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냐 넌?" '미스터리 연봉킹’ 리스트 공개

한국뉴스


 

"누구냐 넌?" '미스터리 연봉킹’ 리스트 공개

일요시사 0 2070 0 0

 ▲ 김형섭 전 평안엘앤씨 부회장, 김홍선 전 안랩 사장, 석송곤 모린스 회장 (사진 왼쪽부터)

‘일당 5000만원’얼굴 없는 회장님


[일요시사=경제1팀] 상장기업 등기임원의 개인 연봉이 처음 공개됐다. 수백억원에 이르는 대기업 임원들의 연봉에 국민들의 입은 '쩍' 벌어졌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놀라운 사실은 기업의 크기와 상관없는 연봉이다. 많은 중견기업 등기임원들이 대기업의 '뺨'을 후려쳤다.

 icon_p.gif 

지난달 31일 연간 5억원이 넘는 상장회사 등기임원들의 연봉이 처음 공개됐다. 지난해 자본시장법 개정안 시행으로 기업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 공개를 의무화한 법안에 따른 것이다. 예상대로 대기업 등기임원들은 수십억원대의 연봉을 챙겼다. 10대 재벌그룹 총수 중 가장 많은 액수의 보수를 받은 인물은 최태원 SK그룹 회장이었다. 최 회장은 지주사 C&C를 포함한 SK이노베이션, SK하이닉스, SK(주) 등 5개 계열사에서 지난해 모두 301억원의 연봉을 받았다.

드디어 공개된
등기임원 연봉

최 회장의 뒤는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이 이었다. 현대차, 현대제철, 현대모비스에서 모두 140억원을 받았다. 3위는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으로 한화케미칼, ㈜한화, 한화갤러리아, 한화엘앤씨 등에서 모두 131억원의 연봉을 받았다.

대한항공을 비롯한 4개 계열사에서 62억100여만원을 받은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은 4위에, ㈜CJ 등 5개 계열사에서 51억3000여만원을 받은 이재현 CJ그룹 회장은 5위에 이름을 올렸다.
6위는 롯데쇼핑 등 5개사에서 47억3000만원을 받은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7위는 ㈜LG에서 43억8000만원을 챙긴 구본무 LG그룹 회장, 8위는 효성에서 39억원을 받은 조석래 효성 회장, 9위는 GS와 GS건설에서 38억9000만원을 받은 허창수 GS그룹 회장이 차지했다. 10위는 ㈜두산에서 24억원을 받은 박용만 두산그룹 회장이었다.

재계 1위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은 아무 곳에서도 연봉을 받지 않았으나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 신종균 삼성전자 사장, 윤부근 삼성전자 사장이 각각 67억원, 62억원, 50억원의 연봉을 지급 받았다.

국민들은 수십·수백억원을 넘나드는 재벌그룹 오너의 연봉에 그리 놀라지 않았다. 충분히 예상한 금액이었기 때문이다. 국민들을 놀라게 한 인물들은 따로 있다. 이름도 생소한 중견기업 오너들이다. 기업 규모는 작지만 이들의 1년 수입은 대기업이 부럽지 않은 수준이다.

김형섭 전 평안엘앤씨 부회장은 총 201억9000만원의 연봉을 받았다. 평안엘앤씨는 아웃도어 브랜드 ‘네파’로 유명하다. 김 전 부회장은 지난해 평안엘앤씨에서 근로소득 27억7600만원과 기타소득 74억5700만원, 퇴직금 85억3600만원을 받았으며 계열사인 네파에서는 14억2800만원의 근로소득을 챙겼다. 김알버트해리 대표이사와 조재훈 대표이사는 각각 11억8800만원과 5억4400만원의 소득을 올렸다. 김 전 부회장은 지난해 12월 24년간의 경영활동을 마무리하고 일선에서 물러났다.

대기업 총수일가 안 부러운 중견기업 오너들
김형섭 네파 부회장 202억…재계 전체 2위

미국 밴더빌트대학교에서 MBA 학위를 받은 김 전 부회장은 1989년 평안섬유공업사(현 평안엘앤씨)에 입사해 캐주얼 브랜드 'PAT'와 함께 2005년 아웃도어 브랜드 '네파', 2008년 라이선스 브랜드 '엘르골프'를 성공적으로 런칭했다. 캠핑브랜드 '오프로드', 아웃도어스포츠 '이젠벅', 스타일리쉬 아웃도어 '엘르아웃도어', 유통 전문인 '세븐스마일즈'도 그의 손에서 탄생했다.

평안엘앤씨는 김 전 부회장의 조부인 고 김항복 창업주에 의해 설립됐다. 김 창업주는 '독립문' 메리야스로 기반을 다졌고, 그의 아들이자 김 전 부회장의 선친인 고 김세훈 회장은 'PAT'로 의류시장에 진출했다.
 

 icon_p.gif 
 ▲ 이완근 신성그룹 회장, 이익우 젬백스&카엘 대표, 전필립 파라다이스그룹 회장

항암백신을 개발하는 바이오업체인 젬백스&카엘의 이익우 대표는 총 81억7900만원을 보수로 받았다. 급여로 받은 1억원에 주식매수선택원(스톡옵션) 행사차익인 80억원을 더한 금액이다. 젬백스&카엘은 이 대표 외에도 김영희 이사와 서영운 이사에게 각각 32억9800만원, 5억6100만원 등 거액의 보수를 지급했다.

젬백스&카엘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클린룸 오염제거 사업을 벌였던 '카엘'을 모태로 한다. 한국줄기세포뱅크 오너인 김상재씨가 2008년 5월 코스닥 상장사인 카엘을 인수했고 다시 카엘은 2008년 10월 노르웨이 항암백신 개발 전문회사 젬백스 지분 100%를 인수하면서 사명을 젬백스&카엘로 변경했다. 젬백스&카엘은 항암백신 기술개발을 주 사업으로 하는 카엘젬백스, 의료관광 및 의약품 도소매 업체인 KSCB인터내셔널 등 자회사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한국줄기세포뱅크 지분율도 62.94%에 달한다. 

급여는 1억인데
스톡옵션은 80억

이 대표는 성균관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79년 효성물산 시애틀지사 대표이사, 96년 효성드라이비트 대표이사, 2002년 한국전화번호부 대표이사, 2007년 한국줄기세포뱅크 회장 등을 역임한 전문경영인이다. 젬백스&카엘 대표에는 2008년 올랐다.

위메이드 전 대표이사이자 자회사 조이맥스 이사에 올라있는 김남철 이사는 42억24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김창근 조이맥스 대표이사에게는 6억4400만원의 보수가 지급됐다. 지난해 위메이드 공동 대표이사였던 남궁훈 씨가 대표이사직에서 사임하면서 위메이드는 김 이사가 단독대표체제로 운영해오다가 지난달 말 장현국 위메이드 부사장으로 대표가 교체됐다. 위메이드는 '캔디팡' '윈드러너' 등 1000만 다운로드 게임 2개를 보유한 게임 회사다.

위메이드는 2000년에 설립, 지난 14년간 게임개발에 주력해 왔다. 이 회사에서 개발한 게임 '미르의전설2'는 현재 서비스 중인 국내 단일 게임 사상, 전 세계 누적 매출 최대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2012년에는 모바일게임 시장에 진출, 처녀작으로 '바이킹 아일랜드' '리듬스캔들' '카오스&디펜스'를 출시했고 '캔디팡'은 출시 20일 만에 1000만 다운로드를 돌파하면서 국내 모바일게임 시장에 돌풍을 몰고 왔다. 이어 지난해 1월 출시한 '윈드러너'도 12일 만에 1000만 다운로드를 돌파하며 최단기간 다운로드 기록을 갱신했다.

김 이사는 2002년 대만국립사범대를 졸업한 뒤 대만 마야온라인 부사장, 와이디온라인 대표이사를 역임했다. 2009년 12월부터는 위메이드 전략기획 및 게임 CRM 본부장(부사장)을 맡아오다 2011년 3월부터 조이맥스 대표직을 수행했다. 위메이드 대표에는 2011년 12월 올랐다.

반도체 제품 생산장비, 기계부품 및 부속품 제조·판매 업체인 비아트론의 김병국 전무는 지난해 총 35억96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급여 1억5000만원에 상여금 6500만원, 스톡옵션 33억8300만원, 기타 소득 30만원이 합산된 금액이다.

예상 빗나가지 않은
10대그룹 총수 연봉

전필립 파라다이스그룹 회장은 급여 9억6000만원, 상여금 24억원 등 총 33억6000만원을 받았다. 김홍창 대표이사는 급여 2억6500만원, 상여금 3억3500만원 등 총 6억9000만원을, 이혁병 대표이사는 급여 3억2300만원, 상여금 3억1400만원 등 총 6억3700만원을 수령했다.

파라다이스그룹은 ㈜파라다이스, 파라다이스산업, 두성, 극동정밀, 레데코 등 계열사 15개를 두고 카지노 운영과 호텔, 여행, 레저, 제조, 건설, 부동산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고 전락원 창업주에 의해 72년 설립된 파라다이스투자개발(주)을 모태로 하며 97년 사명을 현대의 파라다이스로 변경했다. 2002년 코스닥시장에 상장, 매매가 개시됐으며 전 회장은 2004년 창업자 사망 이후부터 그룹을 이끌고 있다. 현재는 일본 세가사미그룹과 합작을 통해 인천 영종도지역에 카지노 복합리조트 건립을 추진 중에 있다.

전 회장은 중앙대학교 경영학과와 미국 버클리대학교를 졸업하고 93년부터 95년까지 ㈜파라다이스 이사를 거쳐 기획조정실 전무, 파라다이스 대표이사 사장을 거쳐 2004년 대표이사 부회장에 올랐다. 회장에는 2005년 11월 공식 취임했다.

박상돈 코데즈컴바인 대표이사는 22억100만원의 연봉을 받았다. 박 대표가 받은 22억100만원은 전부 근로소득 명목으로 받은 급여로, 보수산정기준과 방법은 이사회 결정에 따랐다.

의류사업을 주요사업을 영위하는 코데즈콤바인은 원래 환경사업 위주 회사였다. 95년 세워진 ㈜윤디자인연구소를 전신으로 하며 설립 초기 하폐수 처리장치 개발 제조를 주요사업으로 했다. 2000년 ㈜씨투디투로 상호를 변경, 2년 뒤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icon_p.gif 
 

2005년 ㈜디자인쉬프트를 자회사로 추가, 그해 ㈜디앤에코로 상호를 변경했다가 2008년 ㈜예신피제이로 또 다시 상호를 변경하고 ㈜리더스피제이를 흡수 합병하면서 주요 사업을 패션의류 사업으로 전환했다. 이듬해 환경사업 부문 특허권을 ㈜바솔텍에게 양도하고 ㈜제이앤지산 지분 45%를 취득하면서 2010년 12월 지금의 상호로 변경했다.

남녀 캐주얼 의류 및 내의류 등을 제조 및 판매하는 패션의류 사업 외에도 팬시용품과 사무용품을 유통·판매하는 디자인 사업도 영위한다.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공동대표가 최대주주로 있는 안랩은 김홍선 전 사장에게 21억200만원의 보수를 지급했다. 김 전 사장은 급여 3억3000만원에 상여금 3억3000만원, 스톡옵션 10억8825만원, 퇴직금 3억5446만4000원을 받았다. 김기인 안랩 최고재무책임자(CFO)는 3억3095만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샐러리맨 신화' 주인공들
수억∼수십억 보수로 받아

안랩은 국내 보안 소프트웨어 대표주자다. 95년 서울 서초동 소규모 사무실에서 안철수 컴퓨터 바이러스 연구소라는 이름으로 출발, 2000년에 사명을 안철수 연구소로 변경했고 2004년 말 코스닥에 상장했다. 안랩이라는 사명을 쓰기 시작한 때는 2012년 2월이다. 컴퓨터 바이러스 백신 소프트웨어 'V3'로 잘 알려져 있다.

김 전 사장은 2008년 8월 안랩의 4대 CEO로 선임되어 지난해 12월 6개월여의 임기를 남긴 채 사임했다. 이와 관령해 일각에서는 안철수 신당에 합류하는 것 아니냐는 시각이 나왔고 김 전 사장은 "나는 뼛속까지 기업인이고, 사업이 재밌다"면서 "정계 진출은 사임 이유와 전혀 무관하며, 앞으로도 정계에 진출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논란을 일축한 바 있다. 안랩은 지난달 27일 주총에서 권치중 대표이사를 신규선임했다.

김 전 사장은 안랩 대표에서 물러난 후 언어문화봉사단 비비비코리아 이사를 맡고 있으며 지난달 21일 SK커뮤니케이션즈 주총에서 사외이사와 감사위원회 위원으로 신규 선임됐다.

이완근 신성그룹 회장은 지난해 3월 계열사인 우리기술투자 이사직에서 물러나면서 퇴직금을 합해 총 18억1600만원을 받았다. 3개월간의 급여는 1억원, 퇴직금만 17억1600만원이다.

신성그룹은 신성솔라에너지, 신성이엔지, 신성에프에이 등의 계열사를 보유한 태양광 전문기업이다. 77년 제습기와 냉동기를 생산하던 신성기업사(현 신성엔지니어링)를 설립, 조선용 냉공조설비의 수요 급증에 힘입어 회사를 성장시켰으며 80년대 초 국내 반도체업체의 규모 확대에 따라 '클린룸' 사업을 시작, 신성솔라에너지 기반을 닦았다. 이 회장은 지난해 3월 우리기술투자 대표에서 사임했다. 빈자리는 그의 아들 이정훈 대표가 채우고 있다.

터치패널기술 개발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모린스는 지난해 석송곤 회장에게 총 17억9300만원의 급여를 지급했다. 석 회장은 급여 10억원과 퇴직금 7억9300만원을 받았다. 진교영 사장은 급여 8000만원과 퇴직금 1400만원 등 총 9400만원을 받았고 남상욱 부사장은 급여 8000만원과 퇴직금 1900만원으로 9900만원의 보수를 챙겼다.

수십억은 기본
작은 고추가 맵다

모린스는 지난 2003년 설립, 휴대폰용 터치스크린 패널을 주력으로 생산하는 전자부품 제조사다. 2009년 코스닥시장에 상장, 첫해에만 매출액 868억원, 영업이익 145억원 등 설립 이래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터치폰 패널 공급을 모린스가 꽉 잡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2010년 스마트폰이 확산되고 대부분의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이 아이폰의 '정전용량 방식'을 채택하면서 모린스는 몰락의 길로 접어들었다. 경쟁업체와는 다르게 본인들만의 기술을 고집한 결과였다. 모린스는 지난달 28일 경영정상화를 도모하기 위해 대구지방법원에 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해 지난 2일 재산보전처분 신청과 포괄적금지명령신청에 대한 결정을 받은 상태다.

 

한종해 기자 <han1028@ilyosisa.co.kr>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