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점투성이 '알뜰폰' X파일

한국뉴스

허점투성이 '알뜰폰' X파일

일요시사 0 779 0 0

싸면 뭐하나…기계가 없는데

[일요시사=사회팀] 이동통신 시장의 경쟁을 활성화 시키고 소비자의 선택권을 보장한다는 명분으로 등장한 알뜰폰이 출시 된 지 1년여 만에 가입자 100만 명을 넘어섰다. 그렇다 해도 전체 가입자의 2%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또 알뜰폰 사업자들은 LTE 서비스를 앞두고 속내가 복잡하다고 한다. 알뜰폰 앞길을 막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들여다봤다.

 지난해 방송통신위원회가 이동통신 1위 사업자인 SK텔레콤에 도매가격으로 원하는 업체에 통신망을 빌려주는 이동통신 재판매(MVNO: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서비스를 의무화하면서 알뜰폰이 등장했다.

지난해 11월 한국케이블텔레콤(KCT)이 처음으로 알뜰폰 사업을 시작했고 KT와 LG유플러스도 SK텔레콤과 비슷한 값으로 통신망을 빌려주기 시작하면서 CJ헬로비전 등 대기업 계열사가 알뜰폰 시장에 뛰어들었다. 이마트, 홈플러스 등 대형 유통업체도 알뜰폰 시장 진출 계획을 밝힌 상태인 만큼 시장이 커질 전망이다.

대형유통사도 진출

알뜰폰은 기존 이통3사로부터 망을 임차하여 소비자에게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요금이 저렴하다. 망 투자비용이 없는 만큼 낮은 단가에 통신 상품을 판매할 수 있었던 것. 그래서 이름도 '알뜰폰'이다.

실제로 알뜰폰 요금제는 이통3사의 평균 요금제보다 20% 가량 싸다. 기본료만 보면 5500원으로 이통3사보다 50% 이상 저렴하다. 그리고 통신3사와 동일한 주파수, 중계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통화 품질도 이통3사에 비해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는 평이 많다.

이에 힘입어 지난달 16일을 기준으로 KT 제휴사 51만5000여 명, SK텔레콤 제휴사 28만4000여 명, LG유플러스 제휴사 21만3000여 명 등 총 101만2000여 명으로 집계되며 알뜰폰 가입자가 100만명을 넘어섰다.

그동안 알뜰폰은 홍보부족으로 말미암은 낮은 인지도 때문에 신규가입자 확보에 어려움을 겪어 왔지만 저렴한 요금을 앞세워 조금씩 시장을 키워 온 것이다. 물론 5300만에 육박하는 전체 이동통신 시장과 비교하면 알뜰폰의 가입자 점유율은 2%에도 채 못 미치는 실정이다.

알뜰폰 사업자들은 이마저도 방통위가 이통사 보조금 규제에 나서면서 가능했다고 보고 있다. 지난달엔 이통3사들이 비정상적인 수준의 보조금을 뿌려대는 통에 알뜰폰 업체들은 직격탄을 맞았기 때문이다.

지난달 이통3사를 통해 갤럭시S3를 17만원에 구입할 수 있을 때 알뜰폰 업체를 통한 동일 단말기의 가격은 할부원금 기준 80만원에 달했다. 연간 8조원 수준에 이르는 기존 통신사들의 보조금 규모를 작은 알뜰폰 업체들이 따라잡기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보조금 문제는 단말기 수급의 어려움으로 이어졌다. 휴대폰 제조사들이 보조금 지급을 통해 판매량을 늘려주는 기존 이통3사에만 초점을 맞춰왔기 때문이다. 또한 대안으로 떠올랐던 단말기 자급제용 단말기도 현재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내놓은 단 2종에 불과했다.

'요금 저렴' 출시 1년 만에 가입자 100만 명
보조금 차별에 단말기 모자라…최신형 없어

알뜰폰 사업자들은 살아남기 위해 요금을 더욱 낮추는 방식으로 대응해 왔다. 그래서인지 매출 부진에서 좀처럼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 방통위에 따르면 알뜰폰 업체 24개사의 올해 7월까지 매출총액은 1135억원에 그쳤다. 특히 스페이스네트의 경우 가장 많은 18만3000여 명의 가입자를 확보했지만 7개월 동안 매출이 75억원에 불과했다.

알뜰폰이 활성화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은 롱텀에볼루션(LTE) 서비스다. 이통3사에서 LTE 네트워크를 구축한 지 얼마 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LTE 통신망에는 의무적인 도매가격이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LTE 서비스는 알뜰폰 사업자와 기존 통신3사의 요금제가 거의 동일한 수준이다. 현재 이통사들은 3G망은 알뜰폰 사업자에게 도매대가로 제공하고 있지만 LTE 망은 양보할 수 없다며 버티고 있다.

또 알뜰폰 사업자들이 LTE 서비스가 가능한 최신 단말기를 수급하지 못하고 있는 점도 거론되고 있다. 현재 알뜰폰 사업자 중 스마트폰을 확보해 판매하는 곳은 'CJ헬로모바일'이 유일하다. CJ헬로모바일 역시 LTE 지원이나 단말기 구매 여력의 문제가 맞물려 '갤럭시S3' '옵티머스 LTE2' 등 인기 스마트폰 확보는 엄두도 내지 못하는 상황이다. 설사 최신 단말기를 확보한다고 해도 워낙 고가라 가입자 유치에 어려움이 있다. 이통3사에선 약정 보조금을 통해 큰 폭의 할인을 제공해왔지만 알뜰폰은 보조금을 지급할 여건이 안 되기 때문이다.

단말기 자급제 스마트폰인 '갤럭시M스타일'이 40만원 대에 출시됐고 LG전자의 보급형 스마트폰도 단말기 자급제용으로 출시될 예정이지만 최신 스마트폰보다 사양이 떨어지기 때문에 소비자의 외면을 받을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 입장에선 아무리 알뜰폰의 통신 요금이 저렴하다고 해도 보조금 할인을 받으며 자신이 원하는 스마트폰을 구입하는 것이 훨씬 이득인 셈이다.

덧붙여 알뜰폰 업체들은 무선데이터 요금제 면에서도 취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알뜰폰 업체가 제공하는 무선 데이터는 월100MB~1GB 정도가 한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 이상의 데이터를 쓰고자 하는 소비자라면 기존 이통사들을 이용하는 것이 낫다.

업계 관계자는 "보조금과 단말기 수급 문제 때문에 알뜰폰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며 "방통위가 활성화 대책을 내놓고 있긴 하지만 행정 편의주의에 자꾸 미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오프라인 유통망을 가진 대형마트의 알뜰폰 출시로 인지도가 확산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XML:NAMESPACE PREFIX = O />

무선데이터 한계

방통위 관계자는 "보조금 규제에 나서고 있는 만큼 단말기 수급까지 제도적으로 개입할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며 "이통사에서 단말기를 살 때 알뜰폰 업체도 동시에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김민석 기자<ideaed@ilyosisa.co.kr>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