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잡는' 신학기 고가 아이템 총정리

한국뉴스


 

'부모 잡는' 신학기 고가 아이템 총정리

일요시사 0 2377 0 0

100만원도 성에 안차…이제 200만원대

[일요시사 경제팀] 박호민 기자 = ‘등골브레이커’. 부모님의 등골을 휘게 하다못해 부러뜨릴 만큼 비싼 상품을 일컫는 신조어다. 일부 품목에 한정되던 상품의 종류도 다양하게 늘고 있다. 부모들의 한숨소리도 같이 늘어가는 모양새다.

등골브레이커는 2000년대 후반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등장했다. 등골브레이커의 원조는 고가의 패딩이다. 4년전인 2011년 청소년들 사이에는 노스페이스 패딩을 입지 못하면 또래 무리에 끼기 어려운 분위기가 있었다.

조르는 아이들
버티는 부모들

문제는 가격이 만만치 않다는 점이다. 같은 노스페이스 패딩이라도 모델에 따라 25만원에서 70만원까지 다양했다. 학생들 입장에서 저렴한 모델을 살 수 없었다. 학생들이 패딩 모델별로 계급을 나눠 불렀기 때문이다. 당시 25만원에 팔리던 노스페이스 눕시2는 이른바 ‘찌질이’라는 계급을 부여해 조롱거리로 삼았다.

이런 분위기에 따라 학생들은 부모에게 고가의 모델을 사달라고 조르는 경우가 많았다. 부모들은 70만원의 패딩이 부담스러울 수 있었지만 자녀들의 기를 죽이기 싫어서, 또는 자녀의 성화에 못 이겨 고가의 모델을 사줬다. 문제는 거기서 끝나지 않았다.

2013년 학생들의 관심이 좀 더 비싼 브랜드 패딩으로 옮겨갔기 때문이다. 등골브레이커들의 눈에 꽂힌 브랜드는 ‘캐나다 구스’, ‘몽클레르’였다. 학생들은 이들 브랜드의 앞글자를 따다가 ‘캐몽’이라 불렀다. 가격은 사회 초년생 월급을 웃돌았다. 모델별로 100만원에서 시작해 200만원이 넘는 상품들도 심심치 않게 눈에 띄었다.

등골브레이커 리스트 한단계 업그레이드
한달 워급 탈탈 털면 고작 학용품 구입

등골브레이커들을 중심으로 아웃도어 패딩 시장이 성장하면서 다른 브랜드 패딩에도 거품이 꼈다. 당시 블랙야크, K2 등의 아웃도어 브랜드들도 고가 패딩 정책을 내세웠다. 비싸면 잘팔리는 기현상에 시장은 매년 전년대비 두 자리 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비약적인 성장은 고스란히 부모들의 부담으로 작용했다. 결국 시민단체가 이같은 문제를 제기하며 노스페이스를 고발하기에 이르렀다. 서울YMCA는 학생들 사이에 비뚤어진 계급의식을 부추기고 외국에 비해 터무니없이 비싼 가격에 의류를 판매한 혐의로(공정거래법 위반) 노스페이스를 공정거래위원회에 고발했다.

YMCA가 당시 노스페이스와 콜럼비아 등 유명 아웃도어 브랜드 5개사가 판매하는 기능성 아웃도어 제품 23종에 대해 외국 현지 공식 쇼핑몰과 국내 공식 쇼핑몰 상의 사격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조사한 결과 국내 판매가격이 최고 89%나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고가 패딩 열풍은 엉뚱하게(?) 마무리됐다. 고가의 패딩을 입는 사람 자체가 등골브레이커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2013년을 기점으로 고가 패딩 열풍이 가라앉았다. 이에 따라 시장의 성장도 멈췄다. 실제 지난 11월 롯데·신세계백화점의 아웃도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 이상 감소했다.

 


▲ 본 사진은 특정기사와 관련없음

롯데백화점은 11월 아웃도어 매출이 전년 동기대비 9.3% 줄었고, 신세계백화점은 아웃도어 매출이 9.1% 하락했다. 현대백화점 역시 11월 아웃도어 매출이 전년보다 2.7%로 하락했다.

청소년이 벌써
비싼 화장품

그러나 등골브레이커들의 관심이 다른 데로 옮겨 갔을 뿐 부모의 부담이 줄지는 않았다. 실제 고가 패딩열풍이 주춤했던 2013년 여학생들 사이에서는 고가 화장품을 갖기 위해 부모와 마찰을 빚는 경우도 있었다. 학생 때 화장을 하는 것 자체를 이해 못하는 기성세대와 자신을 꾸미기 위해 화장을 하는 자녀 사이에 생기는 갈등이었다.

학생들은 고가의 브랜드를 사용하면 자신의 신분이 상승한다고 생각했다. 화장품의 브랜드에 따라 계급을 나누는 사례까지 생겼다. 수입 명품 브랜드를 사용하면 요정을 뜻하는 ‘엘프’, 국내 고급 브랜드 제품을 사용하면 ‘휴먼’, 국내 저가 브랜드를 하면 ‘오크’로 부르는 것이다. 삐뚤어진 계급론은 어린 청소년으로 하여금 고가 화장품을 구입하게 만들었다. 수입 명품 화장품의 가격은 10만원이 넘는 제품들이 많다. 따라서 같은 브랜드의 화장품 라인을 모두 구매하면 100만원을 훌쩍 넘기는 경우도 있었다.

남학생들 사이에서는 고가의 자전거 열풍이 불어 부모에게 부담을 줬다. 발단은 친구들끼리 모여서 자전거를 타는 이른바 ‘떼빙’이었다. 유행에 민감한 청소년에게 공공자전거는 성에 차지 않았다. 반면, 로드 자전거는 가격이 비쌌다. 저렴한 입문용 자전거의 경우도 50만원이 넘기 일쑤였다. 고가의 자전거의 경우는 500만원이 넘는 경우도 많다. 학생들은 또래 사이에서 돋보이려고 본인이 등골브레이커가 됐다.

안 사주면
절도하기도

고가의 자전거를 구입하기 위해 물불을 가리 않은 것. 실제 자전거를 사달라고 부모를 조르는 경우는 물론 자전거를 훔치는 경우까지 있었다.

경찰청에 따르면 자전거 절도 건수는 올 1월 972건에서 3월 1030건으로 1000건을 돌파했으며 올 6월에는 2467건으로 집계됐다. 올 상반기 자전거 절도만 8000건을 웃돌고 있다. 문제는 전체 절도의 상당 부분이 청소년 절도라는 것이다. 경찰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해 검거된 자전거 절도 피의자의 약 80%가 10대 청소년이었다.

고가의 이어폰이나 헤드폰도 등골브레이커의 관심 품목이다. 주로 연예인들이 착용하고 나온 제품이 큰 인기를 끌었다. 고가의 브랜드 가운데 30~50만원선의 모델들은 흔하다. 또래에서 돋보이고 싶은 경우 백만원을 웃도는 이어폰까지 구매하는 경우가 있다. 실제 음악프로그램에서 많은 가수들이 사용한다는 소문이 난 이어폰의 경우 123만원에 달한다.

결국 시민단체 YMCA는 대형기획사의 굿즈 마케팅에 제동을 걸었다. 신종원 YMCA시민중계실장은 “일부 연예기획사의 아이돌 상품 가격은 스타성이 지닌 가치를 인정한다 해도 너무 비싸다”면서 “시장지배적사업자의 남용금지 중 상품가격을 부당하게 결정하는 행위에 해당하는지 공정위에 조사를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겨울이 무서운 패딩 가격
자전거·이어폰 수백만원


이들은 기획사가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공정거래법) 상 시장지배적 지위를 남용해 상품 가격을 멋대로 높게 매기고 판매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법적인 제재가 쉽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보통 시장점유율이 높으면 독점적 지위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급변하는 시장에서 점유율이 독점적 지위를 판단할 결정적 근거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학용품도 등골브레이커로 꼽히는 제품군으로 떠오르고 있다. 31일 소비자 문제를 연구하는 컨슈머리서치가 외국계 학용품 브랜드의 홈페이지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일본산 초등학생용 란도셀 가방의 최고가는 69만8000원이었다. 이 브랜드의 가장 저렴한 책가방도 가격이 34만원이다. 벨기에 브랜드인 키플링 가방도 비싼 것은 31만8000원에 달했다. 제일 저렴한 가방도 15만5000원에 판매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패딩부터 학용품까지 등골브레이커 제품들이 상징소비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따라 등골브레이커는 상품의 종류만 바뀔 뿐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유행에 민감
내년에 또…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등골브레이커 등의 소비성향을 상징소비로 판단하면서 “상징소비는 지속적인 소비 트렌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타인과의 차별화, 후광효과, 청소년의 신소비 문화가 원인이라면 상징소비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요시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