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닫은' 영등포교도소 '구구절절' 히스토리

한국뉴스

'문 닫은' 영등포교도소 '구구절절' 히스토리

일요시사 0 1728 0 0

▲ 영등포교도소 <사진=뉴시스>


육중한 철문 사이로 사연도 가지가지

[일요시사=사회팀] 영등포교도소(현 서울남부구치소)가 65년 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다. 서울 구로구 천왕동에 새 교정시설이 들어서면서 빈 건물로 남아있던 영등포교도소는 빠르면 이번 달 내로 철거가 진행될 예정이다. 한때 '민주화의 상징'으로 불리며 현대사의 영욕을 지켜봤던 영등포교도소. 우리 사회 한 단면을 거울처럼 비췄던 영등포교도소의 남다른 이력을 살펴봤다.

 icon_p.gif 

불의한 사회에 맞서 민주화를 외쳤던 운동가도, 불의한 정권에 빌붙어 사욕을 챙겼던 부역자도, 불의한 시대상에 분노하며 인질극을 벌였던 탈주범도 그곳에선 모두 수의를 입었다.

역사 뒤안길로

영등포교도소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다. 1941년 '부천형무소'로 문을 연 영등포교도소는 1961년 '부천교도소'로 시설명이 바뀌었다가 1968년 행정구역 변경으로 영등포교도소란 이름을 갖게 됐다. 1969년 영등포교도소 옆에는 영등포구치소가 들어왔다.

1980년 영등포교도소가 자리한 서울 고척동은 영등포구에서 구로구로 행정 관할이 바뀌었다. 그럼에도 영등포교도소란 명칭은 변함없었다. 2011년 5월 서울남부교도소로 개칭된 영등포교도소는 같은 해 10월 모든 수감자가 떠나면서 빈 시설이 됐다.

영등포교도소에 있던 수감자들은 구로구 천왕동에 새로 만들어진 교정시설(서울남부교도소)로 몸을 옮겼다. 규모 6만7696㎡ 부지에 수용동, 작업장 등을 갖췄던 영등포교도소는 지난날의 영욕을 뒤로하며 쓸쓸한 퇴장을 준비 중이다. 

높은 감시탑과 두꺼운 담장을 지나 교도소 내부로 진입하면 차가운 콘크리트 벽이 황량한 분위기를 더한다. 2011년까지 영등포교도소 내에는 교도소 14개 동과 구치소 42개 동이 있었는데 이중 교도소는 800여명을 구치소는 1500여명을 각각 수용했다고 한다. 또 감옥에 들어온 이들은 혼거실 또는 독거실에 배치됐는데 혼거실의 경우는 14m²의 방을 6∼16명이 같이 썼고, 독거실의 경우는 2m²의 방을 혼자 이용했다.

이들은 저마다 각기 다른 죄목으로 육중한 철문 속에 갇혔다. 원칙적으로 철문 밖의 세상은 이들에게 허락되지 않았다. 그러나 두꺼운 쇳덩이를 뚫고 나온 메시지는 어두운 세상을 비추는 횃불이 되기도 했다.

1987년 '6월 항쟁'의 도화선이 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은 영등포교도소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사건이다. 1987년 1월14일 서울대 언어학과 3학년에 재학 중이던 박종철은 당시 치안본부 대공분실 소속 수사관들에 의해 남영동 대공분실로 끌려갔다. 수사관들은 박종철의 선배인 박종운의 소재를 추궁하며 10시간 넘게 폭행·고문을 자행했다. 박종철은 전기고문에 이어 물고문을 받다가 끝내 숨을 거뒀다. 그의 나이 스물 셋이었다.
 

 icon_p.gif 
▲ 영등포교도소 조감도

그러나 군사정권은 한 대학생의 억울한 죽음을 은폐하려 했다. 당시 강민창 치안본부장은 "탁 치니 억 하고 죽었다"는 해명으로 공분을 일으켰다. 또 사건 진상은 축소 발표됐다. 5명이던 범인이 2명으로 왜곡됐다. 그러나 진실은 숨길 수 없는 법. 남은 3명의 범인을 처음 알린 곳이 바로 영등포교도소다.

당시 시국사건으로 투옥 중이던 이부영 새정치민주연합 상임고문은 박종철을 숨지게 한 수사관이 3명 더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이는 영등포교도소에 근무하고 있던 한 교도관이 일러 준 것이다. 충격적인 사실에 이 고문은 급히 메모도구를 찾았다.

이때 말없이 펜을 건넨 이가 이 고문을 감시했던 교도관이다. 이 고문이 작성한 메모는 재야 민주화 인사인 김정남(후일 청와대 비서관)씨에게 넘어갔다. 삼엄한 경계를 뚫고 이 고문의 메모를 담장 밖으로 넘긴 '밀사'도 있었으니 그 역시 전직 교도관이었다.

이처럼 교도관들의 용기 있는 행동이 아니었다면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의 진실은 아직까지 미제로 남아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들은 정의의 편이었고, 5월18일 역사적인 추모 미사에서 전두환정권의 맨 얼굴이 드러났다. 성난 여론은 들불처럼 번져 거리를 가득 매웠다. 전두환정권은 결국 항복을 선언했다.

이후 영등포교도소는 민주화의 상징과도 같은 장소가 됐다. 앞서 유신정권에 맞서 '민주주의'를 외쳤던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은 긴급조치 1호 위반 사건의 첫 피고인으로 영등포교도소에 갇혔다. 김지하 시인과 함세웅 신부, 민청학련 사건 관련자들도 영등포교도소를 거쳐 갔다. 1986년 민청련 사건으로 실형을 선고 받은 김근태 전 민주당 상임고문은 영등포교도소에 투옥됐다.

서울구치소에서 영등포교도소로 이송된 김 전 고문은 고문기술자 이근안의 고문으로 온몸이 만신창이였다. 치아가 흔들려 음식을 제대로 먹지 못했으며, 똑바로 서 있기조차 힘들 정도로 심각한 후유증에 시달렸다고 한다.

우연인지 필연인지 김 전 고문을 악랄하게 고문했던 이근안은 2000년 10월 김 전 고문이 투옥됐던 영등포교도소로 이송돼 7년간 옥살이를 했다. 이근안은 수감생활 중 교도소 내 두부공장에서 일했는데 자신에게 중형이 내려진 것을 매우 못마땅하게 여겼다고 한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두부공장에서 그의 특기인 '관절뽑기'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1989년 6월 머리가 벗겨진 한 사내가 영등포교도소로 들어왔다. 전두환 전 대통령의 동생 경환씨였다. 그는 새마을운동본부 회장으로 있으면서 공금 70억원을 횡령하는 등 부정부패를 저질러 이른바 '범털'이 됐다. 경환씨는 교도소에서 화초에 물을 뿌리는 편한 일만 하다가 3년여 만에 가석방으로 풀려났다. 경환씨가 받은 징역은 7년이었다.
 

 icon_p.gif 
▲ 영등포교도소 <사진=뉴시스>

비슷한 시기 경환씨처럼 징역 7년을 선고 받은 한 사내가 있었다. 그에게는 보호감호 10년까지 더해졌다. 탈주범 지강헌. 그는 556만원을 절도한 혐의로 경환씨와 같은 징역형을 받았다. 1988년 10월 영등포교도소에서 공주교도소로 이송되던 지강헌은 다른 재소자와 함께 탈주를 감행했다.

하지만 지강헌이 꿈꾸던 '할리데이'는 그리 길지 못했다. "유전무죄 무전유죄"라는 절규가 전파를 타고 대한민국 전역에 생중계됐다. 몇 발의 총성, 지강헌은 숨을 거뒀지만 그가 남긴 세기의 명언은 온 국민의 가슴을 울렸다. 안타깝게도 지강헌의 절규는 영등포교도소가 사라지고 있는 지금 시점에도 제법 유효한 듯 보인다.

민주화의 상징

영등포교도소 인근에는 아이들이 다니는 학교가 있다. 봄이면 살랑살랑 학생들의 웃음소리가 끊이지 않았다고 한다. 이제 곧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영등포교도소. 그 터에 아이들이 볼 수 있도록 작은 비문 하나 남겨두면 어떨까. 여기 정의가 있었노라고.

 

강현석 기자 <angeli@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영등포구치소 거친 범털은?

형이 확정된 수형자가 머무는 곳은 교도소, 형이 확정되지 않은 미결수가 머무는 곳은 구치소다. 영등포구치소에는 정치인부터 연예인까지 다양한 인물이 오고 갔다.

먼저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른바 '서울대 522' 사건에 연루, 영등포구치소에 수감된 전력이 있다. 또 이광재 당시 민주당 의원은 2009년 정치자금법 위반 등 혐의로 영등포구치소에서 옥살이를 했다.

세기의 스캔들로 화제를 뿌린 신정아씨와 변양균 전 청와대 정책실장 역시 영등포구치소로 나란히 수감돼 이목을 집중시켰다. 태광그룹 이호진 회장도 영등포구치소 출신이며, 방송인 신정환, 이성진 등도 각각 위법 행위로 영등포구치소에 갇힌 경험이 있다. <석>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