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영달 크라운·해태 회장 아들 ‘빵집’ 못놓는 속사정

한국뉴스


 

윤영달 크라운·해태 회장 아들 ‘빵집’ 못놓는 속사정

일요시사 0 2609 0 0


크라운베이커리 말아먹고 신라 브레댄코로 갈아탔다


[일요시사=경제1팀] 80년대를 풍미했던 ‘크라운베이커리’. 한때 국내 최대 프랜차이즈 빵집이었지만 경영악화를 견디지 못하고 지난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브랜드 출범 25년 만의 일이었다. 신라명과 브랜드 ‘브레댄코’에 간판을 넘기는 굴욕을 맛봤다. 점주들은 대부분 문을 닫은 상황. 그런데도 정작 회장 아들이란 사람은 빵집을 놓지 못하고 있다. 이유가 뭘까?


추억의 빵집 ‘크라운 베이커리’. 크라운베이커리는 1996년 매출액만 약 1000억원에 달하며 가맹점 수 800개로 업계 1위였지만 2006년 이후 내리막길을 걸었다. 2010년 매장 252개에서 2011년 160개, 2012년 97개로 감소해 현재 70여개 점포만 남았다. 매출액도 2010년 584억원, 2011년 427억원, 2012년 296억원으로 줄어들며 한해 수십억원의 적자를 냈다.


빵이 좋아서?


결국 크라운베이커리는 지난해 폐업을 선언했다. 서울, 경기권에 남은 매장 약 10여개는 경쟁사였던 빵집 브랜드 브레댄코((bread&co.)로 전환됐다. 과거 인사동의 랜드마크였을 정도로 큰 인기를 누려온 크라운베이커리의 대표 직영점인 안국점도 브레댄코로 새롭게 재탄생됐다.

브레댄코는 1978년 호텔신라의 제과사업부로 출발한 뒤 1984년 별도 회사로 독립해 올해로 30년 전통을 자랑하는 신라명과의 브랜드다. 서양 스타일의 빵보다는 국내산 호박·복분자·흙마늘 같은 ‘신토불이’ 재료를 사용한 한국적 빵으로 승부를 걸고 있다. 2008년 10월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 1호점을 낸 이후 2년 만에 50여 곳으로 매장 수를 늘렸다.

안국점 브레댄코가 주목받는 이유는 따로 있다. 윤영달 크라운·해태제과 회장의 차남 윤성민씨가 점장으로 일하며 현장경영을 익혔던 의미 있는 매장이기 때문이다. 성민씨는 2007년부터 2009년까지 크라운베이커리 안국동 점장으로 현장에서 근무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성민씨는 크라운베이커리 안국점이 브레댄코로 전환 된 뒤에도 여전히 안국점 점장직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일요시사> 취재 결과 드러났다. 안국점 관계자는 “지난해 11월30부터 신라명과의 브레댄코로 전환됐다”며 “(점장님은) 현장 출근을 잘 안하셔서 모르지만 다른 사람으로 바뀌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성민씨가) 자존심은 상했겠지만 돈 되고 목 좋은 곳에 위치한 안국점을 놓을 이유가 없었을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실제 크라운베이커리의 누적적자로 철수설이 돌기 시작한 지난해 초에도 안국점 만큼은 장사가 꽤 잘 되기로 유명했던 터였다.

크라운베이커리 전 점주는 “다른 가맹점들이 누적적자와, 본사의 체계적 지원이 없어 허덕일 때도 안국점 만큼은 매출 호조세를 이어갔다”며 “둘째 아들이 직영으로 하는 곳이라 회사 지원도 많았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차남 성민씨, 자존심 버리고 금싸라기 점포 선택
브랜드 접었는데…간판 바꾸고 여전히 지점 운영


성민씨는 크라운베이커리가 파리바게뜨, 뚜레주르 등 프랜차이즈 경쟁에 밀려 적자가 누적되던 때인 2010년, 현장 경영수업을 바탕으로 크라운베이커리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힘을 보태기도 했다. 그는 미국 ‘파사데나 코르동블루 프로그램’과 숙명여대 ‘코르동블루’ 과정을 이수하는 등 제빵 실무에 강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당시 성민씨는 “지난 3년간의 영업현장 근무는 고객이 어떤 제품과 서비스를 원하는지 정확히 파악할 수 있었던 소중한 기회였다. 그동안의 현장 경험과 서양의 전문적인 음식문화를 결합해 새로운 제빵 트렌드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는 포부를 밝히며, 크라운베이커리 본사 영업업무를 관장하는 상무로 근무해왔다.

성민씨는 크라운베이커리의 제2 브랜드인 ‘딜리댈리’의 설립을 주도했다. 딜리댈리는 기존 크라운베이커리의 프리미엄 유러피안 컨셉의 베이커리로, 신촌 1호점 이후 강남역 인근에 2호점을 오픈하며 주목받았다. 그러나 강남역세권의 극심한 경쟁에 따른 수익악화를 넘지 못하고 1년 반 만에 간판을 내려야 했다. 다른 지점 역시 별다른 재미를 보지 못하다 자취를 감췄다.

당시 업계 관계자들은 “프리미엄 제빵 브랜드 딜리댈리를 설립하면서 적자폭이 커진 것”이라며 “크라운베이커리가 적자행진을 이어간 것이 성민씨를 포함한 윤영달 회장 일가의 방만 경영 때문”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경영 상태 역시 호전되지 않았다. 성민씨가 선임된 이후 2011년 말에는 크라운베이커리 매출이 400억원대까지 추락했다. 매년 40억원 안팎의 적자를 기록하면서 자본금이 대부분 잠식됐다.

윤 회장이 2012년 12월 크라운베이커리를 크라운제과에 합병시키는 승부수를 띄었지만 이마저도 별다를 성과를 내지 못했다. 윤 회장은 장고 끝에 모태사업인 베이커리 사업에서 물러나기로 결론 내렸다. 성민씨는 현재 크라운베이커리 폐업과 맞물려 상무 직급을 내려놓고, 안국점 점장직 하나만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크라운·해태제과 관계자는 “현재 회사 내에 적을 두고 있진 않고, 브레댄코 점장직만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개인적으로 하는 거라 (폐업 후에도 점장으로 있는데) 어떤 의도가 깔려 있는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돈 때문에…


크라운베이커리는 지난 1988년 10월 크라운제과의 생과사업부 별도 법인으로 출범했다. 특히 1990년대 초 제과업계 최초로 케이크 관련 TV CF를 제작해 화제가 됐고 케이크 분야에서 우수한 맛과 품질을 나타내며 한때 제빵업계 1위 자리를 고수했다. 크라운베이커리는 외환위기 이전인 1990년대 중반까지 고려당, 신라명과, 뉴욕제과 등과 함께 국내 대표적인 전통 빵집 브랜드로 자리를 잡았다.

그러나 1998년 외환위기 이후 기존의 빵집 브랜드가 흔들리기 시작했고, SPC그룹의 파리바게뜨와 CJ푸드빌의 뚜레쥬르 등 식품 대기업이 빵집 프랜차이즈 시장에서 덩치를 키우면서 크라운베이커리는 쇠락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김설아 기자 <sasa7088@ilyosisa.co.kr>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