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 90주기

자유게시판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 90주기

나누리 0 534

1923년 9월 1일의 일본 관동대지진 때 일본 관헌과 민간인들이 한국인과 일본인 사회주의자를 학살하였다.

1920년대 전반 일본은 하나의 큰 시대적 전환기에 직면하였다.

 

밖으로는 코민테른의 활동이 동아시아에 미쳐 한국과 중국의 민족 해방 운동이 격화되기 시작하였으며, 안으로는 공황으로 노동 운동, 농민 운동, 부락 해방 운동이 사회의 저변을 뒤흔들었다.

 

여기에 대하여 일본의 군부와 국가주의자들은 '과격사회운동취체법' 제정을 시도하고 이들 운동에 대한 탄압의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이때 일어난 대지진은 그곳의 민중을 공황 상태로 빠뜨렸고 일본 군부와 군국주의자들은 당면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민중의 보수적 감정을 이용하였다.

 

대지진이 일어난 직후인 1923년 9월 1일 오후 경시청은 정부의 출병을 요청함과 동시에 계엄령 선포를 준비하였다.

 

내무대신 미즈노[水野鍊太郞, 전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경시총감 아카이케[赤池濃, 전 조선총독부 경무국장] 등은 1일 밤 도쿄 시내를 일순하고 2일에는 도쿄와 가나가와현의 각 경찰서 및 경비대로 하여금

"조선인이 폭동을 일으켰다"

라는 터무니없는 소문을 퍼뜨리도록 하는 동시에 그 소문을 각 경찰서가 진상 보고하게 하였다.

폭동의 전문을 준비하여 2일 오후부터 3일 사이에 내무성 경보국장 고토[後藤文夫]의 명의로 전국의 지방 장관에게 타전하였다.

 

그 전문은

"도쿄 부근의 진재를 이용하여 조선인이 각지에서 방화하려는 등 불경한 목적을 이루려고 하여 현재 도쿄 시내에는 폭탄을 소지하고 석유를 뿌리는 자가 있다.

도쿄에서는 이미 일부 계엄령을 실시하였으므로 각지에 있어서도 충분히 주밀한 시찰을 가하고 조선인의 행동에 대해서는 엄밀한 단속을 가해주기 바란다"

는 것이었고 이 전문은 조선총독부, 타이완총독부에도 타전되었다.

이와 같은 조선인 폭동의 터무니없는 소문이 전국적으로 퍼져 나가는 가운데  2일 오후 6시 긴급 칙령으로 계엄령이 선포되었다.

 

이 같은 계엄령 아래에서 군대, 경찰을 중심으로 또한 조선인 폭동의 단속령에 의해 각지에 조직된 자경단(自警團)에 의해 6천여 명의 조선인 및 일본인 사회주의자가 학살되었다.

 

당시 대한민국 임시정부 산하의 『독립신문』 특파원이 조사, 보고한 바에 의하면 각지에서 6천6백61명이 피살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가운데 상당수는 시체조차 찾지 못하였다고 한다.

당시 이러한 학살은 가장 먼저 도쿄와 가나가와현에서 군대와 경찰이 중심이 되어 행해졌고 지바 · 사이타마현 등지에서는 민족배외주의자를 중심으로 한 자경단에 의해 행해졌다.

 

이들 자경단은 도망치는 한국인들을 붙잡아 무차별 학살하였으며 심지어 경무서 내로 도망친 한국인들까지 쫓아 들어와 학살하였는데도 일본 관헌은 사실상 이를 방조하였다.

또한 일본정부는 10월 20일 학살 사건의 보도 금지를 해제하였으나 그들은 군대 관헌의 학살은 모두 은폐하고 그 책임을 자경단으로 돌리는 데만 급급하였다.

 

그 뒤 일부 자경단원은 형식상 재판에 회부되기도 하였으나 증거 불충분이라는 이유로 모두 석방되었다.

 

조선인 학살 사건은 일본정부의 철저한 증거인멸과 역사조작으로 인해 일본의 국가적 책임을 교묘히 은폐하고 유언비어에 현혹된 일본 민중들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등의 역사왜곡을 통해 국가적 책임을 회피해온 일제가 식민지하에서 저지른 잔악무도한 민족제노사이드였다.

 
한국 정부 역시 해방 이후 단 한 차례도 이 사건에 대한 진상조사를 벌인 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일본 정부에 진상규명을 요구한 일도 없었다.
 
이러한 무관심 때문에 일본의 왜곡된 역사기술이 한국교과서에도 그대로 실리기도 했고, 더욱이 지금도 일본정부와 우익세력들에 의해 여전히 한국-조선인들이 정치 경제 사회분야 및 교육, 그리고 복지 등 많은 분야에서 민족차별이 진행되는 가운데 한국 정부는 여전히 이를 외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0 Comments
포토 제목
광고 Space available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