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안인 줄 알고 방치했다 실명하는 ‘황반변성’

한국뉴스


 

노안인 줄 알고 방치했다 실명하는 ‘황반변성’

일요시사 0 3154 0 0

고령화와 더불어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최근 급증세에 있는 황반변성은 노안인 줄 알고 방치했다가 실명에 이르는 무서운 병이다. 이는 눈의 중심시력을 담당하는 망막중심인 황반의 시력이 떨어지면서 크기가 달라져 보이거나 휘어져 보이고 중심부가 검게 가려지는 질환이다.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안과 함돈일 교수는 “황반변성은 카메라로 들자면 필름에 해당하고 전체 시력의 90%를 차지하는 망막의 중심인 황반이 그 기능을 상실하게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함돈일 교수는 “황반에 병이 생기게 되면 시력저하와 함께 중심 시야에 검은 암점이 보이고 물체가 찌그러져 보이는 변시증과 물체의 색이 이상하게 보이는 변색증을 일으켜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다”고 밝혔다. 

즉 황반변성이 생기면 황반 내에 존재하는 시세포가 죽게 되고 망막층에 산소와 영양물질을 공급하고 있는 혈관층인 맥락막에 신생혈관이 자라나게 된다. 
이 신생혈관은 마치 암세포처럼 자기 영역을 벗어나 망막층까지 뻗어나가 망막세포를 파괴해 삼출과 출혈을 일으켜 시력을 앗아가는 것이다.

한번 발생하면 시력 회복
어렵고 진행 속도도 빨라

건양대의대 김안과병원 이동원 교수는 “노화현상으로 착각하고 병원을 찾지 않는 사람이 많은데 빠르면 수 주 안에 실명에 이르는 것이 황반변성”이라며 “황반변성으로 한 번 악화된 시력이 개선되는 일은 거의 드물기 때문에 조기 발견을 위한 정기검진이 특히 중요하다”고 경고했다. 

이어 이 교수는 “만일 한쪽 눈에만 황반변성이 와도 3년 이후에는 나머지 한쪽 눈에도 황반변성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고 밝혔다. 
노인성 황반변성에는 건성 황반변성과 습성 황반변성, 이 두 가지가 있다. 건성 황반변성은 망막에 노폐물(드루젠)이나 세포 위축과 같은 병변이 생긴 경우를 말하며 황반변성 중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에 반해 습성 황반변성은 건성에 비해 병의 진행 속도가 매우 빨라 수 주 안에 시력을 잃게 만든다. 습성 황반변성은 망막 아래 맥락막에 본래 없어야 할 신생혈관이 자라 황반에서 삼출물이 나오거나 출혈을 일으킨다. 

건성 황반변성은 항산화비타민, 오메가 쓰리 지방산, 아연 등을 섭취해 더 이상의 시력 악화를 막고 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다. 반면 습성 황반변성은 레이저 광응고술과 광역학 치료, 항체주사를 통해 치료를 시행한다. 

레이저 광응고술은 이미 생긴 신생혈관에 높은 에너지의 레이저광선을 쪼여 신생혈관을 파괴하는 방법인데 주변의 정상인 망막조직까지 같이 손상시키는 경우가 많아 제한된 경우에만 사용되고 있다. 

이에 대해 이동원 교수는 “황반변성 치료법 중 레이저 치료는 극히 드물고 현재는 항체주사를 많이 쓰는 추세”라며 평소 황반변성을 예방하려면 “담배를 피우지 말고 기름진 음식을 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노인 인구 증가로 급증
조기 발견이 관건

이러한 황반변성은 현재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적으로 증가세에 놓여 있어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망막학회에 따르면 황반변성 환자는 10년 전에 비해 7.4배 급증했으며 특히 40~50대 중·장년층 발병률이 9배 이상 늘어났다. 또한 올해 상반기에 중앙대병원 안과 문남주 교수팀은 10년 사이 중·노년층 저시력 환자 비율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밝힌 바 있다. 

저시력의 주요 원인으로는 시신경위축이 전체 환자의 28.2%을 차지해 가장 흔했고 황반변성이 20.7%로 그 뒤를 이은 것이다. 특히 황반변성의 비율은 10년 전의 통계 16.6%에서 25.1%로 증가했다고 문 교수팀은 설명했다. 

이에 대해 중앙대병원 안과 문남주 교수는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 등으로 인한 50대 이상 저시력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다”고 말했다. 

이러한 이유로 50대 이후에는 안저검사를 받아야 하며 5년에서 10년에 한 번씩 검사를 받아야 한다. 게다가 당뇨환자 및 황반변성의 위험소인이 있는 경우 반드시 매년 안저검사를 받는 것이 권장된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