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외환 통합 남겨진 숙제

한국뉴스


 

하나-외환 통합 남겨진 숙제

일요시사 0 769 0 0

하나로 합쳤지만 ‘갈길 멀다’

[일요시사 경제팀] 박호민 기자 =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이 통합했다. 지난해 7월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이 취임한 후 1년간의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것이다. 하나·외환은행의 통합은 시장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남은 과제를 <일요시사>에서 정리했다.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의 통합은 은행업계의 지각변동을 예고했다. 자산 171조3000억원을 갖고 있는 하나은행과 118조7000억원의 외환은행 간의 통합으로 새로운 업계 1위(자산 기준)은행이 출범하기 때문이다. 시장에서는 새로운 메가뱅크의 등장에 우려와 기대를 동시에 나타냈다.

메가뱅크 등장 
우려반 기대반

하나·외환은행이 통합을 성사시키면서 몸집을 키웠지만 하나의 은행으로서 제 역할을 하기까지는 수익구조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 업계의 대체적인 평가다. 전통적으로 은행업계의 기준은 빅3(국민, 우리, 신한)였다. 하나·외환은행 통합 전까지 국민은행은 전통적 빅3 가운데 자산규모가 가장 큰 은행이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2014년 말 기준 275조4455억원 수준으로 2011년 259조원, 2012년 261조원, 2013년 265조원 등 꾸준히 덩치를 키워가고 있었다. 그 뒤를 우리은행이 바짝 ?는 모양새였다. 우리은행의 2014년 자산총계는 270조1517억원으로 집계됐다. 우리은행 역시 꾸준히 외형을 키웠다.

특히 지난해에는 2013년 말(250조원)보다 20조원 성장하면서 1위 국민은행의 자리를 넘보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신한은행은 지난해 말 기준 255조6339억원으로 집계됐다. 신한은행 역시 2011년 232조원, 2012년 237조원, 2013년 238조원 등 꾸준한 성장세를 나타냈다. 이제 하나은행이 통합을 통해 기존 빅3보다 많은 자산을 보유하면서 빅4시대가 열리게 됐다.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이 합쳐지면 총 자산규모 290조원으로 국민은해의 자산규모 275조원을 넘어서는 것이다. 당기순이익도 두 은행을 합치면 지난해 기준 1조2300억원을 기록해 신한은행(1조4552억원)에 이어 2위다.

1년 진통끝 극적 타결…풀 과제 산적
수익구조부터 전산망까지 ‘언제하나’

다만 빅3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약한 이미지를 어떻게 극복할지가 하나·외환은행에 과제로 던져졌다. 하나은행은 그동안 업계 4위의 자산 규모를 갖추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시장 지배력을 나타내는 데는 애를 먹는 모양새였다. 수치상으로 순이자마진(NIM)의 하향 곡선이 이를 방증했다. 지난해 3분기 1.49%였던 하나은행의 NIM은 4분기 1.47%, 올해 1분기 1.39%를 기록하며 상위 6개 은행 가운데 가장 낮은 NIM을 기록했다. 외환은행의 경우 이 기간 가파른 하락세를 기록하며 시장 지배력이 약해지고 있음을 드러냈다. 외환은행은 지난해 3분기 2%에서 4분기 1.88%, 올해 1분기 1.48%로 하락폭이 상위 6개 은행 가운데 가장 컸다.

하나·외환은행은 합병 시너지를 통해 업계의 강자 이미지를 구축해나갈 방침이다. 프라이빗뱅커(PB)에 강한 하나은행과 외환금융에 강한 외환은행이 합쳐졌을 때 시장의 ‘니즈’를 충족 시킬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는 생각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통합의 성패 요인으로 화학적 통합을 꼽았다. 화학적인 통합의 성공 여부에 따라 하나·외한은행의 경쟁력에 큰 차이를 보일 것으로 관측되기 때문이다. 특히, 시중은행 가운데 가장 기업문화가 가장 이질적인 두 은행간 결합이라 업계는 주목하고 있다. 양 은행은 출발부터 다르다. 하나은행의 경우 1971년 소규모 금융회사인 단자회사였던 한국투자금융에서 만들어졌다. 

화학적 통합
시너지 관건

반면, 외환은행의 경우 1967년 국책은행으로서의 지위로 시작했다. 1989년 한국외환은행법 폐지로 시중으로 신분이 바뀌기는 했지만 외환거래에서 만큼은 확고한 자기 영역을 구축한 은행이다. 국책은행 출신과 단자회사 출신이라는 점에서부터 양은행간 충돌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것이 업계의 진단이다.

양 은행간 화학적 통합에 가장 큰 걸림돌은 임금격차다. 지난해 외환은행의 연간급여는 1억5000만원, 하나은행은 7300만원으로 피인수자인 외환은해의 급여가 압도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이는 하나은행과 외환은행 통합 과정에서 갈등을 빚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향후에도 이같은 문제는 언제든지 돌출할 수 있다.

외환은행 직원들의 임금이 향후 몇 해간 동결될 전망이기 때문이다. 또한 승진 분위기도 확연히 차이가 난다. 하나은행의 경우 자리가 없으면 승진이 유보되는 경우가 많은 반면, 국책은행이었던 외환은행은 일정 연차가 되면 자연스럽게 승진하는 문화가 있다. 실제 이같은 승진 분위기는 양 은행의 행원과 책임자의 숫자를 확인해 보면 알 수 있다. 외환은행은 행원이 1500명, 책임자가 3600명으로 책임자가 행원보다 두배 이상 많은 역피라미드형 조직구조를 가지고 있다. 반면 하나은행은 책임자 3500명, 행원 4000명으로 피라미드형 조직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같은 조직문화를 이해하고 정착시키기 위한 양행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외형통합 해결…내부통합 시작
출신성분·사내문화·임금 달라

하나금융지주도 화학적 통합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모습이다. 우선 하나금융은 임금 및 복지후생 체계에서 기존 근로조건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겠다는 원칙을 밝혔다. 인수자 하나금융 측의 배려가 엿보이는 대목이다. 하나금융은 또 통합 후 은행 사명에 ‘외환’이나 외환은행의 영문약자인 ‘KEB’를 넣도록 해 외환은행 측의 자존심을 세웠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인수자가 피인수자의 사명을 유지하는 것은 은행권에는 이례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지배구조 개편도 해결해야할 숙제다. 시장에서는 통합 은행의 행장으로 누가 취임할지 여부를 두고 관심이 높다. 지난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금융은 20일 하나은행과 외환은행 합병을 준비하기 위한 통합추진위원회를 만들기로 했다. 통합추진위원회는 위원 7명으로 구성된다. 김병호 하나은행장과 김한조 외환은행장 외에 하나은행과 외환은행 인사가 각각 1명씩 들어간다. 나머지 3명은 하나금융 인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통합추진위원회는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의 통합작업 전반을 주관하면서 통합은행장 후보를 선정하는 역할도 맡게 돼 여론의 눈이 모아진다.

 



김정태 회장과 사외이사 3인으로 구성된 하나금융 임원후보추천위원회는 통합추진위원회가 추천한 후보들을 검토해 8월 중으로 통합은행장 최종후보를 결정할 전망이다. 그간 업계에서는 김한조 외환은행장이 통합은행장에 오를 것으로 보는 의견이 우세했으나, 통합과정에서의 김한조 은행장의 역할이 크지 않았다는 내외부의 평가가 잇따르면서 김병호 하나은행장이 통합은행장 자리를 꿰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행장은 누가
진통 없을까

지난해 7월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된 통합 논의 과정에서 김한조 은행장의 역할이 중요했는데, 김정태 회장이 직접 나설 때까지 이렇다 할 진전을 보이지 못하면서 그에 대한 평가가 부정적으로 바뀌었기 때문. 실제 김정태 회장이 직접 노사간 대화에 참여하면서 외환은행 노사와의 합의를 이끌어 냈다. 일각에서는 김한조 행장과 김병호 행장 모두 갈등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김정태 회장이 통합 은행장을 겸임할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와 함께 하나금융의 사장직의 부활도 점쳐진다. 지난해 3월 하나금융은 사장직을 없앴다. 김정태 회장이 친정체제를 구축한 것이다. 그동안 금융당국도 하나·외환은행 통합 과정이라는 점을 감안해 용인한 측면이 있다. 금융당국은 회장의 갑작스러운 유고를 대비해 사내이사를 최소 2명을 둘 것을 권고하고 있다. 사장직 부활이 점쳐지는 부분이다. 김한조·김병호 은행장 가운데 한명이 통합은행장에 오르고 나머지 한명이 지주사 사장직을 맡을 것으로 보는 전망도 나온다.

이와 함께 대규모 임원진의 개편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외환은행 노사간 협의에서 행원의 고용은 보장됐지만 임원들의 고용은 빠졌기 때문이다. 하나금융 고위 관계자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은행 임원 축소와 함께 상당수의 계열사 임원들의 계약기간이 통합은행 출범 시까지로 돼 있어 대규모 임원 인사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내부 전산망을 통합하는 작업도 합병 시너지를 높이기 위해 시급히 해결해야할 숙제다. 내부 전산망까지 통합하게 되면 통합 시너지가 극대화되기 때문이다. 하나금융은 양 은행 전산망 통합에 앞서 하나SK카드와 외환카드 합쳐진 하나카드의 전산망을 오는 20일 통합하기로 했다. 하나금융측은 이번 내부 통합으로 전년대비 160억원의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하나금융은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의 통합으로 은행 모든 전산 시스템을 통합하는 작업도 속도를 낼 방침인 것으로 전해진다. 하나금융 측은 양행 모두 유닉스 환경의 주전산시스템 체계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통합속도가 더 빨라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당초 지난해 취임한 김정태 회장은 조기 통합은행 출범을 목표로 외환은행 노조와의 협상을 진행하면서 올해 추석연휴(2015년9월25∼29일)에는 내부 전산망 통합작업까지 마무리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지난 3월 법원이 외환은행 노조가 법원에 제기한 조기통합반대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이면서 내부 전산망 통합작업은 ‘올스톱’된 바 있다. 업계에서는 하나금융이 통합작업에 속도를 낸다 해도 내년 설연휴(2016년2월7∼10일)까지는 마무리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일단 통합 은행 출범 유력일로 거론되고 있는 10월1일(또는 9월1일)에는 전산망 통합까지 시간이 너무 촉박하다.

또한 시스템 통합을 위해서는 최소 2∼3일의 테스트를 거쳐야 하는데 10월 이후에는 이같은 테스트를 할 수 있는 휴일이 내년 설연휴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래도 내년 설연휴에 전산망 통합을 마무리하게 된다면 역대 은행권 전산망 통합 작업 속도 가운데 가장 빠른 사례로 기록된다. 통합은행이 출범한 후 내부 전산망이 완성될 때까지의 공백기간에는 듀얼시스템으로 전산망이 운영될 것으로 보인다. 즉, 고객에 따라 두 개의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다.

고용불안 잠재
구조조정 걱정 

하나금융이 외환은행의 고용승계와 관련 통합 은행 출범후 2년간 보장하기로 하면서 외환은행 노동자들은 한숨 돌리게 됐지만 그 이후에는 양 행간 불안요인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는 우려가 있다. 외횐은행의 직원들의 근속연수와 임금 수준이 하나은행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2년 후의 상황을 미리 준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donkyi@ilyosisa.co.kr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