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노 ‘모바일투표’ 끝내 못 놓는 사연

한국뉴스

친노 ‘모바일투표’ 끝내 못 놓는 사연

일요시사 0 704 0 0

국민의 회초리 'NO' 지지자의 당근 'OK'

[일요시사=정치팀] 민주통합당 역사에 이만큼 끈질긴 악재는 없을 듯하다. 민주당 계파 갈등의 중심에 있는 애물단지 ‘모바일투표’ 때문이다. 이를 둘러싸고 ‘절대 안 된다’는 자와 ‘반드시 해야 한다’는 자가 극명하게 엇갈려, 금세 전쟁이라도 불사할 태세다. 여당보다 무서운 민주당의 적수 모바일투표. 그 전쟁터 속으로 <일요시사>가 들어가봤다.


모바일투표는 민주당의 최대 화두 중심에 있었다. 오는 5월4일 전당대회 시기와 당 대표의 잔여임기를 둘러싸고 당내 친노·주류와 비주류의 갈등은 극명하게 엇갈렸다. 사실 이전부터 그랬다. 작년 제18대 대선이 끝나자마자 대선 패배 책임을 둘러싸고 주류와 비주류 간에 치열한 공방전이 끊임없이 이어졌다.

친노·주류 주장 반영

계파 싸움으로 하루도 조용할 날이 없는 민주당이었다. 그러나 비상대책위원회가 어렵사리 구성되고, 문희상 의원이 비대위원장으로 선임되자 계파 갈등이 봉합될 조짐을 보였다. 하지만 전당대회를 앞두고 양측 간 갈등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전당대회의 시기와 임기에 대해서는 진통 끝에 합의를 봤다. 하지만 모바일투표는 양측 모두 끝까지 포기 못 하겠다는 분위기였다.

전당대회를 앞둔 계파 간 의원들의 설전은 매체를 통해서도 날카롭게 이어졌다. 흡사 여야 간 치열한 갈등을 방불케 했다. 당 안팎에서 민주당의 분당을 염려하는 목소리가 넘쳐날 정도였다.

당시 문 위원장은 차기 전당대회에서 모바일투표 도입 여부와 관련해 ‘제한적’인 발언을 내놔 논란을 일으켰다. 문 위원장은 “당 지도부를 뽑는 경선에서 당원과 대의원 등 당내로 모바일경선 참여대상을 한정하면 된다고 본다”고 말해 모바일투표 시행에 찬성하는 입장을 내놨다.

비주류 인사들은 민주당 지도부 인사들의 입김이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모바일투표를 시행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고 성토했지만, 문 위원장은 시종일관 자신의 견해를 분명히 했다.

문 위원장은 “모바일투표는 민주당의 상징처럼 된 좋은 제도로, 모바일투표 자체가 문제는 아니다”라며 “세를 동원하면 조작될 가능성이 있다는 말이 나오고 있는데, 그 역시 선거인단이 100만명 넘어가면 아무 소용없는 일”이라며 오히려 모바일투표의 장점을 강조하고, 조작 가능성을 일축해 눈살을 찌푸렸다.

이후 비주류 중심의 인사로 구성된 전당대회준비위원회와 친노·주류 중심의 인사로 구성된 정치혁신위원회 간의 치열한 공방전 끝에 모바일투표 시행에 대한 대략적인 윤곽이 나왔다.
일단 지난달 22일, 갈등의 분수령이 될 것이란 우려를 낳았던 모바일투표 일부분을 폐지한다는 내용의 보도였다. 대신 민주당은 일반국민을 대상으로 모바일투표를 폐지하는 대신 대의원과 당원의 비중을 늘리는 방식을 선택했다.
이에 따라 민주당의 새 지도부는 ‘대의원 50%+권리당원 30%+일반국민 여론조사 20% (민주당지지층+무당파)’로 선출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대의원은 투표소에서 투표하는 방식을 따르되, 권리당원은 ARS에 의한 모바일투표가 가능하도록 했다. 모바일투표를 둘러싼 양측의 갈등은 어느 정도 일단락된 것으로 보였다.

모바일투표 폐지 친노·주류 극심한 반발 이어져, 결국 일부 수용
20%였던 ‘일반국민’ 비중 축소, 당원·모바일투표 선거인단 합류

하지만 여기서 물러날 친노가 아니었다. 지난달 26일 오전 정홍원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인준과 관련한 민주당 의원총회 자리. 한 소식통에 의하면 이 자리에서 친노·주류 측 의원 5명이 모바일투표 폐지에 대해 강력히 항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모바일선거인단은 특정세력에 의해 조작되지 않는 점을 강조하며, 모바일투표를 보완해야 하며 지지자 그룹의 참여를 막아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는 전언이다.

그리고 다음 날인 27일 민주당은 중앙위원회를 열었다. 이날 중앙위에서도 친노·주류 측은 모바일투표 폐지 방침에 강력히 반발했다. 이날 역시 모바일투표 폐지를 둘러싼 계파 간 갈등으로 지도부 선출방식을 확정짓지 못했다.

다만 ‘일반국민 여론조사 20%’에서 ‘일반국민’이라는 문항을 빼는 조건으로 원안을 가결했다. 친노·주류 측이 작년 6?9전당대회와 대선후보 경선에 참여했던 국민참여선거인단 36만 5천여 명의 전대 참여 보장을 주장한 탓이다.



결국 민주당은 차기 지도부 선출방식을 놓고 친노·주류와 비주류 간 충돌 끝에 당초 안을 변경했다. 일반국민 여론조사 20%를 ‘일반국민 여론조사 3 : 일반당원 여론조사 2 : 경선참여선거인단 여론조사 1’의 비율로 반영토록 했다.

비주류 측은 이 같은 당규 개정이 전당대회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리란 판단에 친노·주류 측 의견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들은 친노·주류 측이 어떻게든 모바일투표 대의명분을 유지하려는 의도라고 해석하지만, 일각에서는 다른 이야기가 흘러나오고 있다.

전당대회 당규 개정이 향후 지방선거, 총선 등 공직 선거를 염두에 둔 것이란 명분이지만, 정작 들여다보면 친노?·주류 측이 선거인단을 당원으로 끌어들이려는 복안이라는 것.

그렇게 되면 그동안 모바일투표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조직 동원 논란을 일으켰던 민주당 지지자가 일반당원의 자격으로 민주당에 더욱 깊숙이 개입하게 된다. 이들은 경선참여선거인단에서 나아가 일반당원의 자격으로 민주당 당직 선거 외에 지방선거, 총선 등 공직 선거에서 친노·주류 측 인사에 더욱 힘을 실어주게 된다는 계산이 가능하다.

갈등 분수령 될 전대
   
심지어 일각에서는 결정 방식의 50%를 차지하는 대의원 구성원이 친노·주류 측 인사로 변경되고 있다는 이야기까지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과연 이번 전당대회에서 계파 갈등이 지워질 수 있을지, 아니면 계파 싸움의 분수령이 되는 건 아닌지 귀추가 주목된다.


조아라 기자 <archo@ilyosisa.co.kr>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