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 보는 한나라당 ‘7·4 전당대회’ 막후

한국뉴스


 

미리 보는 한나라당 ‘7·4 전당대회’ 막후

일요시사 0 2319 0 0
‘킹메이커’ 적임자 “바로 나요~ 나~”

지난달 25일 한나라당 비상대책위는 의원총회를 개최, 다가오는 전당대회 ‘룰’을 논의했다. 그 결과 ‘7·4 전당대회’는 현행 당헌·당규를 적용하되 선거인단 규모만 대폭 늘리는 선에서 치러질 예정이다. 이제 ‘룰’과 ‘일정’은 결정 났다. 당권장악을 노리는 이들은 저마다 각자의 필승카드를 가다듬으며 경선 승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속속 들려오는 거물들의 불출마 소식에 전에 없이 싱거운 정당대회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지만 내년 총선과·대선을 앞두고 ‘킹메이커’의 자질을 갖춘 ‘관리형 대표론’이 대두돼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내년 총선·대선 앞두고 ‘관리형 대표’ 예상
대선 주자급 후보들 줄줄이 불출마 선언

한나라당 비대위가 지난달 25일 의원총회에서 공개한 당헌 개정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대권·당권 분리 개정 여부에 대한 찬반 의견이 각각 50.9%, 47.3%로 ‘현행 유지’ 의견이 근소하게 앞섰다.

또한 대표·최고위원 분리 선거에 대해서도 ‘현행 유지’(60.0%) 의견이 ‘분리 선출’(38.2%)을 크게 웃돌았다. 선거인단 확대 규모는 ‘책임당원 14만명 수준’(44.7%)이 ‘유권자의 0.6%인 23만명’(30.1%)로 앞질렀다.

이는 지난달 19일 박근혜 전 대표와 황우여 원내대표 간의 회동에서 나온 결과와 일치해 주목을 끌고 있다.

당권·대권 분리 현행유지

정의화 비대위원장은 의원총회 후 기자들과의 오찬에서 “당권·대권 분리 규정은 바뀔 가능성이 없어 보인다”면서 “‘분리하자’는 의견이 70∼80%는 나와야 가능할 텐데 ‘분리 51% 대 통합 47%’로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비대위원인 한 의원도 “설문조사 결과대로 가닥이 잡혀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결국 전대 경선룰 중 가장 논란이 돼온 ‘대권·당권 분리 규정’이 현행대로 유지됨에 따라 대권주자를 노리는 이들의 전원 불참 전망이 ‘기정사실화’ 되어가고 있다.

박 전 대표는 그간 ‘대권·당권 분리 규정’ 현행유지 자세를 굳건히 지켜며 당대표 출마 의사가 없음을 확실히 피력했었다.

이재오 특임장관 역시 “비대위 결정과 상관없이 지도부 경선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 밝히며 불출마를 선언했다. 이 장관의 이러한 ‘장관직 사퇴-당 복귀’ 행보는 지난 2008년과 비슷한 양상이다. 총선을 앞두고 당내 갈등이 심해지자, ‘토의종군(土衣從軍, 백의종군보다 더 낮은 자세로 임하겠다는 뜻)’을 선언한 바 있다.

이 장관의 한 측근은 “이 장관은 지금 자신이 또 다시 한 번 토의종군 해야 할 때라고 생각하고 있다”며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당분간 물 밑에서 정치행보를 계속할 것임을 강조했다. 하지만 정치권에서는 이 장관이 당대표 대신 대선 후보 출마로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보는 시각이 크다.

당헌 개정을 통해 이번 경선에 출마해 입지를 다지고자 했고, 최근 ‘전략적 연대’를 형성한 정몽준 전 대표와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박 전 대표와 이 특임장관의 불출마가 기정사실화되자 조심스런 행보를 보이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실세들이 당 전면에 나서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던 이들은 경쟁자들이 움직이지 않는 상황에서 섣불리 앞서 나갈 경우 뜻하지 않은 후폭풍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당대표를 찍고 대권을 노렸던 정 전 대표는 “박 전 대표는 한나라당의 큰 자산이지만, 동시에 아주 큰 ‘그늘’이다”며 “박 전 대표는 본인이 (당헌을) 만들었다고 해서 고치려 하지 않는데, 상식에 어긋나면 바꿔야 되는 것 아니냐. 박 전 대표가 너무 세다.”고 비난했다.

한편 정두언 전 최고위원도 4·27 재보선 패배의 책임을 지고 물러난 만큼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 담아야 한다”며 “전당대회에 출마하지 않고 백의종군 하겠다”고 불출마 의사를 공식 선언했다. 정 전 최고위원이 소장그룹의 분열을 막기 위해 ‘자기희생적 결단’을 한 측면이 강하지만, 소장그룹 내 후보를 당선시키기 위한 정략적 측면도 적지 않아 보이는 대목이다. 그는 소장그룹 내 후보 중 한명인 남경필 외교통상통일위원장을 지원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같이 유력한 당권주자들의 연이은 불출마 소식에 최근 여러 후보들이 새로 거론되고 있다. 홍준표, 나경원 전 최고위원과 김무성 전 원내대표는 높은 인지도와 검증된 지도력을 바탕으로 당권에 도전할 것으로 보이며, 쇄신론을 주장하고 있는 소장파 남경필 위원장과 원희룡 전 사무총장도 당권에 도전할 것으로 예측된다. ‘정치 1번지’인 종로에서 3선을 하고 ‘수도권 대표론’을 설파하고 있는 박진 의원과 친박계의 유승민 의원도 출마의지를 피력했다.

소장파의 리더격인 남 위원장은 원내대표 경선 때 공개적으로 지지했던 황우여 원내대표가 당선됐고 최근 정두언 전 최고위원의 지원을 받아 다소 유리한 입지를 선점한 것으로 풀이된다.

친이계 내부에서는 계파별로 갈리는 양상이다. 친이재오계는 김무성 전 원내대표를, 친이상득계는 원 의원을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번 전대의 키는 친박계가 쥐고 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친박계가 유 의원과 함께 누구를 지원할 것인지가 주요 관전 포인트로 꼽히는 대목이다.

‘킹메이커’ 자질론 대두

한나라당 한 보좌관은 “대권주자군과 당권주자들 모두 반드시 당선 되겠다는 입장보다는 자신의 입지를 높여 차차기를 노리는 경향도 없지 않다”며 “다만 내년에 큰 선거가 겹치는 특성상 이번 당 대표는 ‘킹메이커’로서의 자질 여부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기준으로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대형 선거를 앞둔 만큼 ‘관리형 당 대표’가 주요 선정 포인트가 될 것이란 얘기다.

실제로 지난달 말 “지금은 ‘박근혜 시대’”라며 “나는 박 전 대표의 보완재이지, 대체재가 아니다”고 말한 홍준표 전 최고위원은 공개적으로 박 전 대표의 ‘킹메이커’를 자청하고 나서 앞으로의 귀추가 주목된다.

한편 한나라당의 한 관계자는 “당 대표 경선은 계파간 ‘대리인’을 앞세운 경쟁이 될 수밖에 없고, 선출된 대표 역시 관리형으로 힘을 쓰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한 달여 남짓 남은 한나라당 ‘7·4 전당대회’에서 누가 당권을 잡고, 대권 재창출의 문을 열어젖힐지 그 결과가 주목된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