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비오너가 CEO 연수입 순위 TOP10

한국뉴스


 

대기업 비오너가 CEO 연수입 순위 TOP10 <전격공개>

일요시사 0 2285 0 0
양반과 천민으로 구분되던 신분제 폐지 후 현대판 신분제가 생겼다. 계급을 분류하는 기준은 경제력. 이를 바탕으로 ‘있는 자’와 ‘없는 자’가 양분된다. ‘있는 자’들의 정점엔 ‘재벌’이 있다. 이들은 부의 세습을 통해 자신의 신분을 견고히 지켜 나가고 있다. ‘없는 자’로선 이들의 자리를 넘보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서민으로 태어나 재벌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이들이 있다. 비오너가 최고경영자(CEO)들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출신성분을 거부하고 ‘그들만의 리그’에 당당히 입성한 이들의 ‘벌이’는 과연 얼마나 될까...



국내 대기업의 비오너가 최고경영자(CEO)들의 연수입이 공개됐다. 수입은 임원보수에 보유 자사주(스톡옵션 포함) 매각 수입과 현금 및 주식 등의 연말 배당금을 더해 구했다.

1위부터 4위까지는 모두 삼성계열 CEO들이 꿰차고 있었다. 그 가운데서도 최고는 지난해 무려 419억5000만원을 벌어들인 이윤우 삼성전자 부회장이었다. 이 부회장은 작년 임원 보수 59억9000만원에 삼성전자 자사주 스톡옵션 매각 차익금 358억5000만원, 배당금 1억1000만원 등의 수입을 올렸다. 이는 지난 2006년 윤종용 전 삼성전자 부회장이 갖고 있었던 역대 최고기록(196억5000만원)의 2배 이상에 이르는 규모다.

1위부터 4위까지
삼성 CEO가 꿰차

삼성이 이 부회장을 이처럼 극진히 ‘모시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그는 지난 삼성전자 반도체 신화를 만들어낸 인물이기 때문이다.

이 부회장은 지난 1968년 삼성그룹에 입사, 1977년부터 삼성전자 삼성반도체 생산과장으로 근무했다. 이후 삼성반도체통신 이사, 상무이사 겸 반도체 기흥공장장을 지냈다. 특히 삼성전자가 처음으로 메모리 사업에 진출한 1983년 이후 고전을 했던 5년여를 고스란히 메모리 공장에서 연구에 바치기도 했다. 이후 1992년에는 메모리 사업 총괄 부사장을 역임했다.

1994년부터 반도체 총괄 대표이사 부사장에 오른 이후 15년간 대표이사로 재직했다. 100대 상장사 현직 가운데 최장수 전문경영인이기도 하다.

이어 최지성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해 스톡옵션 2만434주를 처분해 119억2000만원의 차익을 실현하는 등 총 180억1000만원의 수입을 올려 2위를 차지했다.
최 부회장의 이력 역시 범상치 않다. 지난 1977년 삼성전자에 입사한 최 부회장은 반도체, 디지털미디어, 정보통신총괄 등 핵심 사업부서를 모두 거치며 삼성전자의 모든 것을 거의 꿰뚫고 있는 몇 안 되는 인물이다.

그는 지난 2006년 ‘보르도TV’로 삼성전자를 세계 디지털TV시장 세계 1위에 올려놓았다. 또 지난 2007년에는 수익성 악화로 고전하던 휴대폰 사업을 맡아 ‘제2의 애니콜 신화’를 쓰기도 했다.

최 사장은 ‘독일병정’ ‘디지털 보부상’으로 통한다. 정확한 업무처리와 절도 있는 생활로 붙여진 별명이다. 최 사장은 또한 마케팅 능력과 기술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바탕으로 기술과 영업을 모두 이해하는 CEO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디지털미디어총괄 사장 당시 해외 전시행사 등에 참가할 때 이재용 삼성전자 사장과 동행하는 장면이 수차례 포착되며 ‘황태자의 남자’로 주목받기도 했다.

3위에는 윤주화 삼성전자 사장이 올랐다. 윤 사장은 자사주를 처분해 얻은 차익과 임원 보수, 배당금 등을 합쳐 모두 71억원을 벌었다. 윤 사장은 삼성전자의 ‘돈줄’을 쥐고 있는 인물로 통한다. 윤 사장은 1978년 삼성전자에 입사해 줄곧 가전부문에서 일하다 1988년 경영지원실 재경팀 경영지원그룹장으로 재무파트에 발을 들여 놓은 이후 재무와 관리 부문에서만 일했다.

2000년에 경영지원팀장 상무로 승진한 이후 2년 간격으로 전무와 부사장으로 초고속 승진을 했고 2004년부터 경영지원팀장 부사장으로 일 해오다 지난 2009년 경영지원총괄본부가 해체되면서 사장급인 감사팀장으로 승진했다.

그 뒤로 정연주 삼성물산 사장이 임원 보수 32억6000만원과 배당금 1억8000만원 등 총 34억4000만원의 수입을 올리면서 4위를 기록했다.
정 사장은 1976년 삼성그룹에 입사한 이래 삼성물산에서 줄곧 일했다. 지난 1997년 삼성물산 건설부문 경영지원실 재무담당 이사를 지낸 후 이듬해부터 2002년 초까지 삼성SDI 부사장으로 근무하다 2003년 3월부터 삼성엔지니어링 대표이사 사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정 사장은 삼성엔지니어링 대표이사 사장으로 재임 중이던 지난 2003년 2억4362만달러에 불과했던 해외 수주액을 지난 2009년 89억8727만달러까지 끌어올리는 등 괄목한 성과를 올렸다. 또 당시 최악의 경제 위기 속에서도 건설업계와 엔지니어링업계를 통틀어 업계 1위를 차지하는 등 승승장구를 거듭했다. 이 때문에 삼성물산 내부에서도 정 사장에 거는 기대가 매우 큰 것으로 알려졌다.

뒤이어 지난 3월 CJ제일제당의 대표이사에서 물러난 김진수 전 사장이 33억9000만원으로 5위를 차지했다. 김 전 대표는 글로벌 마케팅 전문가로 통한다. 제일제당 마케팅부를 시작으로 줄곧 ‘마케팅’ 한 우물만 파왔다. 제일제당 마케팅 실장 시절 대상(미원)과의 조미료 전쟁에서 ‘다시다’로 역전을 이뤄냈고, CJ 식품본부장 시절엔 ‘쁘티첼’ ‘햇반’ ‘팻다운’ 등 히트상품을 연이어 개발해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또 CJ홈쇼핑 대표로 재직 중에는 중국 진출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김진수 전 사장
마케팅 한우물

구자영 SK이노베이션 사장은 30억9000만원을 벌어들이면서 6위에 랭크됐다. 구 사장은 세계 최대 석유 회사인 엑슨모빌의 전략연구소에서 일한 ‘국제통’이다. 에너지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경험을 인정받은 그는 2008년 12월 SK에너지 총괄사장으로 임명된 데 이어 이듬해 3월부터 대표이사직을 맡았다.

정철길 SK C&C 사장, 경영철학 ‘SKMS’의 대가 
강유식 LG 부회장, 가지 않는 길 걸어 성공 이뤄


글로벌 에너지 기업 전략 전문가로 활동해온 그가 SK에너지의 대표이사에 오른 건 국내에서는 보기 드문 사례다. 금융, 정보기술(IT) 업계에서 외국계 출신이 CEO에 오른 경우는 있었지만, 에너지업계에서는 거의 없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입사 1년 만에 사장 타이틀을 단 초고속 승진 역시 SK그룹이 그에게 거는 기대가 큼을 알 수 있다.

7위는 28억2000만원을 벌어들인 홍기준 한화케미칼 사장이 차지했다. 홍 사장은 1975년 경인에너지에 입사한 후 유화산업 한 분야에서 터를 닦아온 업계의 대표 전문가이자 정통 ‘한화맨’이다.

경인에너지 입사로 직장생활의 첫 발을 내딛은 후 한국종합에너지(옛 한화에너지) 대표이사와 드림파마 대표이사, 한화케미칼 부사장을 거쳐 2009년 1월 한화케미칼 대표이사로 선임됐다.

SK 경영철학인 ‘SKMS’의 대가 정철길 SK C&C 사장이 27억원으로 8위에 올랐다. 지난 1979년 유공에 입사해 석유개발과 신규사업 등 에너지 분야와 정보통신 분야에서 사업개발 관련 추진력과 기획, 마케팅 역량을 두루 인정받았다.

전략의 수립과 강한 실행력의 소유자라는 평가다. 특히 지난 2004년 SK경영경제연구소 경영연구실장으로 역임하는 동안 SK그룹의 가장 큰 경쟁력이라 할 수 있는 SKMS의 근간을 마련하고 SK그룹의 독특한 기업문화를 만드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정 사장은 지난 2005년 경영지원부문장으로 SK C&C에 합류, 공공금융사업부문장 사장, IT서비스사업총괄 등을 맡았다. 정 사장은 그동안 SK C&C 매니지먼트 인프라 개선과 대외사업 구조 혁신, 글로벌 진출 교두보 확보 등을 이뤄내며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 모멘텀 마련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LG그룹 2인자’ 강유식 LG 부회장은 26억5000만원으로 9위였다. 구본무 LG 회장을 보좌하면서 LG의 미래사업 포트폴리오 전략 구상에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강유식 부회장은 차세대 LG그룹의 성장을 견인할 인물로 ‘부드러운 원칙주의자’라는 평을 받고 있다.

평소 그의 표정은 온화하다. 임직원들과 허물없이 지내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그러나 지난 10여년에 걸친 LG의 구조조정과 지주회사 체제로의 전환, 계열분리 등을 진두지휘할 때 보여주었듯이 일에 관한 한 매사에 ‘원칙과 정도’를 지키는 전형적인 ‘외유내강형’이다.

이석채 KT 회장
정통 관료 출신

강 부회장은 ‘남들이 잘 가지 않는 길’을 걸어가 성공을 이뤄낸 케이스다. 지난 1998년 LG구조조정본부를 맡으면서 국내 최대 규모의 외자유치, 선진기업과의 합작경영, 우량기업에 대한 기업공개 등을 성공적으로 추진해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경영투명성을 높였다. 특히 당시에는 개념조차 생소했던 ‘지주회사’ 체제로의 전환을 국내 대기업 가운데 최초로 시도해 선진적인 기업지배구조를 구축하는 데 일조했다.

마지막으로 이석채 KT 회장이 지난해 임원 보수 15억1000만원과 상여금으로 받은 자사주 1만4087주, 배당금 5100만원 등 총 22억6000만원의 소득을 올리면서 10위를 기록했다. 이 사장은 화려한 이력을 자랑하는 정통 관료 출신이다. 해박한 지식과 논리적인 사고를 갖췄으며 업무추진력과 소신이 강하다는 평가다.
69년 행정고시 7회로 재정직 공채에 합격한뒤 대통령 지역균형발전 기획단 부단장, 경제기획원 예산실장, 농림수산부 차관, 재정경제원 차관, 정보통신부 장관, 대통령 경제수석비서관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