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화수분 재산'의 비밀

한국뉴스


 

MB '화수분 재산'의 비밀

일요시사 0 987 0 0


재산내역 의문투성이…기부약속도 말뿐?


[일요시사=정치팀]이명박 전 대통령은 역대 대통령 가운데 재산 관련 의혹이 가장 많이 불거진 전직 대통령이다. 대선후보 시절부터 끊임없이 제기됐던 의혹들은 재임 당시에도, 또 퇴임 후에도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역대 가장 많은 재산을 기부했고, 심지어 대통령 재임 기간 월급까지 기부했다고 밝혔지만 약발이 전혀 먹히지 않은 셈이다.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이 전 대통령 재산의 비밀을 <일요시사>에서 파헤쳐봤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2007년 12월7일 17대 대선을 앞두고 재산 형성 관련 의혹이 증폭되자 "살 집 한 채만 남기고 전 재산을 내놓겠다"고 말했다. 이 약속은 당선된 지 2년여가 흐른 2009년 8월 청계재단을 설립해 331억원을 기부하는 방식으로 지켜졌다. 그러나 재단 관계자가 대부분 이 전 대통령 측 인사들로 채워졌으며, 본연의 목적인 장학금 지급 등의 활동이 미비해 사실상 주머니만 옮긴 '이 전 대통령의 사금고 아니냐'는 의혹이 끊임없이 제기됐다. 또 대통령 재임기간 공개된 그의 재산내역도 불투명한 부분이 많아 의혹이 증폭되고 있는 상황이다. 

베일에 쌓인
MB재산

이 전 대통령의 재산을 공식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관보'와 논현동 사저에 대한 '등기부등본' 뿐이다. 우선 지난 4월25일 마지막으로 관보를 통해 공개된 이 전 대통령의 재산을 살펴보면 총 46억3146만원으로 기재돼있다.
구체적으로 예금 9억5084만원(배우자 김윤옥 예금 9994만원 포함), 논현동 29-13번지 사저 54억4847만원, 논현동 배우자 대지 14억2636만원, 자동차 2008년식 카니발 리무진 1878만원, 배우자 명의의 다이아몬드(1.07캐럿, 500만원), 김창렬 화백의 서양화 700만원, 이상범 화백의 동양화 1500만원, 골프회원권 2개 2억500만원, 배우자 롯데호텔 헬스클럽 이용권 570만원 등이다. 여기서 기존 사인 간 채무 2억3800만원에 전년에 없었던 사인 간 채무 26억원이 갑자기 생겼고, 은행권 대출도 6억1270만원이 증가해 생긴 총 34억5070만원의 빚을 제하면 전년(57억9966만원) 대비 재산이 11억6820만원 감소했다.
눈에 띄는 점은 개인 간에 돈을 빌린 것을 의미하는 사인 간 채무 26억원과 농협 채무 6억1270만원이 사저 재건축으로 인한 채무로 기재됐다는 것이다.

'청계재단=MB 사금고' 의혹 끊임없이 제기
출처 불명확한 개인채무 등 '수상한 빚' 많아 

이 전 대통령의 기부 약속을 감안하면 32억여원의 빚을 통한 사저증축은 과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게다가 <일요시사>에서 지난 17일 이 전 대통령 사저의 등기부등본을 확인한 결과 이 전 대통령은 2012년 4월23일 사저를 담보로 농협 청와대지점서 24억원을 빌린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4월 농협에서 돈을 빌려 현재까지도 근저당 설정이 유효한 은행 채무가 24억인 데 반해 지난 4월 공개된 관보에 농협 채무가 6억1270만원으로 나타났다는 것은 1년 새 이 전 대통령이 농협 채무 18억원 상당을 갚았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통상 근저당 설정은 채무를 전액 변재하지 않는 이상 중도에 일부 변제가 이뤄졌더라도 등기부 상에는 신고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진다.
이 기간 이 전 대통령의 예금액이 1억7620만원 증가해 연봉(1억9255만원)과 비슷한 수준으로 증가했고, 지난해에도 예금액이 3억6525만원이 증가하는 등 예금이 꾸준히 증가한 것을 감안하면 드러나지 않은 비자금 혹은 사인 간 금전 거래로 농협 채무를 상당부분 정리한 것으로 보인다.

출처 불분명한
사인 간 채무

그렇다면 이 전 대통령이 농협에 갚은 것으로 추정되는 18억원은 어디에서 나온 것일까.
사인 간 채무로 은행 빚을 갚았다는 것은 사인 간 채무 이자가 은행 이자보다 낮았거나 혹은 아예 없었다는 의미로 해석이 가능하다. 18억원을 통상적인 주택담보 대출이자인 5%로 금융기관에서 빌릴 경우 월 이자만 750만원에 이른다.
누군가 이보다 낮거나 혹은 무이자로 이 전 대통령에게 18억원을 빌려줬다는 것은 사인 간 채무의 대가성에 따라 ‘뇌물’ 논란도 제기될 수 있는 대목이다. 




이와 관련해 퇴임 후에도 이 전 대통령 곁을 지키고 있는 임재현 비서관은 '서울신문'을 통해 "사인 간 채무 26억원은 논현동 집을 짓기 위해 필요한 돈이었지만 누구에게 빌렸고 차용증 작성과 이자 지급은 어떻게 하는지 등 자세한 내용은 밝히기 어렵다"고 말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정치권 한 관계자는 "이 전 대통령의 재산내역은 여러 가지로 수상한 점이 많다"며 "드러난 내역을 보더라도 사저증축 비용의 출처가 불분명하고 사인 간 채무가 과다하다. 뿐만 아니라 이를 이 전 대통령 재산의 전부라고 믿는 국민들은 많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월급 기부'도
안 지켜진 듯

연장선에서 이 전 대통령이 취임 직후인 2008년 3월30일 발표한 "공직에 있는 동안 월급을 기부하겠다"는 약속도 지켜졌는지 의문이다.
그간 이 전 대통령의 '월급 기부' 약속은 배우자인 김윤옥 여사가 관리하며 전액을 결식아동, 청각장애아동, 독거노인, 새터민 가정 등을 돕는데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월급 전액을 기부하면서 출처가 불분명한 사인 간 채무를 포함한 32억원 상당의 '수상한 빚'을 이용해 사저증축을 단행하면서도 예금은 꾸준히 증가, 9억원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은 쉽사리 납득하기 어려운 대목이다.
이에 대해 이 전 대통령 측은 "청계재단에 재산을 기부(2009년)한 뒤에는 급여가 필요해 기부액수를 줄여왔다"고 해명했다. 결국 월급 기부 약속은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셈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면 이 전 대통령이 재임 중 받은 자이드 국제환경상 수상 상금 50만달러의 쓰임새도 자명하다. 지난 2012년 대통령 재임기간 받은 상금이 월급통장에 들어가 있는 것이 드러나 논란이 일자 당시 박정하 청와대 대변인은 "퇴임 후 의미 있는 곳에 사용할 예정"이라고 말한 바 있다.
또 과거부터 잡혀있던 2억3800만원의 사인 간의 채무도 예금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갚지 않고 있다는 점도 의문이다.
이처럼 이 전 대통령이 재산 기부 및 퇴임 후에도 재산 관련 의혹이 명확히 해소되지 않고 있는 것은 불투명한 재산 공개 여파로 풀이된다.

불투명한 재산내역 속 예금액 꾸준히 증가
"현재 드러난 것은 빙산의 일각" 주장도

문제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의혹으로만 남은 재산이 훨씬 많다는 것이다. 2012년 연말 전자공시 기준 자산이 4791억원이 넘는 자동차부품회사 ㈜다스가 이 전 대통령이 실소유주라는 의혹은 오래전부터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이 전 대통령의 아들 시형씨는 2010년 다스에 과장으로 입사해 2013년 2월 다스의 미국법인인 ‘다스 노스 아메리카 인크’에 등기이사로 취임하는 등 초고속 승진을 거듭하며 사실상 경영일선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재미언론인 안치용씨는 자신의 저서 <시크릿 오브 코리아>에서 BBK 주가조작 혐의로 처벌을 받은 김경준씨의 발언과 2007년 미국 재판 자료를 인용해 "이 전 대통령의 은닉재산이 7000억원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허주렬 기자 <carpediem@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박근혜 대통령 '공식 재산'은?

삼성동 자택 가격 급증…26억여원

박근혜 대통령의 '공식 재산'은 26억여원이다. 지난 5월24일 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2013년 고위공직자 재산등록 사항'에 따르면 박 대통령의 재산은 25억5861만원으로 신고됐다. 이는 전년 대비 3억7756만원 늘어난 것으로 서울 강남 삼성동 자택의 가격이 오른 데 따른 것이다.  

재산가액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삼성동 단독주택 공시지가는 23억원, 차량은 1994만원 상당의 2008년식 베라크루즈(3778㏄) 1대를 소유한 것으로 신고됐다. 예금 보유액은 2억3867만원이다. <렬>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