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내린 인종차별의 단면약하다고 놀리지 말아요

한국뉴스

뿌리내린 인종차별의 단면약하다고 놀리지 말아요

일요시사 0 824 0 0
▲가나 출신의 방송인 샘 오취리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모든 종류의 차별을 금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시대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성소수자, 장애인, 비정규직 등 사회적 약자로 분류되는 이들은 변화를 촉구하고 있다. ‘다름’을 ‘틀림’으로 받아들이는 사회 분위기 자체를 뒤바꿔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들의 외침이 무색하게 최근 인종차별을 둘러싼 문제가 여기저기서 불거져 나오고 있다.
 


지난 4일 대전월드컵경기장서 치러진 우루과이와 포르투갈의 2017년 국제축구연맹(FIFA) 20세 이하(U-20) 월드컵 8강서 나온 세리모니를 두고 논란이 가라앉질 않고 있다. 이날 팀이 1-2로 뒤지고 있던 후반 5분 동점골을 터트린 우루과이의 페데리코 발베르데는 검지로 눈가를 잡아당기는 세리모니를 선보였다. 그의 세리모니는 아시아인을 조롱하는 걸로 비칠 수 있는 행위였다.

우습게 봤다간…

발베르데 역시 인종차별 의혹이 불거질 것을 의식한 듯 경기 후 자신의 SNS에 “제가 의도한 건 인종차별이 아니었다. 죄송하다”며 글을 올렸다. 가라앉는 줄 알았던 논란은 경기 후 우루과이 축구협회가 올린 사진 탓에 한 번 더 타올랐다. 

일부 선수들이 발데르데가 한 세리모니처럼 검지로 눈가를 잡아당기는 포즈를 취한 것이 사진에 담긴 것. 현재 FIFA는 해당 사안에 대해 조사 중이다.

U-20 월드컵 세리모니 논란처럼 동양인은 인종차별의 피해자가 되는 경우가 많다. 

어학연수를 위해 뉴질랜드에 3년간 머물렀던 한모씨는 “버스를 타고 가는데 뒤에 앉아 있던 남자 몇 명이 ‘칭챙총(아시아인 비하 용어)’이라고 외치면서 계란을 던져 낭패를 본 적이 있다”고 털어놨다. 

독일서 대학을 다니고 있는 지모씨 역시 “수업 중에 짓궂은 학생 몇 명이 코를 움켜쥐면서 마늘 냄새가 난다고 큰 소리로 놀려 민망했다”고 회상했다.

미국에선 백인 경찰이 흑인 용의자를 과잉 진압하거나 죄 없는 흑인을 향해 총을 발사해 문제가 된 경우가 종종 있다. 이 경우 분노한 흑인들이 시위를 주도해 도시 전체가 마비되는 사태까지 일이 번지기도 한다. 

인종차별 범죄는 그 뿌리가 깊은 만큼 폭발하는 방식도 다양하고 파괴력이 커 세계적인 문제로 비화될 때도 있다.

피해당하다 가해 늘어
지속·반복적 교육 필요

그에 반해 한국은 인종차별과 관련해 지금껏 큰 사건이 없었다. 피부색이나 상대가 가진 국적을 빌미로 폭력을 저지르는 일 역시 외국과 비교해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다. 

하지만 실제 한국에 살고 있는 이방인들은 한국인의 인종차별에 서운함을 느꼈다고 토로한다. 1990년대 이후 국제결혼이 증가하면서 함께 늘어난 다문화 가정이 사회 전반에 뿌리내리면서 이들 자녀에 대한 차별이 수면 위로 올라왔다는 지적도 있다.

지난 4월3일 부산에 살고 있는 콜롬비아인 A씨가 페이스북에 글을 올렸다. 마트서 뛰어다니던 아이가 다칠 것을 우려해 제지하는 과정에서 인종차별적인 발언을 들었다는 내용이었다. 

A씨에 따르면 아이의 부모는 A씨의 국적을 폴란드로 착각해 ‘폴란드 새X’ 등의 욕설을 내뱉었고, 이후 국적이 콜롬비아로 확인되자 ‘폴란드보다 못사는 나라잖아. 콜롬비아 새X야’라며 인종차별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서 출동한 경찰은 별다른 제지가 없었다. A씨는 “한국인과의 대립을 피하세요. 절대 타인의 삶에 개입하지 마세요. 타인을 도와주려고도 하지 마세요”라고 글을 올렸다.
 


지난 3일 새벽에는 이태원의 한 유명식당서 인도인의 입장을 거부해 논란이 일어났다. 

해당 업소는 음식과 술을 팔고 게임도 할 수 있는 복합 문화공간이다. 인도서 온 키슬라이 쿠마르씨는 친구 4명과 함께 들어가려 했으나 신분증을 확인한 업소 관계자가 “노 인디안(Indian)”이라며 입장을 막았다고 주장했다. 

쿠마르씨는 당시 상황이 담긴 영상을 유튜브에 올렸다. 해당 영상을 본 누리꾼들은 업소 관계자의 행동이 명백한 인종차별이라고 비판했다.

지난 4월24일에는 가나 출신 방송인 샘 오취리가 자신의 SNS에 인종차별과 관련한 글을 올렸다. 

그는 개그우먼 홍현희씨가 흑인으로 분장하고 나온 <웃찾사>의 한 장면을 캡처해 자신의 SNS에 올리고 “TV에 이런 장면이 나오면 마음이 아프고 짜증나요. 앞으로 방송에서 이런 모습이 안 나왔으면 좋겠습니다”라고 적었다. 

그러면서 “피부색은 다르지만 피의 색깔은 같다. 다 같이 파이팅”이라고 덧붙였다. 홍씨의 분장이 흑인을 희화한 것으로 여겨져 공분을 사자 <웃찾사> 측은 “깊이 사과드린다”며 해당 영상을 삭제 조치했다.

샘 오취리는 지난 1월에도 JTBC 프로그램 <말하는 대로>에 출연해 2009년 한국에 온 직후부터 겪은 인종차별에 대해 고백했다. 

대학시절 지하철 빈자리에 앉았더니 “까만 새X가 한국 와서 뭐 하냐, 너희 나라로 돌아가라”며 대놓고 차별 발언을 들은 적이 있다는 것. 또 가나에 있는 친구들이 한국인들의 흑인에 대한 이미지 때문에 한국에 오기 겁난다는 말을 한 적이 있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국내 거주 이방인들 서운함 토로
‘틀림’을 ‘다름’으로 받아들여야

한국 사회는 더 이상 단일 사회로 볼 수 없다. 외국인 노동자와 그 가족, 결혼 이주자, 유학생 등의 급격한 유입으로 지난해 6월말 기준으로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수가 200만명을 넘어섰다. 전체 인구의 약 4%에 해당하는 숫자다. 

이 추세대로라면 2021년엔 국내 체류 외국인 수가 300만명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사회적 흐름과 달리 한국인이 외국인 이주민을 보는 인식은 시간이 갈수록 퇴보하고 있다.

2015년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에 따르면 2003년과 비교해 외국인 이민자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으로 변한 사실이 확연히 드러난다. 

2003년에는 응답자의 과반(53.9%)이 외국인 이민자가 한국 경제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응답했지만 12년 뒤인 2015년에는 44.9%로 10%p 가까이 줄었다. 반대로 범죄율을 높이고 있다는 응답은 33.1%서 46.6%로 크게 증가했다. 한국인의 일자리를 빼앗아간다는 응답도 23.6%서 29.7%로 높아졌다.

여성가족부가 지난해 3월 발표한 ‘2015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성인 기준 다문화 수용성 지수는 53.95점으로 나타났다. 4년 전 조사(51.17점)보다 약간 개선됐지만 외국인 이주민을 터부시하는 인식은 여전히 높았다. 

특히 외국인 노동자와 이민자를 이웃으로 삼고 싶지 않다는 응답은 31.8%로 미국(13.7%)이나 호주(10.6%) 등과 비교해 3배 가까이 높았다.

한국이 ‘인종차별 청정국’이라 불리고 있지만 마음속 깊이 내재된 편견의 벽은 아직 견고하다는 지적이다. 

편견의 벽 높아

전문가들은 “한국 사회가 단일민족으로 구성됐다는 생각서 벗어날 때가 됐다”며 “외국인 이주민들을 한국 사회로 통합하려 했던 과거 다문화 정책을 다양한 소수 문화가 정착할 수 있도록 다변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또 “다문화 관련 교육이나 활동이 인식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jsjang@ilyosisa.co.kr>

0 Comments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