 높은 실정이다.

그럼에도 국내 어느 매장에서 조금만 싸게 판다는 소문이 나기라도 하면 매장은 꽉 차고 줄을 서 있는 모습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문제는 이처럼 비싸도 잘 팔린다는 것이다. 괜히 루이비통에게 있어 한국은 4번째로 큰 시장이 아님을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난해 기준 국내 판매실적 2위인 구찌도 이 기간 매출이 1402억원에서 2960억원으로 2.1배 올랐다. 하지만 매출의 0.01% 수준인 3729만원을 기부했다.

국내 판매실적 3위의 프라다는 매출이 271억원에서 2513억원으로 9.3배 폭증하고 당기 순이익은 4500만원에서 532억원으로 무려 1182배 수준으로 급증했다. 프라다는 이처럼 매출과 순익이 급증하자 2009년과 2010년 연속으로 150억원대의 고액배당으로 300억원대 배당금을 받았다. 그러나 기부금은 2006년에 이르러 고작 76만원을 낸 것이 전부인 것으로 나타났다.

루이비통 가방
유럽보다 훨씬 비싸

다른 업체들도 사정은 별반 다르지 않다. 버버리는 지난 2009년(2009년 4월~2010년 3월) 매출 1849억원에 순이익 252억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대부분을 영국 본사로 송금했고, 8312만원만 국내에 기부했다. 이는 매출의 0.05%에 해당한다. 페라가모 역시 지난해 매출의 0.03% 수준인 2747만원을 기부했다.

이처럼 국내에서 막대한 매출과 순익을 내고, 순익의 상당부분을 본국에 보내면서도 정작 한국을 위해 기부한 돈은 6년 동안 10개사를 모두 합쳐도 10억원이 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순이익 대비 기부금 비율은 0.14%에 불과한 것이다. 또 스와치그룹, 시슬리, 불가리는 지난 6년간 기부금을 단 한 푼도 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두고 업계 관계자는 "우리나라 부유층과 젊은 여성들이 워낙 명품을 좋아하다 보니 경기등락에 관계없이 매출이 꾸준히 늘고 있고 이들 해외명품 업체들이 딱히 국내에 재투자할 것도 없기 때문에 배당송금액이 많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사회공헌에 인색하다는 비난을 지속적으로 받으면서도 전혀 개선하지 않고 있는 건 비난여론이 커져도 장사가 잘 되기 때문일 것"이라고 말해 명품이면 물불가리지 않는 한국인의 소비성향을 지적했다.

스와치, 시슬리
"기부 그거 왜 해?"

외국계 은행들도 기부에 인색한 것으로 나타났다. 씨티 외환 SC은행 등 3개 외국계 은행의 지난 사회공헌 실적은 총 396억원으로 1조6000억원을 넘는 당기순이익의 2.4%에 불과했다. 가계부채 제한이나 중소기업 대출 확대 등 시장 안정을 위한 금융감독 당국 지침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오직 제 잇속 챙기는 데만 급급했다는 뜻이다.

반면 수입자동차 업계에서는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특히 메르세데스 벤츠는 지난해 기부금 규모를 대폭 늘리는 한편 배당성향은 크게 줄였다. 그간 벤츠코리아는 국산 중형차 한 대 값에도 미치지 못하는 소액의 기부금으로 덩치 값을 못한다는 비난을 받아왔다. 실제로 메르세데스 벤츠의 2010년 기부금은 3056만원으로 매출액 대비 0.0027% 수준이었고 2009년도 기부금은 3020만원에 불과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벤츠코리아는 지난해 4억5000만원을 기부해 전년 3000만원 대비 12배 정도 규모를 키웠다. 또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299억원으로 전년보다 21.5% 늘었으나 배당금은 90억원으로 2010년 212억원에 비해 58%로 크게 줄었다. 배당성향도 90.1%에서 30%로 급격히 낮아졌다.

업계 관계자는 "벤츠코리아가 작년 한국예술종합학교 신예 아티스트 후원에 나서는 등 사회 공헌활동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며 "올해는 내부에서도 내심 감사보고서가 빨리 공시되기를 기다리는 분위기가 감지됐을 정도"라고 말했다.

생색만 내거나 아예 안 하거나
7년 동안 딱 한 차례 76만원 기부

벤츠를 잡고 수입차 업계 1위를 달리는 BMW코리아도 최근 들어 '통큰' 기부를 이어오고 있다. 2001년까지 기부금이 없었지만 2002년부터 기부금을 내기 시작한 BMW는 2010년에는 8억8614만원, 지난해에는 공식 기부금 3억2190만원에 사회공헌 전문 BMW코리아미래재단을 설립해 사실상 33억원대의 기부금을 냈다. 하지만 이도 크게 늘어난 국내 매출액 1조4732억원에 비하면 많다고만 볼 수 없는 실정이다.

이를 두고 국내 대기업 관계자는 "장기적으로 보면 기부도 투자이다. 과거에는 단순히 비용 지출로만 여겼다면 이제는 기업 내에서 기부를 바라보는 시각도 달라지고 있다"며 "기부도 하나의 투자이자 마케팅이 되고 있다. 불편하지만 진실이다"라고 말했다.

조명현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장기적으로 이 나라에서 계속 발전할 수 있다거나 기부를 하는 것이 기업의 이익을 창출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할 때 기부를 포함한 사회 공헌 활동이 이루어진다"며 "외국계 기업도 한국에서 장기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한국에 투자도 하고 기부도 해서 국민으로부터 존중받는 기업이 되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조사결과를 발표한 정선섭 '재벌닷컴' 대표는 "외국 명품업체가 국내시장에서 엄청난 돈을 벌면서도 기부는 전혀 하지 않는 행태가 매년 되풀이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물론 기업에게 기부를 강요할 수는 없다. 기업의 일차적인 목적은 뭐니 뭐니 해도 이익 창출이기 때문이다.

"장기적으로
기부도 투자"

따라서 기부가 이루어지더라도 선의라기보다는 기업의 이미지를 개선하고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인식을 줘 결과적으로 더 큰 이익을 얻기 위한 목적이라고 봐야 한다.

해외브랜드 업체들이 이미지 재고를 하지 않아도, 비싼 가격에 팔아도 단지 명품이라는 이유로 잘 팔린다면 굳이 기부를 할 필요성을 못 느끼게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