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워즈' 삼성 vs LG '40년 전쟁' 히스토리

한국뉴스

'스타워즈' 삼성 vs LG '40년 전쟁' 히스토리

일요시사 0 768 0 0

큰물서 노는 두 공룡…안방선 아옹다옹

[일요시사=경제1팀] 싸웠고, 싸우고 있고, 싸울 것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벌이는 '별들의 전쟁'이 끝날 줄을 모른다. 두 업체는 서로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면서 각 분야에서 치열한 선두 경쟁을 벌이고 있다. 아이러니한 것은 두 회사의 창업주가 '죽마고우'라고 불렸을 정도로 한 때는 막역한 사이로 지냈다는 사실이다. 도대체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 했기에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두 기업이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넜을까.


"(1968년 봄 안양 골프장) 야외 테이블에서 아버지(이병철 회장)와 구(인회) 회장님, 내가 앉아서 커피를 마시며 담소를 나누다가 아버지가 전자 산업에 대해서 이야기를 꺼냈다. '구 사장, 우리도 앞으로 전자 산업을 하려고 하네.' (중략) 구 회장이 벌컥 화를 내면서 '남으니까 하려고 하지'라고 느닷없이 쏘아붙였다. 즉, 이익이 보이니까 사돈이 하는 사업에 끼어들려고 하지 않느냐는 뜻이었다. (중략) 아버지는 구 회장이 화를 내자 아무런 말도 못하고 그저 민망해하더니 자리에서 일어났다. 그 일로 두 분 사이는 아주 멀어졌다."

삼성 전자산업 진출
멀어진 사돈 지간

이병철 전 삼성그룹 창업주의 장남 이맹희 전 제일비료 회장의 회고록 중 일부다. 이병철 창업주와 구인회 LG그룹 창업주는 경남 진주의 지수초등학교에서 책상을 맞대고 공부하던 죽마고우였다. 또 동양방송(현 KBS2TV)도 공동으로 설립했고 이 창업주의 차녀 숙희씨와 구 창업주의 삼남 자학씨가 결혼해 사돈을 맺기도 했다.

하지만 1968년 삼성이 일본 산요와의 합작을 통해 삼성전자 설립을 준비하면서 양측은 급격히 틀어지게 됐다.

당시 국내 전자산업은 금성사(현 LG전자)가 장악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1958년 금성사를 세우고 창립 1년 만에 첫 국산 라디오 'A-501'을 만들어 박정희 정부의 도움(농촌 라디오 보내기 운동)을 통해 국내 가전시장을 독점하고 있던 LG로서는 삼성의 도전이 거슬릴 수밖에 없었다.

1969년 삼성이 일본 산요와 합작투자 계약을 맺고 전자사업 인가 신청을 내자 LG전자는 이를 결사적으로 반대했다. 과당경쟁이 격화될 것이라는 게 이유였다. 하지만 정부는 "생산물량 전부를 해외에 수출한다"는 조건으로 삼성의 전자산업 진출을 허가했다. '40년 전쟁'의 서막이 오른 것이다.

전쟁 초기 이 둘이 처음 맞붙었던 품목은 TV였다. 1963년 LG전자는 TV 생산계획을 추진, 일본 히타치제작소에 기술연수팀을 파견했다. 3년 만에 최초 국산 TV인 진공관식 19인치 'VD-191'을 선보였다. 국내 소비자들의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가격이 쌀 27가마에 해당할 정도로 사치품이었지만 공개추첨으로 물량을 배정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이보다 7년 늦은 1973년 삼성전자는 독자적으로 진공관식 흑백 TV를 개발한 데 이어 1974년에는 트랜지스터식 흑백 TV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1975년 8월에는 '이코노TV'를 선보였다. 당시 TV는 전원을 킨 뒤 브라운관 예열 과정을 거쳐야 해 화면이 나오는데 20초 이상이 걸렸다. 그런데 이코노TV는 이를 5초 내로 단축했다. 전력 소비량을 획기적으로 낮췄고 삼성전자는 이를 통해 선발업체들을 제치고 국내 TV시장 1위로 올라섰다.

1980년 8월 컬러 TV 판매가 시작되면서 신규시장을 둘러싸고 혈전이 펼쳐졌다. 1974년부터 컬러 TV 개발에 나선 LG전자는 1977년 8월 19인치 컬러 TV를 생산하고 1979년 경북 구미에 컬러 브라운관 공장을 건설했다.

'누구 냉장고가 더 클까?' 초딩도 안하는 싸움
단순 비교광고 100억대 법정 소송으로 확대

삼성전자는 1981년 절전형 프리볼트 TV인 '이코노빅'을 내놓으면서 맞불 작전을 펼쳤다. 삼성전자의 절전형 TV는 당시 전력난에 시달리던 상황에 잘 맞아떨어지며 삼성전자는 국내 컬러 TV시장 1위에 오르게 된다.

TV 뿐만이 아니라 대부분의 분야에서 삼성전자가 LG전자를 앞지르고 글로벌 기업으로 거듭난 것은 반도체에 승부를 걸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LG전자는 반도체에 쓰라린 기억을 안고 있다.

1983년 삼성전자는 당시 미국과 일본만 보유하고 있던 64KD램 개발에 성공, 1984년 256KD램을 개발해 반도체를 수출하기에 이르렀다. 이를 토대로 1992년에는 D램 반도체 세계점유율 1위에 등극했다.

LG전자도 1979년 대한전선의 대한반도체를 사들여 금성반도체를 출범, 금성일렉트론으로 이름을 바꾼 뒤 1990년 1메가D램, 1991년 4메가D램을 잇따라 내놓으며 삼성전자와 비등한 경쟁을 벌였다.

하지만 1997년 말 IMF 당시 국내 재계에서는 김대중 정부의 빅딜정책으로 LG전자는 반도체 사업을 뺏기게 된다. 당시 구 회장은 금성일렉트론의 빅딜 대상 선정을 막기 위해 청와대에 LG전자의 반도체사업이 얼마나 중요한지 역설했지만 결국 반도체를 하지 못하자 "모든 것을 다 버렸다"며 통한의 눈물을 흘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가장 치열한 대립각을 세운 부분은 바로 휴대폰 단말 사업이다. 1990년대 초반까지 모토로라가 장악했던 국내 휴대폰 시장에 첫 도전장을 낸 건을 삼성전자였다. 1994년 "산악이 많은 국내지형에 맞는 휴대폰을 내놓겠다"며 '애니콜'이라는 새로운 브랜드를 선보인 것. 이에 질세라 LG전자 역시 "고층빌딩이 많은 도시지형에 맞는 휴대폰을 내 놓겠다"며 '화통'이라는 브랜드를 출시했다.

하지만 '화통'은 별다른 재미를 보지 못했다. 1997년 LG전자는 '귀족의 자손'이라는 의미의 '싸이언'을 브랜드로 내놓았고 애니콜과 양대산맥을 이뤘다. 당시 휴대폰 전쟁은 확실한 승자가 나오지는 않았다. 삼성전자는 세계적으로 1000만대 이상 팔린 ‘텐밀리언 셀러폰’을 3개(이건희폰, 벤츠폰, 블루블랙폰)를 보유하고 있고 LG전자는 초콜릿폰이 텐밀리언 셀러폰이다.


반도체로 삼성 웃고
반도체로 LG 울고

2000년대 들어서부터는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새로운 라이벌전이 시작됐다.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모두 글로벌 1위를 놓고 엎치락뒤치락하고 있고 차세대 디스플레이인 올레드(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분야도 두 업체가 전 세계 1·2위를 다투고 있다.

LG전자는 2001년 가장 얇은 7.8cm 40인치 PDP를, 2003년 11월에는 76인치 PDP 개발에 성공했다.

삼성전자는 2001년 8월 40인치, 2002년 10월 46인치, 12월 54인치를 개발했고 2003년 11월 57인치 TV용 HD급 TFT-LCD 개발에 성공했다.

양사의 슬림 경쟁은 발광다이오드(LED) TV가 출시되면서 더욱 치열해졌다. 삼성전자는 2009년 3월 LED TV 40·46·55인치 시리즈를 전 세계 동시 출시했다. 당시 삼성 LED TV 시장 점유율은 80%를 상회했다. LG전자는 자체 개발한 '컬러 디캔딩' 기술을 적용, 화질을 강조한 42·47·55인치 제품을 선보였다.

소송·맞소송·특허전
법정 대전 개막

지난 2011년에는 3D TV 기술을 둘러싸고 자사의 방식이 더 우수하다고 주장하면서 비방 광고에 이어 원색적인 욕설까지 오가는 '진흙탕 싸움'을 벌였다.

하지만 이때까지만 해도 양사의 싸움은 단순 라이벌 전에 불과했다. 하지만 작년부터 양사의 싸움은 점점 격렬해져 이젠 법정 대결로까지 비화되고 있다.

발단은 지난해 4월 삼성디스플레이가 OLED TV 관련 핵심기술을 빼돌린 혐의로 LG디스플레이를 경찰에 고발하면서다. 이후 두 회사는 치열한 진실공방을 벌이다 결국 법정으로 갔고 작년 9월 삼성디스플레이가 서울중앙지방법원에 OLED 기술유출 관련 기록 21종과 세부 기술 18종 사용금지 가처분 신청을 제출한 것을 시작으로 총 5번의 소송을 주고 받았다.

이후 소송대상은 LCD기술로 확대됐고 지난해 말 LG디스플레이는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10.1' 판매금지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다. 완제품에 대한 판매금지신청은 특허공방 중에서도 가장 강력한 대응으로 꼽힌다.

LG디스플레이는 소장에서 "삼성이 갤럭시노트10.1에 채택한 PLS(Plane to Line Switching) LCD 기술은 IPS 기술의 아류에 불과하다"며 "특허침해에 대한 악의성과 침해 규모, 정도 등에 비춰 생산을 중단하지 않을 시 1일에 최소 10억원의 이행강제금을 지급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삼성 치고 나가면 LG 바로 따라 붙어
TV·냉장고·휴대폰 "한치 양보 없다"

이에 삼성전자 측은 "삼성이 보유한 PLS라는 고유의 기술을 LG디스플레이가 'AH-IPS'라는 이름으로 LG 중소형 LCD 패널에 임의적으로 적용했다"고 맞서고 있다.

새해 벽두부터는 '누구 집 냉장고가 더 큰가'로 '초딩싸움'을 연상시키는 유치찬란한 촌극이 펼쳐지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8월22일 '냉장고 용량의 불편한 진실'이라는 제목의 광고를 삼성전자 공식 블로그와 동영상 사이트 유튜브에 올렸다. 삼성전자의 지펠 857리터 냉장고와 LG전자의 디오스 870리터 냉장고의 실제 용량을 직접 비교하는 내용이었다. 냉장고를 눕힌 후 서랍 및 격벽을 제거하고 물을 부었더니 13리터 더 작은 삼성전자의 냉장고에 오히려 더 많은 물을 넣을 수 있었다는 것.

LG전자는 삼성전자에 '해당광고 즉각 중지, 사과 의사 표시 및 관련 책임자 문책'을 요구하는 공문을 내용증명으로 발송하면서 강하게 반발했다.

삼성전자는 이에 굴하지 않고 '냉장고 용량의 불편한 진실2'라는 광고를 추가 제시했다. 이번엔 900리터 냉장고 지펠 T9000과 910리터 냉장고 디오스 V9100이 타깃이었다. 물, 캔커피, 참치캔으로 용량을 측정했더니 삼성전자 냉장고에 물 8.3리터, 캔커피 68개, 참치캔 90개를 더 넣을 수 있었다는 내용이었다.

LG전자는 서울중앙지방법원에 광고금지 가처분 소송을 제기했다. 지난해 10월 법원은 LG전자의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여 삼성전자에게 해당 동영상 게재를 중단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법원은 LG전자의 손을 들어줬지만 LG전자의 삼성전자에 대한 대응은 이어졌다. 지난 14일 100억원대의 손해를 배상하라는 내용의 소송을 제기한 것.

냉장고 용량은 늘리고
경쟁사 이미지는 깎고

LG전자는 소장에서 "삼성전자의 유튜브 광고로 기업 브랜드 가치가 최소 1% 이상 훼손됐고 허위광고에 대한 반박광고비로 5억1000만원이 드는 등 손해를 입었다"며 "이에 대한 위자료 100억원을 지급해 달라"고 요구했다.

그간 대응을 자제하던 삼성도 이날 소송을 계기로 "LG전자가 소송 제기를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해 당사의 기업이미지를 심각히 훼손하고 있다"며 "시시비비를 명확히 가리기 위해 가처분 결정 불복 절차를 진행하고, 모든 법적 수단을 동원해 적극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종해 기자<han1028@ilyosisa.co.kr>

 

<삼성-LG CES대전>

"2015년 내가 1등"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자존심 싸움은 윤부근 삼성전자 소비자가전(CE)부문 사장과 조성진 LG전자 생활가전(HA)사업본부 사장의 전쟁으로 이어졌다.

윤 사장과 조 사장은 세계 최대 가전쇼인 'CES 2013'이 열리고 있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나란히 간담회를 갖고 올해의 시장 동향과 전략을 밝혔다.

조 사장은 "세탁기 1등 경험을 바탕으로 스마트 기술을 전면 확대해 2015년 생활가전 1위에 오르겠다" 밝혔다.

지난해 말 LG그룹 첫 고졸 출신 사장으로 승진한 조 사장은 35년간 세탁기 개발에 매진해 온 전문가다. 조 사장은 "고객의 요구를 끊임 없이 반영해 세계 1위에 올려놓은 세탁기 사업을 통해 1등 DNA를 새겼다"며 "이 과정에서의 경험을 냉장고, 오븐, 청소기 등으로 전파해 세계 1위 목표를 실현해 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 사장은 "마켓 크리에이터로서 앞으로도 한계를 뛰어넘는 제품과 서비스로 창조적 혁신을 주도해 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해 냉장고 세계 1등 목표도 무난하게 달성했다"며 "작년 말 홈데포와 제휴하면서 미국 4대 가전 유통업체 무대에 제품을 공급하는 등 프리미엄 가전의 시장지배력이 강화됐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가전 사업은 선진시장에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겠지만 신흥시장에서 성장해 전체 2% 내외로 성장할 것"이라며 "소비자 중심에서 혁신과 성능으로 편리성을 높인 놀랄 만한 제품을 계속 선보일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