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어발 경영' KT ‘뜬금 사업’ 실태

한국뉴스

'문어발 경영' KT ‘뜬금 사업’ 실태

일요시사 0 710 0 0

물 흐리는 통신공룡 “박근혜 메시지 씹었다”

[일요시사=경제1팀] ‘돈되면 뭐든 한다.’ 통신공룡 기업 KT가 무리한 사업영업 확대로 빈축을 사고 있다. 자기업종과 무관한 건설, 커피 유통, 지하철 광고에 이어 카지노 사업에 까지 손을 대면서 재벌 흉내를 내고 있는 것이다. 문어발식 확장으로 준 공기업의 공공성은 점차 잃어가고 있다. 더불어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이석채 회장의 입지 또한 흔들거리고 있다. 

KT그룹이 비통신 사업부문의 확대를 위해 카지노 슬롯머신 매물을 훑어보기 시작했다. 최근 업계에 따르면 KT는 지난 13일 오후 마감한 강원랜드 ‘신규 머신기기 구매’ 사업에 제안서를 제출하고 입찰참가신청에 등록했다.

이 사업은 강원랜드가 지난해 증축한 신규 객장에서 사용할 머신 및 잭팟 시스템 400대(릴머신 55대, 비디오머신 345대)에 대한 구매 건으로, 강원랜드가 책정한 비용은 188억 2534만 5000원(부가세 포함)이다. KT는 낙찰과 동시에 소형도매업체들과 함께 공동수급체를 구성하면서 자금줄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돈 되면 뭐든지
줄줄이 ‘접수’

KT의 비통신사업 다각화 노력은 이석채 회장 취임 후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KT의 사업구조는 이동통신·유선통신, 그리고 인터넷망 구축과 서비스 등 통신과 IT 산업에 집중돼 있었다.

이 회장은 2009년 취임직후 왕성한 식욕을 과시하며 비통신 분야로 눈을 돌려 체질 변화에 나섰다. 2010년 11개 계열사를 신규 편입하고 4개사를 통합 또는 매각해 계열사를 23개사에서 30개사로 늘렸다.

국내 최대 렌터카 업체인 금호렌터카를 사들이고, 스카이라이프를 인수한 것이 대표적이다. KT는 금호렌터카를 인수하면서 사실상의 금융업에 발을 들여놓았고, 이후 관련 사업을 비약적으로 키웠다.

스카이라이프 인수 이후에는 IPTV 시장에서 절대 강자의 위상을 확보했다. 스카이라이프와 손잡고 출시한 통신·방송 결합상품인 올레TV스카이라이프(OTS)의 역할이 컸다.

KT는 또 부동산 개발·컨설팅법인 자회사 KT에스테이트를 설립해 부동산개발과 정보통신기술이 결합된 U-City사업에도 발을 디뎠다. KT 에스테이트는 KT의 막대한 부동산 자산을 기초로 한 부동산 개발 및 임대 사업을 주로 맡고 있다.

주인 없는 회사…재벌그룹 계열사 증가율 3배
경호·커피유통·지하철광고에 카지노사업까지

이듬해에는 보폭을 넓혀 16개사를 새로 편입하고 정보기기 임대사업을 하는 케이티알을 KT렌탈에 합병시키면서 전체 계열사를 45개로 늘렸다. BC카드를 필두로 클라우드 컴퓨팅 전문기업인 넥스알과 동영상 검색 플랫폼 기업인 엔써즈, NHN와 합작해 설립한 광고회사인 칸커뮤니케이션즈 등이 대표적이다.

지난해에는 교육 자회사인 KT에듀아이를 헐값에 매각하고 ㈜OIC를 계열사로 편입시키면서 학원업에 진출하는 등 10개의 계열사가 증가했다.

㈜OIC는 유치원 및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러닝 기반의 영어 학습 콘텐츠 개발 전문 기업으로, 이 회장의 인척관계인 유종하 전 외무부장관이 설립한 곳이다. 최근에는 10구단의 주인이 되면서 야구단 사업에도 진출했다.

몸집 불렸는데
내실은 ‘비실비실’

그 결과 이 회장 취임당시 23개이던 KT 계열사는 지난해 56개로 급증했다. 이 증가율은 오너가 있는 10대 그룹 평균(49.9%) 대비 3배에 이르는 수치다. 합작사 설립과 소규모 M&A까지 합치면 숫자는 더 늘어난다.

그러나 사실상 통신공기업의 사업 외도를 두고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본업인 정보통신과 시너지 효과나 경영효율화가 있을지 의심되는 부문에까지 초점을 잃고 방만하게 진출하고 있어서다.

업계 관계자는 “이석채 회장 취임기간 동안 통신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무차별 사업 확장을 벌여 현재 주력 사업이 무엇인지 헷갈릴 정도”라며 “국가 기간 통신망을 운영하며 공공성을 강하게 띄어온 기업 이미지를 무색케 할 뿐 아니라, 재벌의 문어발식 사업 확장을 연상시켜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실제 KT에 새로 편입된 계열사들의 경영성적은 크게 부진했다. 지난해 기업 성과 경영 평가 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2009년 1월부터 2011년 말까지 3년간의 경영 성과를 분석한 결과 계열사를 2배 이상 늘리는 등 외형을 급속도로 불렸으나 추가한 계열사의 절반정도가 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등 경영성과는 좋지 못했다.

새로 편입된 21개 계열사중 15개가 당기순이익 적자를 기록했다. 21개 계열사의 총 당기 순이익 규모도 KT그룹 총이익의 10.6%수준이었다.

나머지 회사도 BC카드와 KT스카이라이프 등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성장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 소규모 흑자가 대부분인데다 이중에도 자본잠식상태에 있는 기업이 스마트채널 외 3개사, 부채비율 1000%가 넘는 기업도 2개사인 것으로 조사됐다.

부실 계열사 처분
‘문어발 경영’ 뒤탈?

경쟁적으로 사업영역을 넓히면서 부작용도 속출했다. 지난 2004년 포털업계에 ‘파란’을 일으키겠다며 야심차게 인터넷 사업에 진출한 포털 ‘파란닷컴’은 지난해 7월 부로 폐쇄됐고, 2006년 IPTV 사업진출을 앞두고 콘텐츠 확보를 위해 인수한 올리브나인 드라마 제작 사업에서도 큰 재미를 보지 못하고 2009년 철수했다.

2010년 이후 뮤직시티미디어, 도레미 미디어, 파란고양이, 디앤지스타 등 지난 3년간 약 14개의 계열사를 제외하는 시행착오를 겪기도 했다.

또한 2008년 4월 교육 사업 진출을 위해 60억원을 투자해 설립한 KT에듀아이는, 두 차례 걸쳐 15억원이 넘는 유상증자 실시에도 누적 결손을 벗어나지 못하고 4년만인 지난해 3월 철수했다. 60억원 이상을 투자한 회사에서 건진 원금은 겨우 7000만원이었다.

거꾸로 가는 ‘혁신 KT’…밥줄 끊길까 ‘전전긍긍’

한 업계 관계자는 “KT가 지분투자와 M&A를 통해 덩치 키우기에만 골몰하고 있다 보니 그로인한 경제적 부작용을 겪는 것”이라며 “이 회장은 문어발 사업 확장을 두고 비약적인 성공을 일궈냈다고 자랑하고 있지만 부실 역시 쌓아가고 있었다는 것을 증명하는 꼴”이라고 비판했다.

1년짜리 연임?
흔들리는 이석채

상황이 이렇자 이 회장은 내부 안팎으로 거센 공격을 받고 있다. ‘혁신 전도사’라는 타이틀 또한 흔들거리면서 정권이 바뀌면 외풍에 휘둘릴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지난해 연임에 성공하며 자신의 입지를 굳혔지만 새 정부가 들어서면 공기업, 준정부기관 등의 장들이 물갈이 되는 것이 관례인 점을 미루어 볼 때 1년짜리 회장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임자인 남중수 전 사장도 이명박 정권 출범 이전 연임 작업을 완료 했지만 정치권의 압력을 피하지 못하고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되며 불명예스럽게 퇴진한 전례가 있다.

이 회장은 그동안 정치적 논란을 자초하기도 했다. 청와대 제2대변인 출신인 김은혜 전무를 영입하고, 김 전무 영입 2개월 뒤에는 오세현 전 IBM상무를 코퍼레이션센터 신사업전략 담당 상무로 영입했다.

오 상무는 오세훈 서울시장의 여동생이자 지난 2007년 대선 당시 IT 전문가로서 이명박 대통령 후보지지 선언에 참여했던지라 이 회장의 편향된 인사 스타일이 또 한 차례 도마에 오르게 됐다.

2011년에는 종합편성 채널에 투자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해 오다 자회사를 통해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매일경제 4개 종편에 모두 83억9000만원을 투자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논란의 중심에 섰다. 당시 KT가 자본금 납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종편사들의 구원투수 역할을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일었다.

이런 오명을 미뤄볼 때 “이회장이 새 정부의 압박을 견딜 수 있겠느냐”라는 시각도 나오고 있다. 최근 이 회장이 KT 유무선 조직의 기능을 완전히 통합하고 그룹 시너지 경영을 강화하는 조직개편과 임원인사를 단행한 것도 이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윤리 경영실 강화와 김영일 부사장 등 측근 전면 배치 등이 일종의 보험 성격이 아니겠냐는 것이다.

이에 대해 업계 한 관계자는 “자신의 최측근인 김일영 부사장을 승진시켜 권한을 강화한 것은 보다 강력한 친정체제 구축에 나선 것”이라며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눈치 보기에 바쁘던 이 회장이 ‘회장직 굳히기’에 들어간 것으로 풀이 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여전히 이 회장이 임기를 채울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회의적인 관측이 많다.


김설아 기자 <sasa7088@ilyosisa.co.kr>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