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의 에볼라 바이러스 '오해와 진실'

한국뉴스


 

<와글와글NET세상> 공포의 에볼라 바이러스 '오해와 진실'

일요시사 0 1020 0 0
▲ 인천공항 검색대의 적외선 사진 <사진=뉴시스>












대재앙 징조…걸리면 죽는다?


[일요시사=경제팀] 한종해 기자 = 지구촌이 공포에 떨고 있다. ‘걸리면 죽는다’는 에볼라 바이러스 때문이다. 뚜렷한 치료법도 없어 인류에 대재앙이 오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여기에 인터넷은 확인되지 않은 정보가 무차별적으로 확산되면서 시간이 갈수록 들끓고 있다.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짚어봤다.

 icon_p.gif 
 
기니와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등 서아프리카에서 창궐한 에볼라 바이러스가 우리나라를 비롯한 지구촌을 공포로 몰아넣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마거릿 챈 사무총장은 “에볼라 확산 속도가 통제 수준을 넘어섰다”며 “인명피해는 물론 사회경제적 혼란의 위험이 크다”고 경고했다.

“통제 넘어섰다”
 
<월스트리트저널>도 미국질병예방센터(CDC)의 발표를 인용해 “앞으로 3~6개월간 바이러스 확산을 막지 못하면 대재앙이 올 수 있다”고 경고했으며 <뉴욕타임스>는 “아프리카 지역이 극도의 공포 속에 있다”며 “기니 일부 주민들은 감염경로 차단을 위해 ‘정글칼’로 무장하고 과학자들의 접근조차 막고 있다”고 보도했다.
 
WHO에 따르면 지난 3월 이후 지금까지 서아프리카에서 1440명이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됐고 이 가운데 826명이 숨졌다.
 
세계 각국은 여행 자제를 권고하며 확산 방지에 주력하고 있다. 에볼라 바이러스가 창궐하고 있는 기니와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3군의 접경지역에 격리 구역을 설정,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에볼라 사태가 일파만파로 커지고 있는 가운데 외신들은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이해를 돕는 정도를 제시했다. 다음은 에볼라에 대한 오해와 진실이다.
 
치료제 전무…임상실험 내년 상반기
생존 위해선 초기 탈수 막는 게 핵심
 
- 에볼라는 처음 어떻게 발병했나.
▲정확한 기원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WHO에 따르면 아프리카에서 주로 서식하는 과일박쥐가 처음 바이러스를 옮겼고 이후 침팬지나 고릴라, 박쥐 등의 소변·혈액·침 등 체액을 통해 사람에게 전이된 것으로 파악된다.
 
- 공기를 통해 감염될 수 있나.
▲공기가 아닌 감염자의 체액을 통해서만 전염된다. 환자의 혈액이나 땀, 배설물, 침과 같은 체액과 직접 접촉을 하지 않는 이상 일상생활에서는 감염될 가능성이 크지 않다. 다만 환자의 기침을 통해 침이 다른 사람의 상처나 호흡기, 눈 등을 통해 몸속으로 들어간다면 전염될 수 있다. 환자가 입었던 옷이나 침구류, 사용했던 주사바늘 등을 통해서도 감염이 가능하다.
 
- 증상은 어떠한가.
▲초기 증상은 갑작스런 고열·두통·근육통·목감기 등으로 말라리아·장티푸스·콜레라 등 다른 질병의 증상과 비슷하다. 이후 구토·설사·발진·출혈 등의 증세를 보이다가 신장·간 등 장기에 치명적 손상을 입히고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른다.
초기 증상이 다른 질병과 비슷해 감염 여부를 즉각 알아채기 어렵다. 현재는 진단검사를 거쳐야 정확한 감염 여부를 알 수 있다.
 
- 감염 후 증상이 나타나기까지 얼마나 걸리나.
▲과거에는 바이러스 잠복기가 2~21일 정도였으나 최근에는 잠복기가 4~6일 사이로 바뀌로 있다.
 
- 확산 가능성은 얼마나 되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실을 모른 상태에서 다른 국가행 비행기에 오를 경우 확산될 수 있다. 바이러스가 나이지리아로 확산된 것이 대표적인데 에볼라에 감염된 라이베리아 공무원이 지난달 20일 나이지리아 라고스로 향하는 비행기를 탔고 그는 5일 후 사망했다.
 
- 치사율 90%, 사실인가.
▲에볼라 바이러스 치사율은 최고 90%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서아프리카 3국 보건 당국은 에볼라에 감염됐다가 살아난 환자도 있다며 현재 치사율은 70% 정도라고 주장하고 있다. 생존자들은 공통적으로 발병 즉시 병원을 찾아 탈수를 막는 치료를 받았다는 게 보건 당국의 설명이다.
 
체액 외에도 옷·침구류 통해 전염
인터넷에 미확인 정보 무차별 확산
 
- 치료 방법이 있나.
▲현재까지는 없다. 환자의 탈수를 막기 위한 수액치료가 전부다. 캐나다 국립미생물연구소(NML)가 항체 칵테일 약물을 개발 중이지만 임상실험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미국 샌디에이고에 기반한 제약사 맵과 캐나가 생명과학업체 데파이러스도 백신의 동물실험을 진행 중이지만 사람을 대상으로 한 안정성 테스트는 내년 상반기 중에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 텍미라도 미국 국방부 지원을 받아 백신의 임상실험에 들어간 적이 있지만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안전성 등의 이유를 들어 실험을 중단시켰다.
 
우리나라 보건 당국은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해 “치사율이 높은 위험한 질환이지만 차단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국내 유입 상황에 철저히 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는 “에볼라 출혈열은 치사율이 25~90%에 이르지만 바이러스 전파력이 약해 2009년 신종인플루엔자처럼 전 세계적으로 대유행할 가능성은 극히 낮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누리꾼들은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못 믿겠다”는 것. 아이디 hait****은 뉴스 댓글에서 “장담하지 마라. 에볼라 바이러스가 얼마나 무서운 놈인데, 난 못 믿음. 구제역 번지는 것도 못 막으면서”라고 적었다.
 
아이디 mari****은 “증상 나오기 전에 잠복기에 옮기고 다니면 환자인 줄도 모르는데 어떻게 피하라는 건지. 그리고 에볼라가 쉽게 전염되지 않는다고 했는데 에볼라가 소설이나 영화로 만들어진 것은 백신도 치료법도 없고 증상이 무서운 것에 비해 전염이 비슷한 치사율의 다른 병에 비해 쉽기 때문에 공포스러워서 소설로 다뤄지고 했던 것 아닌가. 잠복기 환자가 옮기는 것에 대한 대책을 좀 내놓으라고! 어차피 발병하면 피 줄줄 쏟아서 그 사람 외출도 못해. 우리가 다 바보인 줄 아나”라는 의견을 게재했다.

“정부 못 믿겠다”
 
아이디 김대*은 “굉장히 쉽게 말한다. 이야기한 것만 보면 손을 잡아도 뭘 해도 거의 괜찮다 이건데 그렇게 간단하고 쉬운데 방호복까지 입고 중무장한 사람들이 전염되나? 잠복기에 증상이 미미해서 잘 나타나지 않는다면 더 주의해야 하지 않아? 표시도 잘 안나는 미미한 증상으로 3주나 돌아다니면서 사방에 전염시켜 놓으면 어쩌려고? 이것도 안전 불감증 맞지?”라고 전했다.
 
아이디 zlzl****도 “제발 에볼라만큼은 정부가 관리 철저히 해서 입국금지도 시키고 검열도 철저히 해주시길. 진짜 남이 걸린 전염병 따위로 옮아 죽고 싶은 마음은 없어요”라고 토로했다.
 
 
<han1028@ilyosisa.co.kr>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