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성공하면 세계에서 통한다

한국뉴스

한국에서 성공하면 세계에서 통한다

일요시사 0 1272 0 0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가 ‘한국판 수퍼볼’로 자리 잡았다. 스폰서 기업부터 참가 선수, 그리고 골프팬까지 모두가 즐거워하는 비즈니스모델로 발전했다. 불과 십수년  만의 일이다.


드높은 한국여자골프의 인기비결
박세리의 ‘헝그리 정신’

흥행 좌우하는 스타급 선수 매년 등장
TV 시청률, 광고단가도 절대 우위

한국여자프로골프협회(KLPGA)에 따르면 올해 공식대회는 모두 27개에 달하며 상금규모는 175억원이다. 한국프로골프협회(KPGA)가 주관하는 코리안투어 대회 15개와 상금 규모 123억원을 크게 앞질렀다.
1998년 박세리(36·KDB금융그룹)의 US여자오픈 우승 당시와 비교하면 그야말로 격세지감이다. 1998년 남자투어는 7개 대회에 상금규모가 14억7670만원에 달했지만 여자투어는 7개 대회가 열렸음에도 상금규모는 7억8000만원에 불과했다. 하지만 15년이 지난 현재 KLPGA투어는 21배나 성장했고, 같은 기간 남자투어는 7배 성장에 그쳤다.

경기 침체기
나 홀로 상한가

특히 여자골프의 인기가 한국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점은 매우 흥미롭다. 미국프로골프(PGA)투어는 1998년 45개 대회에서 올해 41개 대회로 줄었다. 하지만 상금규모는 1998년 9605만달러(약 1060억원)에서 올해 2억6675만달러(약 2946억원)로 177% 성장했다.
반면 미국여자프로골프(LPGA)투어는 같은 기간 41개 대회에서 28개 뒷걸음질했고 상금규모도 3311만달러(약 343억원)에서 4880만달러(약 548억원)로 47% 성장에 그쳤다.
KLPGA투어의 비즈니스 효과는 ‘경기침체기’에 더 빛을 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발 재정위기의 후폭풍으로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로 굳어져 경기 후퇴에 대한 우려감이 큰 상황에서도 KLPGA투어는 나 홀로 상한가를 기록 중이다. 올해는 지난해 22개 대회보다 5개 대회가 늘었고, 상금 규모도 지난해 138억원에서 올해는 175억원을 돌파해 ‘총상금 200억원 시대’도 초읽기에 들어갔다.
선수 저변 확대도 KLPGA투어만의 두드러진 특징이다. KLPGA 정회원 800명 가운데 대회에 출전할 수 있는 정규투어 출전 선수는 추천선수를 포함해 모두 106명. ‘곳간에서 인심난다’는 격언은 KLPGA투어에 그대로 적용된다. 
상금이 많다 보니 프로골퍼가 고소득을 보장받는 직업으로 자리 잡았다. 실제로 지난해 상금랭킹 4위까지 4억원 수입을 넘겼고, 63위도 4000만원을 벌어 대기업 대졸 초임 수준에 육박했을 정도다.
매년 우수한 선수가 탄생하면서 KLPGA투어 출신의 해외투어 선수도 급증했다. 조건부투어 합류 선수를 포함해 LPGA투어에 현역으로 참여하고 있는 선수는 모두 31명에 달하며, 일본투어로 넘어간 선수도 무려 23명이다. ‘한국에서 성공하면 세계에서 통한다’는 새로운 공식을 만든 셈이다.
KLPGA투어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투어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도 조성됐다. 올해 시드 배정자 대부분이 든든한 기업의 후원을 받고 있다. 특히 롯데그룹 소속인 김효주(18)와 LG그룹 소속 김자영(22), KT 소속 김하늘(25) 등은 인기스타 모델료와 비슷한 5억원 규모로 연간 스폰서십 계약을 맺었다. 이 정도면 프로골퍼 중에 걸어다니는 기업이 나올 수 있다는 얘기다.
여자투어의 인기 비결은 도대체 무엇일까. 가장 먼저 프로암대회의 인기를 꼽을 수 있다. 기업체의 한 고위 관계자는 “불경기로 들어가면서 VVIP마케팅의 중요성이 커졌는데 마땅한 서비스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VVIP를 대상으로 하는 모든 기업이 여자프로골프 대회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마디로 마케팅 효과는 이미 검증이 됐다는 얘기다.
KLPGA투어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갤러리 티켓 구하는 것도 ‘하늘의 별 따기’다. 대회를 개최하는 기업의 한 관계자는 “갤러리 부족으로 시달렸던 아픔은 이제 과거가 됐다. 대회기간이 되면 ‘티켓 청탁’ 민원을 처리하느라 정신이 없다”고 밝혔다.
방송 환경도 여자골프 인기에 큰 보탬을 주고 있다. 방송 중계권 계약이 완벽히 정리되지 못한 관계로 현재 KLPGA투어는 SBS골프와 J골프 두 방송사에서 동시 중계를 하고 있다. 골프방송을 시청하는 모든 골퍼에게 생방송으로 중계되는 셈이니 이보다 더한 횡재가 또 있을까. 대회를 주최하는 스폰서의 입장에서도 여자대회를 선호하게 되는 것은 당연지사일 것이다.
시청률도 남자대회를 압도한다. 시청률이 높아지면서 골프채널 광고단가는 케이블TV 시청률 상위권을 휩쓸고 있는 YTN과 TVN에 버금가는 높은 가격으로 책정된다. 김평기 스포티즌 부사장은 “여자골프의 인기는 앞으로 2~3년까지는 무리 없이 이어질 것이다. 협회 설립의 취지를 잊지 않고 체계적인 시스템을 도입한다면 기간은 더욱 늘어날 것이다”고 말했다.

선수 저변 급속한 확대로 규모도 확대
올해 상금 175억원, 15년간 21배 성장

갤러리 티켓 구하기
‘하늘의 별 따기’

KLPGA가 기업식 마케팅 기법을 도입하면서 대회가 풍성해진 점도 눈에 띄게 달라진 점이다. 지난해 3월 구자용 LS네트웍스 회장 취임 이후 KLPGA 조직은 철저하게 마케팅 조직으로 개편됐고 투어에 대한 홍보효과를 과학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에도 나섰다. 
구 회장은 “무턱대고 스폰서를 찾아가 대회를 부탁하는 시대는 지났다. 스폰서들도 대회 유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스폰서가 이해할 수 있도록 대회 유치 효과를 보여주는 계량화 작업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KB금융컵 제11회 한일여자프로골프 국가대항전’이 부산에 있는 베이사이드 골프클럽에서 열렸다. 한국 대표팀은 LPGA투어에서 활약 중인 6명의 선수와 KLPGA투어 4명, 그리고 일본여자프로골프(JLPGA) 투어 3명 등 각 투어에서 골고루 선발됐다. 일본 대표팀은 통산 50승 선수 후도 유리를 포함해 요코미네 사쿠라, 모기 히로미, 바바 유카리 등 막강한 선수들이 출전했다.
이틀간의 경기를 펼친 끝에 승점 23점을 챙긴 한국은 13점에 그친 일본을 대파했다. 이미 예상된 결과였다. 최나연, 신지애, 박인비, 유소연 등의 위용을 갖춘 한국대표팀은 자국 투어 선수들로만 구성된 일본 대표팀과 애초부터 비교대상이 될 수 없었다. “이정도면 세계올스타와 맞붙어도 지지 않을 것”이라는 농담이 허투루 들리지 않을 정도였다.
일본여자프로골프협회는 1967년, 한국여자프로골프협회는 1988년 설립됐다. 역사만을 단순 비교하면 한국여자골프는 일본에 비해 20년이나 뒤쳐지는 셈이다. 하지만 최근 10년 동안 세계 여자골프 성적표만 놓고 보면 일본은 비교 대상이 될 수 없다. 일본 투어에서조차 3년 연속 상금왕을 내주는 등 한국 선수들의 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
세계 최고 무대인 LPGA 투어에서도 마찬가지다. 통산 100승을 훌쩍 넘겨 미국을 제외한 나라 중 가장 많은 승수를 쌓았고, ‘골프여제’로 칭송받는 세계랭킹 1위 자리도 박인비가 굳건히 지키고 있다.
한국여자골프가 이처럼 강한 이유는 뭘까? 젓가락질을 통해 길러진 탁월한 ‘손의 감각’ 때문이라는 우스갯소리도 있지만 한국여자골프 발전의 일등공신은 역시 ‘박세리’다.
1996년 KLPGA 투어 상금왕을 차지한 박세리는 이듬해인 1997년 LPGA투어 Q스쿨에 도전해 1위로 통과했다. 정규투어 1년 차인 1998년에는 맥도널드 챔피언십과 US여자오픈 등 메이저대회를 연거푸 들어 올렸다. 특히 US여자오픈에서 보여준 ‘맨발 신화’는 당시 IMF 구제금융으로 힘들어하던 시절에 ‘희망의 메신저’ 역할을 톡톡히 했다.
LPGA투어 통산 25승을 달성한 박세리는 36세의 적지 않은 나이지만 현재까지 현역으로 활발하게 뛰고 있다. 한국여자골프의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운 박세리. 주변 지인들은 그를 가리켜 ‘헝그리 골퍼’라고 부른다. 삼성과 거액의 후원 계약도 체결했고, 집안 형편도 그리 나쁘지 않았다. 단지 LPGA투어 한국선수 1세대로서의 책임과 의무가 그를 배고프게 만들었다.
이에 대해 이성환 세마스포츠 대표이사는 “전담팀과 리드베터 아카데미 교육 등 최고의 환경을 갖췄다. 하지만 한국을 대표하는 선수라는 부담을 많이 느꼈다. 박세리는 가슴에 태극기를 달고 있다는 심정으로 대회에 출전했다. 애국심도 그의 성공에 한몫을 했다”고 설명했다.

여자 프로 선수
철저한 자기관리

박세리의 활약은 한국여자골프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그의 성공신화는 어린 학생들과 부모들에게 새로운 롤 모델이 되면서 골프 열기에 불을 붙였다. 당시 ‘제2의 박세리’를 꿈꾸며 골프에 입문한 선수들이 바로 여자골프 한일전 우승의 주역인 ‘세리 키즈’ 최나연, 신지애, 박인비, 유소연 등이다.
선진국의 교습 방법 도입과 골프아카데미 시장 확대에도 박세리의 역할이 컸다. 이제는 체계적인 훈련을 바탕으로 선수들이 ‘만들어 지는’ 것이다.
특히 여자 선수들 대부분은 경쟁적으로 체력 훈련과 정신 훈련을 병행하는 등 철저한 자기관리를 하고 있다. 지난해 상금랭킹 2위의 허윤경의 경우 스윙코치, 멘탈코치, 체력코치를 따로 두고 있다. 최근에는 50% 이상의 여자 선수들이 전담팀 형태로 코치진을 꾸리고 있다.
KLPGA투어의 흥행을 좌우하는 스타급 선수가 매년 등장하는 것도 이런 이유다. 신지애, 유소연이 자리를 비우면 김자영, 양수진 등이 또 다른 스타플레이어로 탄생했고 지난해에는 ‘슈퍼루키’ 김효주가 등장해 골프팬들의 이목을 사로잡았다.

자료제공 = 월간골프 기자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