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창공원 국립묘지화 공방전

한국뉴스

효창공원 국립묘지화 공방전

일요시사 0 1349 0 0

백범 김구 안장된 효창공원…국립묘지 승격 난항

[일요시사=사회팀] 편의시설의 이용도가 높은 효창공원은 지역주민들이 애용하는 근린공원이다. 그리고 동시에 사적지이도 하다. 알고 보면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이곳에서는 지금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서울시 용산구 효창동에 자리 잡은 효창공원에는 백범 김구 선생 등 애국선열들의 묘소가 있다. 이곳은 현재 근린공원으로 지정돼 있어 국가가 아닌 구청에서 관리를 맡고 있다. 이에 민주당 김광진 의원은 지난 7월, 효창공원을 국립묘지로 추가 지정한다는 내용을 담은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 이를 두고 찬반이 엇갈리며 논란이 일고 있다.

뜨거운 찬반논쟁

지난 7월 민주당 김광진 의원이 대표발의한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두고 효창공원 국립묘지 승격에 대한 찬반 논란이 뜨겁다. 특히 효창공원 인근 주민들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효창공원에는 백범 김구 선생의 묘소를 비롯해 안중근 의사의 가묘, 이봉창·윤봉길·백정기 의사 등 애국선열들의 묘소가 위치해 있다. 그러나 이곳은 현재 ‘근린공원’으로 지정돼 있다.

효창공원을 자주 찾는 지역 주민들의 입장을 들어봤다. 효창동 주민 A씨는 “공원을 파헤쳐 완전 묘지로 바꾸는 것도 아닌데 뭐가 문제냐”며 “애국선열들의 묘소를 국가에서 관리하는 건 당연한 예우다”라고 말했다.

반면 주민 B씨는 “시간날 때마다 효창공원을 한 바퀴 돈다”며 “국립묘지로 지정되면 야간 이용에 제한이 있을 것이라는 소문을 들었다”고 말하며 국립묘지 추진에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김 의원은 <일요시사>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효창공원 독립묘지 논란은 어떠한 이념이나 정치공학과는 별건”이라며 “애국선열들에 대한 기본적인 예우의 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이미 묘역과 공원은 분리돼 있다”며 “추가안장은 계획된 바 없고 체육시설은 전혀 줄어들지 않기 때문에 주민들이 공원을 이용함에 전혀 불편함이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김광진 의원 개정안 발의

지역서 갑론을박

현재 백범 김구 선생의 묘역을 지키는 건 CCTV 한 대 뿐이다. 이마저도 야간에는 가동 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관리의 주체가 지자체가 아닌 국가가 된다면 24시간 관리의 여력이 생긴다는 것. 또한 추모 등 각종 행사를 진행함에 있어서도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즉 관리하는 주체만 구청에서 국가로 달라질 뿐 실질적으로 변하는 것은 없다는 것이다.

용산구의회는 김 의원이 발의한 법안에 반기를 들고 지난 8월 ‘효창공원 국립묘지화 입법추진 반대 결의안’을 채택했다. 결의안을 발의한 김정재 의원(새누리당)은 “주민들은 현재 근린공원이 좋다는 입장”이라며 “국립묘지가 되면 공원 이용에 제약이 있어 참배밖에 못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해당지역의 부동산 가격 하락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반대의견을 피력했다. 새누리당 소속 용산구 구의원 등은 효창공원 앞에서 ‘국립묘지 결사반대, 서울 한복판에 국립묘지 웬 말이냐’라는 현수막을 걸고 주민들을 상대로 반대 서명에 돌입하기도 했다.

편의시설의 이용도가 높은 근린활동의 공원과 사적지라는 두 가지 특성을 갖고 있는 효창공원. 겉보기엔 근린공원이지만 주변 안내판을 보면 사적지임을 알 수 있다. 때문에 경건한 참배 공간에 대한 인식의 혼재를 보인다. 효창공원에 대한 다양한 인식만큼, 관리하는 관련단체도 꽤나 복잡하다. 사적 330호로 지정되었기 때문에 사적지 주변관리는 문화재청에서 담당, 백범기념관은 국가보훈처, 일부 지역은 서울시 소유지만 실질적 관리는 용산구청이 맡고 있다.




효창묘로 시작된 효창공원은 일제강점기 이전까지 왕실과 관련된 신성한 묘역이었다. 일제강점기에는 효창원-효창원 공원-효창원 골프장이 공존했다. 백범 김구 선생은 효창공원의 순국선열 묘역 조성과정에서 주도적으로 활동했었다. 김구 선생도 서거 후 삼의사 묘역 좌측에 안장되어 효창공원이 순국선열들의 장소로 변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러한 변화는 공원에 대한 이용자의 행동에도 영향을 끼쳤다. 기존 휴식과 위락의 장소였던 공원에 추모객들이 증가하였으며, 순국선열에 대한 상징 이미지는 효창공원의 새로운 시설물 도입 시 상반된 의견으로 갈등 요인이 됐다.

[찬]“국가가 관리해야”
[반]“공원 이용에 제약”

당시 국민체육관 건립계획은 선열묘역의 이장을 동반하여 유족의 반발로 연기됐지만, 국제대회를 유치하기 위한 효창운동장의 건립에도 갈등은 내재돼 있었다. 여론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효창운동장은 완공됐다. 그리고 효창공원의 면적 축소와 함께 연못과 소나무가 멸실되어 효창원의 기억과 흔적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공간의 외형적 변화는 이해집단 간 역학관계가 포함돼, 이들의 결정에 따라 물리적 변형이 발생했다. 묘역과 공원, 선열묘역과 운동장 조성에서 갈등이 크게 표출된 것이다. 또한 과거 백범 김구의 정치적 숙적관계였던 이승만 대통령은 김구묘역에 대한 정치적 의도로 효창운동장 건립 의견을 제시했다. 이는 독립운동가 후손과 시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잠잠해지는 듯했지만 결국 효창운동장은 그들의 의해 조성됐다.

이처럼 효창공원은 조선시대 왕족의 묘역이었지만, 일제강점기에는 공원으로, 해방 이후에는 선열묘역으로  1980년대 이후에는 문화재와 생태 터로 다양한 장소성을 지니고 있다. 지금까지 효창공원에 진행되어 온 계획들은 특정권력이나 이해관계가 속한 집단의 요구로 변모했다.

혼재된 장소성

최근에는 공원이용자의 일상적인 경험이 중요시되어 공원 기능을 부각시키는 요구도가 높아졌고, 관할 관공서는 이를 수용해 공간에 반영했다. 이러한 시기별 다양한 이해관계와 요구 반영은 현재의 혼재된 장소성을 지닌 효창공원의 사회적 배경이 됐다.

효창공원에서 진행된 계획은 과거 기억을 되살리는 작업이 아니라, 기억을 제거하고 새로운 것을 도입하는 과정이었다. 따라서 효창공원의 과거 기억은 계속 망각됐다. 조선시대 주어진 ‘효창’이란 명칭만 남았을 뿐이다.


이광호 기자 <khlee@ilyosisa.co.kr>

 

<효창공원의 변화>

▲조선시대-효창묘와 효창원
▲일제강점기-효창원, 효창공원과 효창원 골프장
▲해방 이후-효창공원의 선열묘역화
▲1961∼1981년-효창공원의 근린공원화
▲1982∼1989년-문화재로서의 효창공원
▲1990∼현재-혼재된 정체성의 효창공원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