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YJ콘서트 ‘티켓 사기’ 의혹

한국뉴스

JYJ콘서트 ‘티켓 사기’ 의혹

일요시사 0 1439 0 0

▲ 공연중인 JYJ <사진=뉴시스>


로열표 샀는데…12만원짜리 구석자리

[일요시사 사회팀] 강경식 기자 = 지난달 잠실종합운동장에서 열린 JYJ의 콘서트에 대한 관객들의 분노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공연기획사와 티켓판매처로부터 사기를 당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열성팬들마저 등을 돌리고 있고, 일부 피해자들은 아예 단체를 만들어 공식적인 항의를 하는 등 파문이 커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JYJ 공연기획사인 CJES와 입장권 판매 대행사 인터파크는 사태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번에 문제가 된 JYJ 잠실공연은 일정이 발표되자마자 열성팬들의 큰 기대를 모았다. 실제로 예매 시작 20분 만에 1차 티켓 2만장이 매진됐고, 공연 당일에는 3만명이 넘는 팬들이 잠실종합운동장을 가득 메웠다.

 

“팬들 바보 취급”

 문제는 입장권 판매 대행사인 인터파크가 제공했던 좌석 위치와 실제 공연장의 좌석 위치가 달라서 12만원을 주고 로열석 표를 구매한 1600명의 팬들이 공연 당일에는 구석자리에서 공연을 관람하게 되면서 발생했다.

 당시 공연장은 전면에 대형 본무대가 자리했고 무대 중앙으로부터 우측과 좌측에 돌출무대를 설치해서 공연장을 삼분하는 형태로 배치되었다. 그런데 이 돌출무대가 당초보다 길어지면서 VIP석을 구입한사람은 R석으로, R석을 구입한 사람은 더 구석진 S석의 위치로 밀려나는 상황이 벌어졌다. 물론 사전 고지는 없었다.

 이로 인해 비싼 돈을 주고라도 무대 가까이서 JYJ의 공연을 보고자 했던 사람들은 구석으로 밀려났고, 비싼 돈을 주고 구석자리에서 공연을 지켜봐야 하는 일이 발생한 것이다. 당초 VIP석이나 로열석을 구매한 인원은 1600명. 이들이 일반석보다 더 비싼 돈을 주고도 가장 구석자리에서 공연을 관람한 피해자들이다.

 이들 1600명은 공연시작 전에 좌석배치를 놓고 주최사인 CJES에게 항의했으나 아무런 조치를 받지 못했다. 결국 공연은 기이한 좌석배치 상태에서 마무리되었고 공연직후 팬들의 항의가 CJES에 빗발쳤다. 게다가 사전공지 없는 좌석변경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었다. 지난 8월의 팬 미팅과 2011년 부산 콘서트에서도 CJES가 마음대로 좌석 배치를 조정해서 원성을 산 바 있었다.

 JYJ의 열성팬 김 모양은 “JYJ를 사랑하지만 이런 식으로 대접하는 것은 참을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가장 비싼 VIP티켓을 샀는데 가장 나쁜 자리를 주는 것은 팬 서비스가 아니라 팬을 바보 취급하는 것이다.

 이들 팬들은 불만을 토로하는 데 그치지 않고 ‘JYJ콘서트 12구역 피해자 모임’을 만들어 단체행동에 나섰다. CJES의 부당한 조치에 대해 내용증명을 보내는 것은 물론 한국소비자원 에 피해구제를 신청했다.

 이러한 팬들의 단체행동에 CJES와 인터파크는 크게 당황을 했지만 대응은 안일했다. 공연당시 항의하는 관람객들에게 “추후 팬들과 문제해결을 위한 자리를 마련하겠다”고 달래 놓고 막상 피해자들이 접촉을 시도하자 해외출장을 핑계로 접촉 자체를 회피했다. 인터파크의 대응 또한 문제가 있었다. 인터파크 측은 “CJES 측이 간이의자를 제공했기 때문에 보상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결국 피해자들은 주최사와 판매대행사 모두에게 외면을 받은 것이다.

 

당초 공지한 좌석위치 달라 1600명 피해

주최사-입장권 대행사 서로 책임 미루기

 두 회사로부터 납득할 수 없는 대우를 받은 피해자들의 분노는 극에 달하고 있다. 공연이 끝나고 보름이 넘도록 아무런 대책도 내놓지 않고 있는 CJES 측은 물론 ‘간이의자를 제공했으므로 문제될 게 없다’는 인터파크의 태도가 이들의 화를 키운 것이다. 피해자 중 한 사람인 최 모 양도 “인터파크나 CJES가 모두 한통속이다. 사기로 티켓을 팔아 놓고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다”며 분개하고 있다.

 팬들의 분노는 이후 자신이 좋아하는 연예인인 JYJ에 대한 원망으로 이어졌다. 파문이 확산되면서 ‘안티 JYJ’가 늘어난 것이다. 

 사태가 점점 심각해지자 CJES는 그제서야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입장을 밝혔다. CJES는 공지문을 통해 “일단 사건의 책임은 모두 주최측(CJES)에 있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입장권 판매 당시 좌석배치도 하단에 ‘연출상 무대의 모양 및 크기가 변동될 수 있다’고 명시한 만큼 좌석 이동 부분은 큰 문제가 없으며, 오히려 더 좋은 자리로 배치했다”는 주장을 폈다.

 CJES 측은 이 공지문을 통해 사태가 잠잠해지길 기대했으나 오히려 역효과가 났다.

 피해자 모임은 “CJES가 문제의 핵심은 언급하지 않고 조잡한 변명만 늘어놓고 있다”고 반발하고 나섰다. 본무대를 가까이서 볼 수 없는 자리로 옮겨 놓고서는 더 좋은 자리를 준 것처럼 포장하는 것이 또 다시 팬들을 기만한 행위라는 것. 

본지가 취재에 나서자 CJES 관계자는 “바깥쪽에 있어야 하는 싼값의 좌석이 비싼 자리보다 안쪽으로 들어오게 된 부분은 사실”이라고 인정했다. 그러나 “주최측이 자의적으로 잘못된 좌석 배치도를 공개했거나 현장을 운영한 것은 아니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에 대해 피해자들은 “아직도 CJES가 팬들을 바보취급 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CJES의 주장대로라면 싸게 표를 구매한 사람들에게 혜택을 주려고 비싼 돈을 주고 표를 산 사람들을 구석으로 보낸다는 게 어떻게 납득가능한 해명이냐는 것이다.

 해명마다 팬심을 자극한 CJES에 대해 피해자모임은 “이번 사기사건에 대해 CJES의 잘못을 끝까지 바로 잡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JYJ를 사랑하는 것이지 CJES를 사랑하는 것이 아니며, 이렇게 부당한 대접을 받고도 넘어가면 앞으로도 말도 안 되는 대접을 받을 게 분명하다는 것이다. CJES가 합당한 피해보상과 변명이 아닌 진심어린 사과를 할 때까지 모든 방법을 동원하겠다는 입장이다.

궁색한 변명만

 이렇듯 파문이 점차 확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CJES는 이번 사태에 대한 피해자들의 보상조치를 내놓지 않고 있다. 오히려 공연 당시 상황을 3D시뮬레이션을 통해 구현하여 그 결과를 소비자원에 제출함으로써 판매된 입장권이 정당한 입장권이었음을 입증하겠다는 것이다. 결국 JYJ를 사랑한 팬들과 JYJ를 관리하고 있는 소속사의 분쟁은 쉽게 마무리되지 않을 전망이다.

 한편, 피해자 모임에는 가입하지 않았지만 당시 공연을 관람했던 김모양은 “JYJ 오빠들이 소속사를 설득하거나 직접 상처받은 팬들을 보듬어주는 행동을 했으면 좋겠다”며 아쉬움을 토로하고 있다.

 

<liebend@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콘서트 티켓 사기 기승

 

콘서트 티켓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대구 동부경찰서는 지난달 13일 도박자금 마련을 위해 아이돌그룹 팬들을 상대로 콘서트 티켓 판매사기를 벌인 혐의(사기)로 이모(25)씨를 구속했다. 이씨는 지난 2월부터 최근까지 인터넷 중고거래 사이트를 통해 “엑소(EXO) 콘서트 티켓을 판다”며 10대 소녀들을 상대로 사기 행각을 벌인 혐의를 받고 있다.

 안산단원경찰서도 최근 유명 아이돌 가수의 콘서트 티켓을 싸게 판다고 속여 돈을 받아 챙긴 혐의(사기)로 임모(19)씨를 구속했다. 임씨 역시 지난 5월부터 최근까지 인터넷 포털사이트 등에 엑소(EXO)와 지오디(god) 등 인기가수 콘서트 티켓을 싸게 판다는 게시글을 올려 청소년 등 85명으로부터 1인당 10만∼50만원씩 돈을 입금받는 등 모두 1800만원을 받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지난 7월엔 콘서트 티켓 사기를 친 20대에 실형이 선고되기도 했다. 서울북부지법 형사7단독은 포털사이트 중고물품 거래 카페에서 아이돌그룹의 콘서트 티켓을 판매한다며 인터넷에서 상습적으로 사기를 친 혐의(사기 등)로 기소된 김모(20)씨에 대해 징역 10월을 선고했다. <식>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